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Redefinition인 게시물 표시

[ Essay - Technology, Essay - Intuition ] Chat GTP시대의 도래와 생각하는 방식에 대해 : 개발자의 미래에 대해

이미지
벌써 올해도 반쯤 지나 뜨거운 여름이 다가왔다. 굉장히 빠르게 지나간듯한 느낌이 드는데  아마 의미있는 시간을 보냈다는 이야기이기 때문에  그렇게 나쁜 신호는 아닐 것 이다. 괴로운 시간이였다면, 1초가 1년 같이 느껴졌을테니 말이다. 더위에 매우 약한 나에게 있어서는 지옥과 같은 시기이기도 하지만 늘 그렇던 것 처럼 에어컨 덕분에 어찌저찌 버틸 수 있을 것 같다. 어쨋든, 이번에는 저번의 에세이 주제, Chat GTP시대의 도래와 생각하는 방식에 대한 이야기에 이어서  과연 개발자의 미래는 어떻게 될 것인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어보려고 한다. 어쩌면 모두가 인식하고 있듯이 지금 2025년 현재,  꽤나 중요한 시기에 직면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생성AI의 발전 속도가 생각보다 빠르게 발전하고 있고,  그에 따라 실제 업무에서도 빠르게 사용되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개발자에게 있어서 가장 두려운 점은  당연히 생성AI에 의해 개발자가 대체될 것 이라는 두려움일 것 이다. 이는 개발자에게만 한정된 이야기는 아니지만 말이다. 아마 필드에서 나와 같이 일하고 있거나  개발자로서 직업을 가지려는 생각이 있는 사람이라면  한번쯤은 생각해볼법한 주제라 생각 한다. 물론 미래가 정확히 어떻게 될 지는 알 수 없으나  이런 생각을 함으로써 몇 가지 힌트는 얻게 될지도 모르니  만약 얻게 된다면 미래에 대한 방향성을 조금이나마 올바른 쪽으로 돌릴 수 있을 것 이다. 이 글을 끝맽을 때는 조금이라도 힌트에 도달하기를 바란다. 과거의 역사 이러한 의문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일반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바로 역사를 보는 것 이다. 물론 이러한 역사를 해결책을 찾는거에 대한 전제조건은  우리가 '구 인류'라는 전제조건이 있었을 때 의미가 있다. 그러니깐 현대인도 기원전 8세기의 고대 로마인도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는 것을 인정해야만 한다. 예컨데...

[ Redefinition, 생각 ] 새로운 카테고리를 만들면서

이미지
이번에 Redefinition라는 카테고리를 생성 했다. 이유는 사실 지금 까지 작성했던 글들은  이번에 새로 만든 재정의에 가깝기 때문이다. 왜 재정의를 해야만 할까? 결론적으로 말하면, 이 세상이 점점 빠르게 발달하고 실제로 변하고 있기 때문이다. 세상이 빠르게 발달하고 변하고 있다는 것은  패러다임의 변환이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고 이에 따라 기존에 사용되었던 단어에 대한 정의 또한  크고 작던 간에 변하고 있다는 것 이다. 나는 오프라인/디지털로 변하는 그 사이 쯤에 있던 세대 였고 이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변화는 과정을 모두 겪었기 때문에 이러한 변화에 대해 다소 민감하다. 하지만, 이런 재정의는 사실상 이루어지지 않는다. 왜냐하면 일이라는 일상 생활에 매몰되어 있기도 하지만 자본주의 패러다임에서는 눈 앞에 보이는 경제력이 굉장히 중요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사회 구성원들은  이런 경제력을 얻기 위한 요소들을 얻어내기 위해  많은 시간을 쏟아부어야 한다. 그렇기에 이런 철학적인 담론들이  중요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치가 떨어지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하다. 이러한 철학적인 담론들이  사회 내부에서 중요한 가치가 있던 시절이 있듯이 현재는 자본주의라는 개념하의 경제력은  현 시대에 굉장히 중요한 가치이다. 이런 나의 말에 어떤 사람들은  노골적으로 싫은 눈치를 줄지는 모르겠지만 말이다. 하지만 그러한 사람들을 포함한 이 흐름은 사회 내부의 구성원들 그 누구도 벗어날 수 없다. 거대한 파도, 패러다임 그 자체이기 때문이다. 사회 구성원들은 좋든 싫든  이러한 거대한 파도 아래 서핑을 즐겨야 한다. 그렇지 못하면 거대한 파도에 휩쓸리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어찌보면  이러한 사회 내부의 구성원들에게  진정한 자유 의지란 존재할 수 없을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좋던 싫던 이 게임에 참가해야만 하기 때문이며 대부분의 사회 구성원들에게 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