[ Essay - Technology, Essay - Intuition ] Chat GTP시대의 도래와 생각하는 방식에 대해 : 개발자의 미래에 대해

이미지
벌써 올해도 반쯤 지나 뜨거운 여름이 다가왔다. 굉장히 빠르게 지나간듯한 느낌이 드는데  아마 의미있는 시간을 보냈다는 이야기이기 때문에  그렇게 나쁜 신호는 아닐 것 이다. 괴로운 시간이였다면, 1초가 1년 같이 느껴졌을테니 말이다. 더위에 매우 약한 나에게 있어서는 지옥과 같은 시기이기도 하지만 늘 그렇던 것 처럼 에어컨 덕분에 어찌저찌 버틸 수 있을 것 같다. 어쨋든, 이번에는 저번의 에세이 주제, Chat GTP시대의 도래와 생각하는 방식에 대한 이야기에 이어서  과연 개발자의 미래는 어떻게 될 것인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어보려고 한다. 어쩌면 모두가 인식하고 있듯이 지금 2025년 현재,  꽤나 중요한 시기에 직면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생성AI의 발전 속도가 생각보다 빠르게 발전하고 있고,  그에 따라 실제 업무에서도 빠르게 사용되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개발자에게 있어서 가장 두려운 점은  당연히 생성AI에 의해 개발자가 대체될 것 이라는 두려움일 것 이다. 이는 개발자에게만 한정된 이야기는 아니지만 말이다. 아마 필드에서 나와 같이 일하고 있거나  개발자로서 직업을 가지려는 생각이 있는 사람이라면  한번쯤은 생각해볼법한 주제라 생각 한다. 물론 미래가 정확히 어떻게 될 지는 알 수 없으나  이런 생각을 함으로써 몇 가지 힌트는 얻게 될지도 모르니  만약 얻게 된다면 미래에 대한 방향성을 조금이나마 올바른 쪽으로 돌릴 수 있을 것 이다. 이 글을 끝맽을 때는 조금이라도 힌트에 도달하기를 바란다. 과거의 역사 이러한 의문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일반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바로 역사를 보는 것 이다. 물론 이러한 역사를 해결책을 찾는거에 대한 전제조건은  우리가 '구 인류'라는 전제조건이 있었을 때 의미가 있다. 그러니깐 현대인도 기원전 8세기의 고대 로마인도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는 것을 인정해야만 한다. 예컨데...

[ Django, Python ] 튜토리얼 예제로 살펴보는 Django 분석 ④ : 제너릭 뷰(Generic View)


제너릭 뷰 사용하기: 간결한 코드가 더 좋다


이전에 프로그래밍 했던 detail()이라는 Viewresults()라는 View는 매우 짧으며
위에서 언급 했듯이 중복 된다.

이러한 ViewURL에서 전달 된 매개 변수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는 것과 
템플릿을 로드하고 렌더링 된 템플릿을 리턴하는 
기본 웹 개발의 일반적인 경우를 나타낸다.

Django는 이런 매우 일반적인 경우를 위해 제너릭 뷰(Generic View)” 시스템이라는
숏컷(Shut Cuts)을 제공한다.

제너릭 뷰(Generic View)일반적인 패턴을 추상화하여 앱을 작성하기 위해
Python코드를 작성하지 않아도 된다.

이전에 프로그래밍 했던 polls 앱을 
제너릭 뷰 시스템을 활용해서 코드를 바꿔보자.

변환을 위해서는 몇 가지 단계를 수행해야 한다.

    URLconf를 변환

    불필요한 오래된 View 중 일부를 삭제

    Django의 제너릭 뷰를 기반으로 새로운 뷰를 도입


그리고 공식 도큐먼트에서는 왜 처음부터 제너릭 뷰에 대해 설명하지 않았느냐라는 
질문을 할 수 있는 독자들을 위해 

아래와 왜 코드 셔플인가? 이름의 코멘트를 달아놨다.

일반적으로 Django앱을 프로그래밍 할 때,
(when writing a Django app)
제너릭 뷰가 문제에 적합한지 여부를 평가할 것이다.
(generic views are a good fit for your problem)
코드를 중간에서 다시 리팩토링하지 않고 처음부터 사용하게 될 것이다.
(you’ll use them from the beginning, rather than refactoring your code halfway through.)

그러나 이 튜토리얼은 의도적으로 지금까지는 핵심 개념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어려운 방법으로 View를 프로그래밍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는 계산기를 사용하기 전에 기본적인 수학을 알아야하는 것과 같은 논리이다.

라고 한다.

제너릭 뷰 사용하기: URLconf수정

먼저 polls/urls.py 파일의 URLconf를 열어 아래와 같이 수정하자.



위의 캡처를 보면 알겠지만, 경로(Path)의 문자열 패턴의 이름이 <question_id>에서 <pk>로 
변경됐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제너릭 뷰 사용하기: Views 수정


다음으로 이전의 index(), detail(), results()라는 이름의 View를 제거하고
Django제너릭 뷰를 대신 사용하도록 하겠다.

아래와 같이 변경해보자.

참고로 나는 제너릭 뷰를 사용하지 않은 기존 사용하던 views.py파일을 보존하기 위해

views(old).py로 바꾸었다.



이전의 View와 제너릭 뷰를 비교해본다면
확실히 제너릭 뷰가 매우 코드가 간결해졌고 깔끔해 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에서는 ListView()DetailView()라는 제너릭 뷰를 사용하고 있다.

이 두 View는 각 개체(데이터) 목록 표시 특정 개체(데이터) 유형에 대한
세부 정보 페이지 표시 개념을 추상화 한다.

・각 제너릭 뷰는 어떤 모델(model)이 적용될 것인지를 알아야 하며, 이는 model속성을
사용하여 제공된다.

 DetailView()라는 제너릭 뷰는 URL에서 캡쳐 된 기본 키(key)값이 ``"pk"\ 라고 기대하기 때문에, ``question_id를 제너릭 뷰를 위해 pk로 변경합니다.

기본적으로 DetailView()라는 제너릭 뷰는 
<app name>/<model name>_detail.html 템플릿을 사용한다.

이 예제에서는 “polls/question_detail.html” 템플릿을 사용할 것이다.

template_name 속성은 Django에게 자동으로 생성된 기본 템플릿 이름 대신에
특정 이름의 템플릿 이름을 사용하도록 알려주기 위해 사용된다.

results 리스트 뷰에 대해서는 template_name을 지정한다.

이는 이들이 둘 다 동일한 DetailView()를 사용하고 있더라도,
result()라는 Viewdetail()이라는 View가 렌더링 될 때 서로 다른 모습을 가지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ListView()라는 제너릭 뷰<app name>/<model name>_list.html 템플릿을 기본으로 사용 한다.

이 예제에서는 이미 있는 “polls/index.html” 템플릿을 사용하기 위해 ListView() 제너릭 뷰template_name을 전달 했다.

템플릿에는 question latest_question_list 변수가 포함된 context 변수를 제공했었다.

Django에서 Question이라는model을 사용했기 때문에
DetailView()라는 제너릭 뷰는 question이라는 변수를 자동으로 제공한다.

Djangocontext 변수의 적절한 이름을 결정할 수 있지만,
ListView()라는 제너릭 뷰의 경우, 자동으로 생성된 context 변수의 이름은
question_list이다.

따라서 이것을 무시하기 위해, Djangocontext_object_name 속성을 따로 제공해
latest_question_list를 사용하도록 지정 할 수 있다.

이렇게 새로운 기본 context변수와 일치하도록 템플릿을 변경할 수 있지만,
Django에게 원하는 변수를 사용하도록 지시하는 편이 훨씬 쉽다.
  
제너릭 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공식 도큐먼트 링크를 참고하기 바란다.



그럼 이제 서버를 실행해
프로그래밍한 제너릭 뷰 기반을 한 새로운 설문조사 앱을 사용해보자.



위와 같이 기능들이 정상적으로 가동된다면 
튜토리얼 View를 제너릭 뷰로 성공적으로 교체 한 것이다.


다음은 튜토리얼을 조금 멈추고
지금까지 했던 개념들과 프로그래밍 코드들을 정리해 보려 한다.

아마 제목에 맞는 분석글이 될 것이다.






참고

첫 번째 장고 앱 작성하기, part4 :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 Web ] 웹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 (Web Application Architecture)

[ Web ] 서버 사이드(Sever Side) ? 클라이언트 사이드(Client Side)? 1 [서론, 클라이언트 사이드(Client Side)]

[ Web ]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아키텍처의 정의 및 유형 ( Define and Types of Web Application Server Architectu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