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ssay - Technology, Essay - Intuition ] Chat GTP시대의 도래와 생각하는 방식에 대해 : 개발자의 미래에 대해

이미지
벌써 올해도 반쯤 지나 뜨거운 여름이 다가왔다. 굉장히 빠르게 지나간듯한 느낌이 드는데  아마 의미있는 시간을 보냈다는 이야기이기 때문에  그렇게 나쁜 신호는 아닐 것 이다. 괴로운 시간이였다면, 1초가 1년 같이 느껴졌을테니 말이다. 더위에 매우 약한 나에게 있어서는 지옥과 같은 시기이기도 하지만 늘 그렇던 것 처럼 에어컨 덕분에 어찌저찌 버틸 수 있을 것 같다. 어쨋든, 이번에는 저번의 에세이 주제, Chat GTP시대의 도래와 생각하는 방식에 대한 이야기에 이어서  과연 개발자의 미래는 어떻게 될 것인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어보려고 한다. 어쩌면 모두가 인식하고 있듯이 지금 2025년 현재,  꽤나 중요한 시기에 직면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생성AI의 발전 속도가 생각보다 빠르게 발전하고 있고,  그에 따라 실제 업무에서도 빠르게 사용되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개발자에게 있어서 가장 두려운 점은  당연히 생성AI에 의해 개발자가 대체될 것 이라는 두려움일 것 이다. 이는 개발자에게만 한정된 이야기는 아니지만 말이다. 아마 필드에서 나와 같이 일하고 있거나  개발자로서 직업을 가지려는 생각이 있는 사람이라면  한번쯤은 생각해볼법한 주제라 생각 한다. 물론 미래가 정확히 어떻게 될 지는 알 수 없으나  이런 생각을 함으로써 몇 가지 힌트는 얻게 될지도 모르니  만약 얻게 된다면 미래에 대한 방향성을 조금이나마 올바른 쪽으로 돌릴 수 있을 것 이다. 이 글을 끝맽을 때는 조금이라도 힌트에 도달하기를 바란다. 과거의 역사 이러한 의문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일반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바로 역사를 보는 것 이다. 물론 이러한 역사를 해결책을 찾는거에 대한 전제조건은  우리가 '구 인류'라는 전제조건이 있었을 때 의미가 있다. 그러니깐 현대인도 기원전 8세기의 고대 로마인도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는 것을 인정해야만 한다. 예컨데...

[ 생각 ] 가치에 대해


오늘은 예전에 저장 해놓은 것을 보고 갑자기 가치에 대해 생각해보고 싶어졌다.
그래서 가치에 대해 내 과거를 되돌아 보며 써보려고 한다.



어릴적에는 내가 어떤 것을 판단할 때, 물건에 가치에만 놓고 판단했다.
여기서 가치란 돈이다.

예를 들어 내가 군대에서 돈을 모아서 산 vita는 33만원이 였다.
단지 그 물건은 돈 33만원의 가치이구나 정도만 생각했다.

대학교 3학년 때는 어떤 것을 판단할 때,
나에게 필요한가 없는가에만 놓고 판단했다.
여기서 가치란 내가 어느 정도 원하는 정도다.

예를 들어 내 커리어적 목표에서 내가 외국에서 일하고 싶다는 가치는
나에게 있어서 매우 크다.

한국에서는 배울 수 없는 문화, 사람들의 생활 방식, 그 나라에서
밖에 나타나지 않는 문화적 차지 등등

그리고 결정적으로 이로 부터 얻을 수 있는 경험에 따른
나의 내적으로나 외적의 성장을 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또한 내 외국에서 일하는 것은 나의 꿈이기도 한 "진정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나 "소프트웨어 아키텍터"를 이루기 위해 해외에서의 경험은 나의 미래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 할 것이라고 생각 했기 때문이다.

그 것을 위해서라면 어느정도 희생해도 좋다고 생각 했다.
그래서 나는 내가 가장 많이가지고 있었던 리소스인 시간 사용함으로써
그 기회를 얻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조금 바뀌었다.

요즘에는 어떤 것의 가치를 판단할 때,
그것이 다른사람에게 얼마나 가치가 있느냐에 따라 판단하기 시작했다.

예를들어 내가 어떤 공부를 한다고 했을 때,
그것은 다른 사람들에게 가치를 줄 수 있느냐에 대해 생각을 한다.

지금 내가 VBA에 대해 공부 하고 있는데,
예전이라면 공부하지 않았을 것 이다.

왜냐하면 언어 자체에 매력이 없을 뿐더러, 나에게 가치 적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금은 공부를 하고 있다.

왜냐하면 이 것을 배움으로서 다른 사람들에게 가치를 부여 해줄 수 있기 때문이다.

설계서를 작성 할 때는 물론, DB의 값을 가져 올때,
DB에 삽입, 수정, 삭제 할때도 많이 쓴다.

따라서 내가 VBA를 다를 줄 알면, VBA에 대해 알고 있기 때문에,
해당 코딩의 작업이 필요하다면 내가 해줄 수도 있다.

즉, 나는 VBA를 배움으로써 나의 가치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나의 대부분의 행동은 이 가치를 남에게
얼마만큼 부여해 줄 수 있느냐에 따라 갈릴꺼 같다.

아마 나이를 더 먹다보면 이 가치도 바뀔 지도 모른다.

만약 결혼을 하게 된다면 가족이 가장 큰 가치가 될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앞으로 가치가 변하건 변하지 않건 간에
이제는 나를 위한 가치가 아닌 남을 위한 가치가 될 것은 틀림 없을 것 이다.

                                                                           2019/7/28
                                                                   역 근처 스타벅스에서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 Web ] 웹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 (Web Application Architecture)

[ Web ] 서버 사이드(Sever Side) ? 클라이언트 사이드(Client Side)? 1 [서론, 클라이언트 사이드(Client Side)]

[ Web ]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아키텍처의 정의 및 유형 ( Define and Types of Web Application Server Architectu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