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Coursera인 게시물 표시

[ Essay - Technology, Essay - Intuition ] Chat GTP시대의 도래와 생각하는 방식에 대해 : 개발자의 미래에 대해

이미지
벌써 올해도 반쯤 지나 뜨거운 여름이 다가왔다. 굉장히 빠르게 지나간듯한 느낌이 드는데  아마 의미있는 시간을 보냈다는 이야기이기 때문에  그렇게 나쁜 신호는 아닐 것 이다. 괴로운 시간이였다면, 1초가 1년 같이 느껴졌을테니 말이다. 더위에 매우 약한 나에게 있어서는 지옥과 같은 시기이기도 하지만 늘 그렇던 것 처럼 에어컨 덕분에 어찌저찌 버틸 수 있을 것 같다. 어쨋든, 이번에는 저번의 에세이 주제, Chat GTP시대의 도래와 생각하는 방식에 대한 이야기에 이어서  과연 개발자의 미래는 어떻게 될 것인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어보려고 한다. 어쩌면 모두가 인식하고 있듯이 지금 2025년 현재,  꽤나 중요한 시기에 직면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생성AI의 발전 속도가 생각보다 빠르게 발전하고 있고,  그에 따라 실제 업무에서도 빠르게 사용되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개발자에게 있어서 가장 두려운 점은  당연히 생성AI에 의해 개발자가 대체될 것 이라는 두려움일 것 이다. 이는 개발자에게만 한정된 이야기는 아니지만 말이다. 아마 필드에서 나와 같이 일하고 있거나  개발자로서 직업을 가지려는 생각이 있는 사람이라면  한번쯤은 생각해볼법한 주제라 생각 한다. 물론 미래가 정확히 어떻게 될 지는 알 수 없으나  이런 생각을 함으로써 몇 가지 힌트는 얻게 될지도 모르니  만약 얻게 된다면 미래에 대한 방향성을 조금이나마 올바른 쪽으로 돌릴 수 있을 것 이다. 이 글을 끝맽을 때는 조금이라도 힌트에 도달하기를 바란다. 과거의 역사 이러한 의문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일반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바로 역사를 보는 것 이다. 물론 이러한 역사를 해결책을 찾는거에 대한 전제조건은  우리가 '구 인류'라는 전제조건이 있었을 때 의미가 있다. 그러니깐 현대인도 기원전 8세기의 고대 로마인도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는 것을 인정해야만 한다. 예컨데...

[ Ruby On Rails, Ruby, Coursera ] Ruby On Rails를 중단하면서

이미지
막 Ruby On Rails에 대해 공부를 시작했을 시점은 Django의 토이 프로젝트가 마무리되고 있었고 코로나 때문에 일을 잠시 쉬었던 기간이 였다. 그렇기에 Ruby On Rails도 건드려보고 싶어서 늘 그렇듯이 욕심을 내고 기획을 했었는데 복직을 하고 나서 일이 바뻐지기 시작하면서 에세이를 쓰는데에도 벅차기 시작했다. 게다가 다음 이직은 아마 Python의 Django 쪽으로 거의 마음을 먹었기 때문에 여러가지 하는 것 보다는 Django쪽에 집중하는 것이  아무래도 좋을 것 같다는 판단도 들었다. 따라서 개인적으로 매우 아쉽다고 생각하지만 일단 Ruby On Rails는 중단하기로 하고 에세이와 Python에 좀 더 집중하기로 결정 했다. 이후 시간이 널널하다면 포스트를 재개하고 토이 프로젝트 때 다루었던  기능들을 Ruby On Rails로 구현해보려고 한다.

[ Ruby On Rails, Ruby, Coursera ] Ruby On Rails : Ruby ② - Ruby의 흐름 제어, Function과 Method, 파일 읽기/쓰기, 환경 변수

이미지
  다음은 Ruby의 제어 흐름(Flow of Control)에 대한 이야기이다. Ruby의 흐름 제어 흐름 제어 쪽에서 알아볼 것은 말 그대로  Ruby에서 흐름을 제어하는 명령어에 대한 것을 말한다. 일반적인 if/elseif/else, while/for의 모습도 보이지만 다른 형태의 흐름 제어 명령어도 보인다.  기본적으로 if, elseif, else의 경우는  다른 언어와 큰 차이는 없어보이며 Python과 마찬가지로 블록을 사용하지 않고  end를 사용해 끝을 알리는 것 같다. 조금 특이한 것이 있다면 아닐 경우를  unless라는 명령어로 구분하는 부분이다. 다음으로 while과 until인데 사실 while이라는 명령어가 ~동안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익숙하지 않다면 자주 헷갈리는 부분이다. Ruby의 경우는 until이라는 명령어가 있어서 until을 사용한다면, 가독성이 상승할 것 같다. modifier form(수정자 폼)이라는 것도 있는데, 이 기능은 영어 형식에 대해  가독성을 높일 수 있게 만든 것이기 때문에 다른 언어권이면 잘 사용하지 않을 것 같다. 강의에서는 자연스러운 영어 처럼 읽을 수 있기 때문에  표현 방식이 풍부해질 수 있다고는 이야기한다. 놀랍게도 Ruby에서는 모든 것이 true 를 반환한다고 한다. 단, fasle 와 nil 라는 객체를 빼고 말이다. Ruby에서는 '==='의 명령어를 지원하는데, '==='는 해당 문자열을 포함하는지와 같은  정규식을 활용할 때나 '=='와 똑같은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심지어 정수 클래스(Integer)와 정수 값(21)을 비교할 경우에도 '==='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Case 표현에 관한 내용이다. 2가지 방법이 존재하는데,  if문을 활용할 때와 유사한 방식과 case ~ when로 값을 비교해 제어하는 방식이다. 전자의 경우 상단의 코드를 나타내는데, '...

[ Ruby On Rails, Ruby, Coursera ] Ruby On Rails : Ruby - ① Ruby의 기본

이미지
  해당 강좌를 이제 본격적으로 시작해보자. 물론 앞서 Ruby의 기초를 넘기고, 바로 Ruby On Rails로 넘어갈 수 는 있을 것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일에는 순서가 있는 법이고 설사 알고 있다고 하더라도  모든 것을 외울수는 없기에 다시 한번 보는 것도 나쁘지 않은 선택이다. 나는 오히려 이쪽을 좀 더 선호하는 편이다. 따라서 Ruby On Rails를 시작하기 앞서 Ruby의 기초를 알고 넘어가자. 이번 글의 내용은 Ruby on Rails: An Introduction>2주 차>Ruby Basics 에 해당 된다. Ruby의 기본 Ruby는 기본적으로 객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심지어 정수 조차도 완전한 객체로 구성되어 있다. Ruby를 만든 마츠모토 유키히로는 Ruby를 프로그래머들을 행복하게 하도록 설계 했다 고 하는데 이는 Java와 Ruby의 코드 구성을 보면  그의 이야기에 쉽게 납득할 수 있을 것 이다. 자바의 경우 콘솔에 Hello World를 띄우기 위해서는 먼저 클래스를 선언하고, 그 아래에 Main 메소드에  반복문인 For문을 활용해 코드를 작성해야 한다. 하지만 Ruby의 경우 단 한 줄이면  콘솔에 Hello World를 출력할 수 있다. 위의 예를 통해  Ruby는 표현력이 뛰어나며, 가독성이 매우 좋다는 것 을 알 수 있다. Ruby는 Python과 유사하게  코드의 중첩 수준(nested level)에 대해 들여쓰기로 구분된다. 다만 이는 권장 사항일 뿐이며 Python과 같이 강제하지는 않는다. 또한 주석(comments)는 #을 통해 작성할 수 있지만, 강의에서는 Ruby는 언어 자체의 표현력이 강력하기 때문에  즉, 가독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주석을 적당히 사용하라고 권하고 있다. 콘솔에 출력하기 위한 명령어로 puts 과 p 를 활용할 수 있는데, puts은 Ruby의 표준 String 콘솔 출력 메소드로 Java의 System.out...

[ Ruby On Rails, Coursera ] Ruby On Rails을 시작하면서

이미지
Ruby On Rails의 적절한 튜토리얼을 찾아봤지만, Django의 모질라 튜토리얼 처럼 글로만 적혀있는 포스트는 찾기가 힘들었다. 그래서 조금 번거럽더라도 Coursera쪽을 이용하기로 했다. 강의의 소개나 소프트웨어 설치에 관한 내용은 넘어가기로 하겠다. 해당 글로가서 직접 확인하는 것이 빠를 것이다. 강의의 이름은 John Hopkins 대학의 Ruby On Rails: An Introduction라는 강의이다. 지금까지 Coursera에서 들었던 강의들은  모두 수준이 좋았기 때문에  이번 강의도 훌륭한 강의가 될 것이라 생각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