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Essay - Redefinition인 게시물 표시

[ Essay - Technology, Essay - Intuition ] Chat GTP시대의 도래와 생각하는 방식에 대해 : 개발자의 미래에 대해

이미지
벌써 올해도 반쯤 지나 뜨거운 여름이 다가왔다. 굉장히 빠르게 지나간듯한 느낌이 드는데  아마 의미있는 시간을 보냈다는 이야기이기 때문에  그렇게 나쁜 신호는 아닐 것 이다. 괴로운 시간이였다면, 1초가 1년 같이 느껴졌을테니 말이다. 더위에 매우 약한 나에게 있어서는 지옥과 같은 시기이기도 하지만 늘 그렇던 것 처럼 에어컨 덕분에 어찌저찌 버틸 수 있을 것 같다. 어쨋든, 이번에는 저번의 에세이 주제, Chat GTP시대의 도래와 생각하는 방식에 대한 이야기에 이어서  과연 개발자의 미래는 어떻게 될 것인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어보려고 한다. 어쩌면 모두가 인식하고 있듯이 지금 2025년 현재,  꽤나 중요한 시기에 직면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생성AI의 발전 속도가 생각보다 빠르게 발전하고 있고,  그에 따라 실제 업무에서도 빠르게 사용되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개발자에게 있어서 가장 두려운 점은  당연히 생성AI에 의해 개발자가 대체될 것 이라는 두려움일 것 이다. 이는 개발자에게만 한정된 이야기는 아니지만 말이다. 아마 필드에서 나와 같이 일하고 있거나  개발자로서 직업을 가지려는 생각이 있는 사람이라면  한번쯤은 생각해볼법한 주제라 생각 한다. 물론 미래가 정확히 어떻게 될 지는 알 수 없으나  이런 생각을 함으로써 몇 가지 힌트는 얻게 될지도 모르니  만약 얻게 된다면 미래에 대한 방향성을 조금이나마 올바른 쪽으로 돌릴 수 있을 것 이다. 이 글을 끝맽을 때는 조금이라도 힌트에 도달하기를 바란다. 과거의 역사 이러한 의문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일반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바로 역사를 보는 것 이다. 물론 이러한 역사를 해결책을 찾는거에 대한 전제조건은  우리가 '구 인류'라는 전제조건이 있었을 때 의미가 있다. 그러니깐 현대인도 기원전 8세기의 고대 로마인도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는 것을 인정해야만 한다. 예컨데...

[ Essay - Redefinition ] 예술이란 무엇인가

이미지
예술이란 무엇일까? 가끔 그 동안 찍은 사진들을 볼 때  나는 특정 사진을 보고는 항상 예술에 대해 떠올리고는 한다. 그리고 그 특정 사진은 아래의 사진이다. 이 사진은 꽤 오래 전 육교에서 찍은 사진이다. 다른 사람이 보기에는  아마도 그냥 꽃이 놓여져 있는 사진에 불과하겠지만  나에게는 꽤나 임팩트가 있는 사진이다. 그럴게 나는 기억력이 그리 좋은 편이 아닌데에도 이 사진을 보기만 하면 그 때의 감정이 그대로 몰려와 기억이 자연스럽게 떠올려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나는 이에 해당하는 한 단어를 떠올리는데 그것이 예술이라는 단어이다. 왜 그러할까? 이것은 정말로 예술이기에 그러할까? 이것이 정말 예술인지 아닌지를 떠나서 예술은 무엇일까? 이번에는 이러한 의문을 파헤쳐보기 위해  예술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한다. 예술의 정의에 대해 먼저 일반적인 인식에 대해 생각해보자. 이 부분에 대해서는 충분한 데이터 없이  일반적인 인식을 내 스스로 정의하는 것이 매우 석연치 않지만 내가 이야기하고자 하는 주제는 이 부분이 아니므로  나의 인식으로 대체하려고 한다. 그렇다면 일상 생활에서 예술이라는 단어는 어느 상황에서 사용될까? 아마 대부분의 경우 넓은 범위에서의 예술을 의미하지는 않을 것 이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접하는 예술이라고 불리우는 것이  무엇인지를 먼저 살펴보면 조금이나마 이에 근접 할 수 있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모나리자, 반 고흐의 해바라기나 별이 빛나는 밤,  그리고 미켈란 젤로의 다빈치 상 까지  흔히 '걸작'이라는 것에 대부분 머물러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아마 예술가들과  나를 포함한 예술에 대해 깊게 생각해본 적 없는 사람들의 예술에 대한 정의는 매우 상이함에는 틀림이 없을 것 이다. 따라서 현실에서 듣거나 이야기할 때 나오는 예술이란 예술이란 걸작, 그러니깐 마스터 피스에 가까운 것  혹은 그에 준하는 것에 대한 감탄이라는 것을 ...

[ Essay - Redefinition, Essay - Intuition ] 휴식에 대해

이미지
서론 삶을 살아가면서  공통적으로 깨달아가는게 몇 가지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아마 휴식의 인식에 변화가 있을 것 이다. 왜냐하면 어린 시절의 나의 휴식에 대한 생각은  단지 내가 좋아하는 것을 하는 시간에 불과했고 이는 굉장히 기분에 따라 즉흥적이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금은 다르다. 단순히 내가 좋아하는 것을 한다고 하더라도 잘 휴식을 취했다고 볼 수 없다. 누구든 이러한 경험이 있지 않은가? 물론 이에 대한 명확한 근거를 제시할 수는 없지만 분명 주말에 내가 좋아하는 것들을 했음에도  하루 종일 잠을 자거나 아무것도 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즉, 휴식을 취했음에도 불구하고  왜 월요일에는 그토록 피곤했던 경험 말이다. 아마 어떠한 사람에게는 매주 월요일이  그러할 지도 모르겠다. 왜 그럴까?  이번에는 이 휴식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보자. 휴식에 정의 물론 서론에서 이야기한  '스스로 좋아하는 것'을 하는 것 또한  휴식에 한 가지 요소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이 것 하나 만으로는  잘 휴식을 취했다고 보기는 매우 힘들기 때문이다.  그렇지 않은가? 왜냐하면 아무리 그런식으로 휴식을 취했다고 한들 다음날 피곤해서 제대로 된 일을 할 수 없는  경우는 누구나 경험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야기에 들어가기 앞서 휴식에 대한 재정의가 필요하다. 그렇다면 이쯤에서 옥스포드 사전에 정의를 살펴보자. 일반적으로 영어로 휴식은 Rest [1]  이며  이에 대한 정의는 아래와 같다. a period of relaxing, sleeping or doing nothing after a period of activity 일정 기간 활동 후 잠을 자거나 아무것도 하지 않는 해소하는(relaxing) 기간 나는 이 정의 중 집중하고 싶은 단어가 있는데  바로 Relaxing이다. 나는 이 단어가 휴식이라는  한 단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