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Essay - etc인 게시물 표시

[ Essay - Technology, Essay - Intuition ] Chat GTP시대의 도래와 생각하는 방식에 대해 : 개발자의 미래에 대해

이미지
벌써 올해도 반쯤 지나 뜨거운 여름이 다가왔다. 굉장히 빠르게 지나간듯한 느낌이 드는데  아마 의미있는 시간을 보냈다는 이야기이기 때문에  그렇게 나쁜 신호는 아닐 것 이다. 괴로운 시간이였다면, 1초가 1년 같이 느껴졌을테니 말이다. 더위에 매우 약한 나에게 있어서는 지옥과 같은 시기이기도 하지만 늘 그렇던 것 처럼 에어컨 덕분에 어찌저찌 버틸 수 있을 것 같다. 어쨋든, 이번에는 저번의 에세이 주제, Chat GTP시대의 도래와 생각하는 방식에 대한 이야기에 이어서  과연 개발자의 미래는 어떻게 될 것인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어보려고 한다. 어쩌면 모두가 인식하고 있듯이 지금 2025년 현재,  꽤나 중요한 시기에 직면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생성AI의 발전 속도가 생각보다 빠르게 발전하고 있고,  그에 따라 실제 업무에서도 빠르게 사용되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개발자에게 있어서 가장 두려운 점은  당연히 생성AI에 의해 개발자가 대체될 것 이라는 두려움일 것 이다. 이는 개발자에게만 한정된 이야기는 아니지만 말이다. 아마 필드에서 나와 같이 일하고 있거나  개발자로서 직업을 가지려는 생각이 있는 사람이라면  한번쯤은 생각해볼법한 주제라 생각 한다. 물론 미래가 정확히 어떻게 될 지는 알 수 없으나  이런 생각을 함으로써 몇 가지 힌트는 얻게 될지도 모르니  만약 얻게 된다면 미래에 대한 방향성을 조금이나마 올바른 쪽으로 돌릴 수 있을 것 이다. 이 글을 끝맽을 때는 조금이라도 힌트에 도달하기를 바란다. 과거의 역사 이러한 의문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일반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바로 역사를 보는 것 이다. 물론 이러한 역사를 해결책을 찾는거에 대한 전제조건은  우리가 '구 인류'라는 전제조건이 있었을 때 의미가 있다. 그러니깐 현대인도 기원전 8세기의 고대 로마인도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는 것을 인정해야만 한다. 예컨데...

[ Essay - Etc ] 흥미로운 한국 경제

이미지
한국 경제는 매우 흥미롭다. 아니 사실은 한국이라는  나라 자체가 매우 흥미롭다고 해야 옳을지도 모르겠다. 그면에 있어서는 자부심을 가져도 좋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전쟁이 이루어졌던 나라에서 반 세기만에 세계에서 손꼽히는 경제력을 보유한 나라는  사실 없다고 보는 것이 사실이기 때문이다. 이에 관해서는 오만해지지 않는다는 가정하에서는  다소 자부심을 가질 수 있다고 생각 한다. 하지만, 이는 이런 경제력을 보유하기 위해 기반을 쌓은 나의 할아버지, 할머니 세대의 희생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 이다. 자신들이 사과를 받아야 마땅한 권리를 달러를 주고 팔고, 달러를 벌기 위해 외국 탄광이나 간호사로서 일해야만 했던 그 분들 말이다.  과거에도 그리고 지금에도  기축 통화인 펀더멘탈을 가지지 못해 지금의 경제구조를 가질 수 없었을 것 이다. 그리고 이런 가까운 선조들의 희생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고,  오늘도 차디찬 도시 구석에서 고독사하고 있을지도 모른 나의 가까운 선조들에 대한 모국의 태도에 매우 유감스럽다. 어쨋든 오늘은 흥미로운 한국 경제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한국의 경제 지표에 대해 흥미로운 한국 경제를 이야기 앞서 먼저  유용한 지표를 몇 가지 살펴보고  몇 가지 특성들을 추출해볼 필요가 있다. 왼쪽부터 국제 통화 기금(2019), 세계 은행(2019), 유엔(2018)이 발표한  특정 연도에 한 국가 내에서 생산된 모든 최종 상품 및 서비스의 가치를  달러로 환산하여 같은 해 평균 인구로 나눈 1인당 명목 GDP이다. 대략 31000불로, 대충 환산하면  3000만원 정도의 1인당 상품 및 서비스의 가치를 지니고 있는 셈이다. 다음으로  특정 년도의 한 국가 내에 생산된  모든 최종 상품 및 서비스의 구매력 평가 GDP(PPP)이다. 왼쪽부터 동일하게  국제 통화 기금(2020), 세계 은행(2019),  중앙 ...

[ Essay - Etc ] 직감(Intuition)이란 무엇인가?

이미지
나는 어떤 문제에 대해  이런 직감들을 가지려고 수 없이 노력 한다. 이런 직감을 도출하는 과정을 좋아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도출된 직감이 사회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하는 마음도 있기 때문이다. 마치 이런 자신의 직감을 정리해  이념을 제시했던 수 많은 선조들 처럼 말이다. 아마 내 마음속 한켠에는  그들 처럼 되고 싶다는 마음이 있을지는 모르겠다. 내가 그들 처럼 되고 싶은 이유는  내가 선조들에게 받았던 그들의 직감들은  나의 인생 전반적으로 영향을 끼쳤고 내 스스로 앞으로 나아가기 위한 원동력이 되어주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나 또한 선조들 처럼 미래의 후손들에게 또는 같이 이 사회를 살아가는 각 개인들에게  좋은 영향을 주어 원동력이 되어 주고 싶기 때문이다. 나의 개인 블로그에 계속해서  글을 개시하는 이유는 이런 이유가 가장 크다. 이전에도 언급했듯이 애초에 나는 블로그를 IT를 포함한 나의 에세이를  공개할 생각은 전혀 없었다. 단순히 백업용 블로그로 사용할 예정이였다. 특히 에세이 쪽의 이야기들은   어떤 사람들에게는 매우 불쾌할 수 있어  그런 사람들에게 공격 당하기 쉽기 때문에  공개할 생각은 더더욱 없었다. 그럼에도 내가 에세이를 비롯한 이 블로그의 모든 글을  공개하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내가 살아가면서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을 받았듯이 나도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을 받았기에 이것을 되돌려줄 수 있는 방법은  내가 할 수 있는 한해서 사회 안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