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전지적 개발자 시점인 게시물 표시

[ Essay - Technology, Essay - Intuition ] Chat GTP시대의 도래와 생각하는 방식에 대해 : 개발자의 미래에 대해

이미지
벌써 올해도 반쯤 지나 뜨거운 여름이 다가왔다. 굉장히 빠르게 지나간듯한 느낌이 드는데  아마 의미있는 시간을 보냈다는 이야기이기 때문에  그렇게 나쁜 신호는 아닐 것 이다. 괴로운 시간이였다면, 1초가 1년 같이 느껴졌을테니 말이다. 더위에 매우 약한 나에게 있어서는 지옥과 같은 시기이기도 하지만 늘 그렇던 것 처럼 에어컨 덕분에 어찌저찌 버틸 수 있을 것 같다. 어쨋든, 이번에는 저번의 에세이 주제, Chat GTP시대의 도래와 생각하는 방식에 대한 이야기에 이어서  과연 개발자의 미래는 어떻게 될 것인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어보려고 한다. 어쩌면 모두가 인식하고 있듯이 지금 2025년 현재,  꽤나 중요한 시기에 직면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생성AI의 발전 속도가 생각보다 빠르게 발전하고 있고,  그에 따라 실제 업무에서도 빠르게 사용되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개발자에게 있어서 가장 두려운 점은  당연히 생성AI에 의해 개발자가 대체될 것 이라는 두려움일 것 이다. 이는 개발자에게만 한정된 이야기는 아니지만 말이다. 아마 필드에서 나와 같이 일하고 있거나  개발자로서 직업을 가지려는 생각이 있는 사람이라면  한번쯤은 생각해볼법한 주제라 생각 한다. 물론 미래가 정확히 어떻게 될 지는 알 수 없으나  이런 생각을 함으로써 몇 가지 힌트는 얻게 될지도 모르니  만약 얻게 된다면 미래에 대한 방향성을 조금이나마 올바른 쪽으로 돌릴 수 있을 것 이다. 이 글을 끝맽을 때는 조금이라도 힌트에 도달하기를 바란다. 과거의 역사 이러한 의문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일반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바로 역사를 보는 것 이다. 물론 이러한 역사를 해결책을 찾는거에 대한 전제조건은  우리가 '구 인류'라는 전제조건이 있었을 때 의미가 있다. 그러니깐 현대인도 기원전 8세기의 고대 로마인도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는 것을 인정해야만 한다. 예컨데...

[ 전지적 개발자 시점, Essay - intution ] 코딩 교육은 필요한가?

이미지
아마 몇 년 전에 코딩 교육에 대한 이야기가  한국에서 나왔던 것으로 기억 한다. 외국에 일하고 있는 내 귀에 들릴 정도면  꽤나 시끌벅적 한 것으로 생각 된다. 지금은 실제로 하고 있는지 어떤지는 잘 모르겠지만 말이다. 하지만, 유년 시절을 한국에서 보낸 나에게는 새로운 교육을 또 내세운다는 사실에 굉장히 부정적일 수 밖에 없다. 왜냐하면, 유년 시절에 겪었던 한국의 교육 프로세스는 결코 교육생들을 위한 프로세스는 아니였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교육 시장의 초점은 학부모의 시점으로 맞춰지고, 정작 교육 받는 교육생들의 생각은 무시당하기 일쑤이고 그리고 어른들이 자랑하는 교육이 끝난 시점에는  어깨를 으쓱하며 자신들은 할만 큼 했다며 무책임하게 내팽겨친다. 왜냐하면 어른들이 정한 기준선을 넘는다면 승리한 콜로세움의 검투사 처럼 한 없는 찬사를 받지만, 패배한 교육생들은 마치 패배한 검투사 처럼 정량적으로 계산할 수 없는 '노력'이라는 것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매몰차게 야유를 보내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고의 검투사의 수는 하나 이듯이 최고의 교육생의 수는 대학 정원으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무책임한 어른들의 말 처럼 모두가 최선의 노력을 다한다고 하더라도 모두가 기준선을 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또한 나이가 많던 적던 인간으로서 중요한 것은  과정인데에도 불구말이다. 더욱 재미있는 것은  그런 어른들도  결과보다 과정이 중요하다고 떠들어댄다는 것이다. 어쨋든 그런 교육을 유년 시절 받아왔고 IT 업계에서 발을 조금 담고 있는 개발자로서  코딩 교육은 필요한지, 그렇지 않은지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보자. 왜 코딩 교육이 주목 받았는가? 이런 것들에 대해 이야기를 하기 전에 왜 이런 이야기가 주목 받았는지에 대해  먼저 이야기 해봐야한다. 그래야 인과관계가 설명되기 때문이다. 한국에서 '코딩 교육'이라는 단어가 주목 받기 시작한 것은  대략 6년전 2015년 이라고 생...

[ 전지적 개발자 시점, Essay - Technology ] UX 란 무엇인가? : 점점 IT업계에 대두되는 UX

이미지
IT업계에서 일하다보면 최근에 UX라는 단어가 꽤나 자주 보이고 들린다. 심지어 UX라는 단어를 내세워서 IT 업계에서  구인을 하는 경우가 최근 들어 심심치 않게 보인다. 하지만, 새로운 개념이 먼저 생겨나고 정의가 이루어지는 IT업계가 늘 그렇듯이 UX라는 것에 대한 정확한 정의는 없다. 최소한 나는 IT업계에서의 사람들이 모여서  이런 것에 대해 명확히 할 필요성은 있다고 느끼지만, IT업계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대부분 그렇듯이  비교적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능숙하지 않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신경 쓰지 않는 부분이기도 하다. 일단 이번 주제에서 벗어 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이야기는 접어두기로 하고, 이번에는 UX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보자. UX에 대해 어쨋든 나는 UX라는 것은 기술 보다는  비지니스 쪽에 가깝다고 생각 한다. 좀 더 정확히 이야기하면 비니지스에 IT기술을 얹은 형태라고 보는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메인이 비지니스고 IT기술은 메인에 가깝지면 결코 메인이 되기에는 부족한 그런 형태이다. 왜냐하면,  UX라는 것은 개발자나 엔지니어 친화적이기 보단 사용자 친화적이기 때문이다. 사용자는 시스템 내부에  어떤 알고리즘이, 어떤 새로운 기술이 사용되고  얼마나 좋은 퍼포먼스를 지니고 있는지는 관심 없다. 사용자가 관심있는 것은  내가 '불편을 느끼지 않고' 편안한지, 얼마나 '흥미를 끄는지', 그리고 자신의 삶에 얼마나 유용한지에 관심이 있다. 따라서 UX는  사용자가 불편을 느끼지 않게 그리고 사용자로 하여금 흥미를 끌고, 마지막으로 유용성 까지 제공할 수 있다면 그것이 최신 기술이건 구식 기술이건 상관 없다는 이야기이다.  그렇기 때문에 비지니스적 감각이 없다면 생산성 있는 UX 솔루션을 고안하기란 쉽지 않을 것이다.  이 UX를 훌륭하게 실현하는 기업은  누구나 한번 쯤 들어봤을 법한 기업이 있다. 바로 애플이다. 애플은 아이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