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Essay - Entropy인 게시물 표시

[ Architecture, Technology ,Web ] SSO(Single Sign On) 그리고 SAML에 대해

이미지
이번 프로젝트 내부에서 어쩌다보니  유저 인증 관련 업무를 담당하게 되었고, 해야하는 업무는 내부에 사용했던 적이 없던  새로운 개발 플랫폼에서  SSO의 프로토콜 중  SAML을 이용해 앱의 인증을 구현해야만 했다. SSO를 생각해본적 조차 없는 상황에 이를 새로운 개발 플랫폼에 도입해야 했기 때문에 많은 시행착오를 겪었으나 구현에 성공하였으며 덕분에 SSO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쌓을 수 있었다. 이번에는 그러한 과정에서 나온 지식들과 경험을  공유하고자 한다. SSO에 대한 정의 먼저 사전적 정의 부터 살펴보자. 다만, 기술적인 용어다보니 자주 사용하는 옥스포드 사전에 정의를 찾을 수 없기 때문에  검색으로 찾을 수 있는 정의를 몇 가지 살펴보고 교차 검증을 해보자. 첫 번째 정의를 살펴보자. Single sign-on (SSO) is an identification method that enables users to log in to multiple applications and websites with one set of credentials.  SSO는 웹사이트에서 한 번의 인증(one set of credentials)으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 할 수 있는 인증(identification) 방법(method) 이다. 두 번째는 위키피디아의 정의이다. Single sign-on (SSO) is an authentication scheme that allows a user to log in with a single ID to any of several related, yet independent, software systems. SSO는 독립적이지만 연관되어있는 몇몇 소프트웨어에 대해 하나의 ID로 로그인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인증 구조(scheme) 세부 설명에 조금 차이가 있어 보이지만 전체적인 틀은 매우 비슷해 보인다.  몇 가지 포인트가 되는 단어를 추출해 이를 연결해보자면 아래와 같은 의미를 산출 할 수 있다. 독립적이지만 연관되어 있

[ Essay - Entropy ] 엔트로피 세계관과 양적 완화(Quantitative Easing, QE) : 엔트로피 세계관과 양적 완화

이미지
이전 글로  양적 완화에 대해 어느 정도 이해했다면, (그러길 바라고 있다.) 드디어 다음 이야기로 넘어 갈 수 있다. 바로 엔트로피 세계관에서 양적 완화가  어떤 엔트로피를 쌓는가에 대한 이야기이다. 여기서 고려해봐야할 점은 일반적인 엔트로피 뿐만아니라 플러스 엔트로피의 요소가 존재해  플러스 엔트로피가 쌓이는 것도 고려해봐야할 것 이다. 양적 완화와 플러스 엔트로피 양적 완화로 얻고자 했던 것은  외부 요인을 배제하고 자국의 경제 활성화를 얻고자 했을 것이다. 조금 어렵게 말하자면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해 자국의 경제를 활성화시키려는 목적이 있었다. 결과적으로 시장에 '유동성 공급'은 성공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플러스 엔트로피로 볼 수 있을 것 이다. 하지만, 이로서 얻을 수 있는 엔트로피는 더욱 증가하게 되었다. 가장 대두되는 엔트로피는 '부의 양극화'이다. 양적 완화는 기본적으로 자국의 화폐를 찍어내서 국채나 사채를 사들임으로써 시장에 '유동성'을 넣어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렇기 때문에 직접 사람들에게 화폐를 뿌리는 것이 아닌 중앙 은행이 돈을 찍어내고,  이 찍어낸 돈으로 국채나 자국 회사채를 사서 국채의 경우는 폐기시키고  중앙 은행은 이 돈을 은행 준비금으로 보유 한다. 따라서 이론상으로는 실물 경제에 큰 영향이 없을 것이다. 중앙 은행과 정부가 손을 잡고,  정당한 방법으로 '사기'를 치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물론 어떤 사람은 그렇게 복잡하게 돌려서 하지 말고 직접 모든 사람들에게 돈을 뿌리면 좋은거 아닌가?라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럴 경우 나타날 수 있는 리스크가 너무 크다. 1차 세계대전에서 패한 독일이  전쟁배상금으로 화폐를 마구 찍어내면서 나타난 현상을 보면 화폐 자체를 뿌리는 것은 리스크가 너무나도 크다. 나라 경제 자체가 붕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돌고 돌아서 시장에만 유동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양적 완화로

[ Essay - Entropy ] 자아(지식)의 대폭발에 대해

이미지
자아의 대폭팔에 대해 알고 있는가? 당연히 모를 것이다. 내가 지어낸 말이기 때문이다. 모르는 것이 당연하다. 나는 이런 자아(지식)의 대폭팔를 여러번 겪어왔었고, 그리고 왜 이런 것이 나에게 일어났는지에 대해 최근에 직감을 얻어냈다. 오늘은 이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자. 자아 혹은 지식의 대폭발에 대해 이는 리프킨의 엔트로피 세계관을 통해 설명하기로 하겠다. 리프킨의 엔트로피 세계관에 대해서는  이전 에세이에서 설명한바가 있기 때문에 따로 언급하지는 않겠다. 여기서 말하는 자아 혹은 지식의 대폭팔이란 마치 우주의 대폭발 빅뱅이 일어나서  그 에너지로 인해 수 많은 행성들이 생성된것 처럼  사람의 머리속에서 알고자하는 욕구가  자아가, 또는 지식이 깨지면서  내면의 자아가 깨지고, 머리속에 있던 수 많은 지식들이 터지면서 깨진 것들이 고쳐지고 개선되어지면서 끊어지고, 연결되고 확장되어 재형성 되는 것을 말한다. 리프킨의 엔트로피 세계관으로 이야기 하자면 알고자하는 욕구가 그리고  자아에 엔트로피가 쌓이면서 팽창되어  최대치에 다다를 때 터지는 것이다. 나는 이런 지식 또는 자아의 대폭팔을  인생에서 2번 겪은적이 있다. 한번은 내가 한국 생활을 하면서, 그리고 마지막 한번은 외국 생활에서 2~3년차 일때 였다. 이런 지식의 대폭팔의 일어남으로서 나타나는 가장 큰 장점은 자신이 가지고 있던  모든 것들이 재형성되는 것에 있다. 여기에서 재형성되는 것들은 자아일 수도 있고, 지식일 수 도 있으며, 어떤 관념이나 신념 등이 될 수 있다. 그 중에 부수적인 것이 지식인데, 재형성 되는 과정 속에서 가지고 있던 지식들이  다시 얽키고 설켜, 새로운 형태의 직감으로 형성 된다. 또한 내가 아마 인식하지 못한  수 많은 장점들이 존재한다고 생각 한다. 하지만 이런 대폭팔의 원인인 엔트로피는  사람에게 좋은 영향을 나타내는 것들이 아니다. 이 중에 가장 약한 것은 스트레스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가장 약한 엔트로피인 스트레스는 해소되는 것이 아니다. 사람이 스트레스를 받

[ Essay - Entropy ] 한국 사회의 엔트로피는 한계에 도달해 있다

이미지
나는 최근 들어 한국 사회는 엔트로피가  너무나도 쌓여있어 한계에 도달한듯 보인다. 최근에 들어 나타난 남녀갈등을 포함해 과거 부터 있어왔고 아직 해소되어 있지 않은 정치적 지역갈등, 사회가 더욱더 빠르게 변하면서 생기는 세대 갈등 등 사회 전반적으로 엔트로피가  터질듯이 쌓여있어 불안해 보인다. 물론 어떤 사람들은 한국에 살지도 않은 놈이 한국 사회를 논하냐며 멱살을 잡을지도 모르겠다. 집안에 불쾌한 냄새는  집에 살고 있는 사람에게는 코가 마비되어서 눈치채지 못하지만, 밖에 있다가 다시 집으로 들어올때  집안의 냄새가  얼마나 고약한지에 대해 눈치챌수 있듯이 한 국가에만 살고 있으면 그러한  불쾌한 냄새를 눈치채기는 힘들 것이며 눈채채더라도 불쾌한 냄새를 다른 국가에  알리고 싶지 않기 때문에 감추려할 것 이다. 물론 이러한 행위는 국가가 이러한 대처를 한다면 외교적인 면으로 보면 당연한 행동이다. 굳이 다른 나라들에게 좋지 않은 패를 보여줄 이유는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내부에 살고 있는 민주주의 사회에 살고 있는 그리고 스스로 그런 사회에 살고 있다고 믿고 있는  The People들이라면 이야기가 다를 것 이다. 각 개인의 목소리를 가질 수 있는 민주주의 사회의  The People이라면 각자의 생각 혹은 직감을 가질 필요가 있고 이를 가지고 탁상에 앉아 좀 더 진리에 가까운  '부분적 진리'로 갈고 닦기 위해 이야기를 시작해야만 한다. 하지만 적어도 지금 내가 살고 있는 사회  그리고 살았던 사회에서는 The People 사이에서  그런 이야기는 하지 않는다. 이는 민주주의의 한계이기 보다는  이를 받아들이는 현대인들의 한계라고 보는 것이 맞을 것이다. 아니면, 인류의 역사가 기록된  대략 2000년 동안의 인류에게 민주주의라는 이념을 받아드리기에는 아직 시기 상조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설사 그렇다 하더라도, 항상 '어쩔 수 없다', '그게 현실이다'라고  이야기하며 인간의 존엄성을 버린  비열한 인간들

[ Essay - Entropy ] 엔트로피 세계관과 양적 완화(Quantitative Easing, QE) : 양적 완화에 대해

이미지
현재 우리들의 주된 경제 정책은  대부분 양적 완화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렇다면 엔트로피 세계관과 양적 완화에 대해 이야기해보기 전에  우선 양적 완화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 부터 출발 하는것이  옳을 것이라 생각한다.  그렇다면 양적 완화란 무엇일까? 양적 완화가 무엇이길래  선진국들이 그렇게 하고 싶어 하는 것일까? 양적 완화는 Quantitative Easing 으로  줄여서 보통 QE라고 불리고 있는  케인즈 경제학(거시 경제학의 총 수요) 기반의 재정 정책이다. 케인즈 경제학(거시 경제학의 총 수요)에 따르면, 총 수요(AD) = 소비자 지출(C) + 투자(I) + 정부 지출(G) +  순 수출(NX → X(총 수출액) - M(총 수입)) 의 수학적 모델로 정의로 가능한데, 결국 총 수요(AD)는  이 4가지 요소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거시 경제학 관점에서 경제가 불안하다는 것은 이 4가지 요소의 어느 요소가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소비자 지출(C)가 부족하다면, 정부 지출(G)를 더욱 늘려 보완한다는 식으로 할 수 있다. 과거의 국가들이  정부 주도의 국가 공공 산업을  진행하는 이유가  이 거시 경제학 모델에서 나온 아이디어다. 이러한 4가지 요소 중에서 정부가 가장 손쉽게 할 수 있는 것이  정부 지출(G)이며, 이러한 정부 지출을 늘림으로써  총 수요(AD)를 증가 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사실 알수는 없지만 믿고 있다고 봐야 할지도 모르겠다) 한국의 과거부터 경기부양책에  공공 사업이 계속해서 나오는 이유가 이런 거시 경제학의 기반을 두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양적 완화를 진행한다면 , 어떤 효과를 볼 수 있을까에 대해  궁금증이 떠오를 것이다. 소비자 지출(C)일까? 아니면 투자(I)? 정부 지출(G)? 순 수출(NX)? 아니면 이 4가지 요소 전부를 촉진시키는  효과를 볼 수 있을까? 그렇다면 이제 다음으로 넘어가 양적 완화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들에 대해 이야기 해보자. ・첫 번째 효과

[ Essay - Entropy ] 엔트로피에 대해

이미지
유년기때 읽은 해밍웨이의 노인과 바다와 청년기에 읽은 해밍웨이의 노인과 바다 그리고 중년기에 읽은  해밍웨이의 노인과 바다가 다르다고 했던가. 최근에 제레미 리프킨의  엔트로피를 다시 한번 읽었다. 이유는 과거에 제대로 읽지 않았기 때문에 시간이 된다면 최우선으로  다시 읽자라는 생각을 했었기 때문이다.  물론 유년기와 청년기 사이의 시간만큼은 아니지만 말이다. 어쨋든 다시 읽으면서 나는 엔트로피와 현재에 대한  에세이를 쓰고 싶은 욕구가 쓰나미가 밀려오듯이  나에게 다가왔다. 그래서 다른것을 우선 제쳐두고 이것부터  내가 만족할때 까지 쓰려고 한다. BEP 프로젝트를 우선 해야할까 싶기는 하지만 에자일 부분에서 잘 나아가지 않는 바람에 작성이 밀리고 있다. 어쨋든 쓸때없는 이야기는 여기까지 하고 이런 엔트로피 세계관에 기반해 사회 여러 문제들을 생각해보면  조금은 해결책이 나오지 않을까하는 생각에서 시작했다. 다시 말해서 리프킨의 주장에 설득당했다는 이야기이다. 그렇다면 설득당해버린 김에 여기에 올라타서 현실 세계를  조금 들여다보기로 하기로 했다. 이번 에세이는 다른 글들과 다르게  꽤나 긴 글이 될 것이다. 왜냐하면 이런 엔트로피 세계관을 대입해  사회 문제에 대해 이해하려는 시도를  해보고 싶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먼저 엔트로피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엔트로피란 무엇인가 엔트로피 법칙에 대해서는  단순한 지식 쑤셔넣기에 익숙한 현대인이라면  열역학의 제 1법칙과 제 2법칙에 대해  한번 쯤은 들어본적이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한 정의는 아래와 같다. "우주에 있는 모든 에너지의 총화는 일정하고(제1법칙) 모든 엔트로피는 끊임없이 증대된다(제2법칙)" 제 1법칙은 흔히 알고 있는 에너지 보존 법칙 예를 들어 자동차가  가솔린에서 에너지를 얻는 방법으로 설명하자면 가솔린에서 얻을 수 있는 총 에너지는 엔진을 움직이는 에너지와 배기 가스 속의 에너지의 합과 같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제 2법칙은 이런 과정에서 사용 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