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Blogger인 게시물 표시

[ Essay - Technology, Essay - Intuition ] Chat GTP시대의 도래와 생각하는 방식에 대해 : 개발자의 미래에 대해

이미지
벌써 올해도 반쯤 지나 뜨거운 여름이 다가왔다. 굉장히 빠르게 지나간듯한 느낌이 드는데  아마 의미있는 시간을 보냈다는 이야기이기 때문에  그렇게 나쁜 신호는 아닐 것 이다. 괴로운 시간이였다면, 1초가 1년 같이 느껴졌을테니 말이다. 더위에 매우 약한 나에게 있어서는 지옥과 같은 시기이기도 하지만 늘 그렇던 것 처럼 에어컨 덕분에 어찌저찌 버틸 수 있을 것 같다. 어쨋든, 이번에는 저번의 에세이 주제, Chat GTP시대의 도래와 생각하는 방식에 대한 이야기에 이어서  과연 개발자의 미래는 어떻게 될 것인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어보려고 한다. 어쩌면 모두가 인식하고 있듯이 지금 2025년 현재,  꽤나 중요한 시기에 직면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생성AI의 발전 속도가 생각보다 빠르게 발전하고 있고,  그에 따라 실제 업무에서도 빠르게 사용되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개발자에게 있어서 가장 두려운 점은  당연히 생성AI에 의해 개발자가 대체될 것 이라는 두려움일 것 이다. 이는 개발자에게만 한정된 이야기는 아니지만 말이다. 아마 필드에서 나와 같이 일하고 있거나  개발자로서 직업을 가지려는 생각이 있는 사람이라면  한번쯤은 생각해볼법한 주제라 생각 한다. 물론 미래가 정확히 어떻게 될 지는 알 수 없으나  이런 생각을 함으로써 몇 가지 힌트는 얻게 될지도 모르니  만약 얻게 된다면 미래에 대한 방향성을 조금이나마 올바른 쪽으로 돌릴 수 있을 것 이다. 이 글을 끝맽을 때는 조금이라도 힌트에 도달하기를 바란다. 과거의 역사 이러한 의문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일반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바로 역사를 보는 것 이다. 물론 이러한 역사를 해결책을 찾는거에 대한 전제조건은  우리가 '구 인류'라는 전제조건이 있었을 때 의미가 있다. 그러니깐 현대인도 기원전 8세기의 고대 로마인도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는 것을 인정해야만 한다. 예컨데...

[ Blogger ] 블로거를 이용해 각주 만들기 - 앵커 및 링크 그리고 윗 첨자 구현

이미지
블로그를 쓰다 보면 가끔 주석 또는 각주를 달아야 하는 일이 생긴다.  이전에는 그냥 텍스트로만 표시 했지만 최근에 들어서 블로그에서 제공하는  하이퍼 링크와 앵커를 만들어 각주 만들고 있다. 사실 알고보면 매우 간단하다.  일단 각주의 예를 보여줄 것이지만, 페이지 내부에 텍스트로 목차를 만들고,  해당 단락으로 이동 등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하이퍼 링크와 앵커란? 먼저 하이퍼 링크 는  우리가 웹을 이용할 때 자주 이용하는 것들 이다. 흔히 링크(link)라고도 이야기하며, URL이라고도 이야기 하는 것 이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이 구글 번역기 주소가 적혀 있고, 누르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하는 텍스트를 말한다. https://translate.google.co.kr/ 누르면 구글 번역기 사이트로 이동 된다. 정확히는 이것을 하이퍼 링크라고 부르며, 링크라고 부르기도, URL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다음으로 앵커(Anchor) 는 비교적 최근에 나온 개념으로  단어의 의미상 으로는 배의 닻이나  릴레이 경기의 최종 주자를 말하지만 HTML에서 사용하는 앵커(Anchor)는  하이퍼 링크의 출발지와 도착지를 말한다.   이 블로거에서 앵커 기능은 도착지를  설정한다고 생각하면 되며, 반대로 링크는 출발지를 설정하는 것이다. 앵커(Anchor) 설정 위에서 언급했다시피 매우 간단하다. 도구 바(Tools bar)를 보면 링크 삽입 또는 수정 이 있을 것이다. 위의 URL 만들기/수정 버튼 을 누르면 URL 을 지정할 수 있고, 앵커 만들기/수정 버튼 을 누르면 앵커 를 지정할 수 있다. 하지만 URL을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텍스트가 필요하다. 주석을 만들기로 했으니 주석을 대충 만들어보자. 링크를 걸 텍스트에 드래그하여 앵커를 만들 수 있다. 나는 주로 숫자에 링크 및 앵커를  달아놓는 편이기 때문에 숫자에 달았지만, 사실 [1] 잠 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