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ssay - Technology, Essay - Intuition ] Chat GTP시대의 도래와 생각하는 방식에 대해 : 개발자의 미래에 대해

이미지
벌써 올해도 반쯤 지나 뜨거운 여름이 다가왔다. 굉장히 빠르게 지나간듯한 느낌이 드는데  아마 의미있는 시간을 보냈다는 이야기이기 때문에  그렇게 나쁜 신호는 아닐 것 이다. 괴로운 시간이였다면, 1초가 1년 같이 느껴졌을테니 말이다. 더위에 매우 약한 나에게 있어서는 지옥과 같은 시기이기도 하지만 늘 그렇던 것 처럼 에어컨 덕분에 어찌저찌 버틸 수 있을 것 같다. 어쨋든, 이번에는 저번의 에세이 주제, Chat GTP시대의 도래와 생각하는 방식에 대한 이야기에 이어서  과연 개발자의 미래는 어떻게 될 것인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어보려고 한다. 어쩌면 모두가 인식하고 있듯이 지금 2025년 현재,  꽤나 중요한 시기에 직면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생성AI의 발전 속도가 생각보다 빠르게 발전하고 있고,  그에 따라 실제 업무에서도 빠르게 사용되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개발자에게 있어서 가장 두려운 점은  당연히 생성AI에 의해 개발자가 대체될 것 이라는 두려움일 것 이다. 이는 개발자에게만 한정된 이야기는 아니지만 말이다. 아마 필드에서 나와 같이 일하고 있거나  개발자로서 직업을 가지려는 생각이 있는 사람이라면  한번쯤은 생각해볼법한 주제라 생각 한다. 물론 미래가 정확히 어떻게 될 지는 알 수 없으나  이런 생각을 함으로써 몇 가지 힌트는 얻게 될지도 모르니  만약 얻게 된다면 미래에 대한 방향성을 조금이나마 올바른 쪽으로 돌릴 수 있을 것 이다. 이 글을 끝맽을 때는 조금이라도 힌트에 도달하기를 바란다. 과거의 역사 이러한 의문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일반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바로 역사를 보는 것 이다. 물론 이러한 역사를 해결책을 찾는거에 대한 전제조건은  우리가 '구 인류'라는 전제조건이 있었을 때 의미가 있다. 그러니깐 현대인도 기원전 8세기의 고대 로마인도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는 것을 인정해야만 한다. 예컨데...

[ Django, Python ] Python에서 Kawrgs와 Args라는 인수(Argument) 또는 매개변수(parameter)에 대해

KawrgsArgs라는 인수에 대해 : ArgsKawrgs?

Python이라는 언어를 다루다보면 kawrgsargs라는 인수(argument)매개 변수
(parameter)를 자주 볼 수 있다.

나는 보통 라이브러리의 매개 변수로서 많이 사용하는 것을 많이 봤다.

이번 Django를 다룰때도 역시 이 kawrgsargs라는 인수 또는 매개변수가 자주보였다.

그래서 이번에는 이 두 가지 인수(argument) 혹은 매개 변수(parameter)의 의미에 대해
확실히 알고 넘어가 보기로 하자.

우선 두 가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먼저 알아야 하는 개념이 있다.
키워드 인수(Keyword Argument)라는 개념 이다.



KawrgsArgs라는 인수에 대해 : 키워드 인수(Keyword Argument)

일반적으로 함수를 호출할 때,
변수 혹은 함수의 정의되어있는 매개 변수 data type에 맞는 data인수로 넣어주었다.

만약 integer의 값과 String 값를 받아
두 개를 이어서 리턴해주는 sum_int_string이라는 함수가 있다고 가정해보자.

그렇다면 아래와 같은 Python 코드가 될 것이다.


그리고 위의 함수를 호출하는 코드는 아래와 같다.


그리고 컴파일 해보면 아래의 사진과 같이 1Hello 라는 텍스트가 콘솔에 표시된다.


하지만 아래와 같이 두 개의 인수를 바꿔서 호출하면 당연히 에러가 날 것이다.


실제 아래와 같은 컴파일 에러가 난다.


하지만, Python에서는 키워드 인수(Keyword Argument)라는 것을 지원해 준다.

키워드 인수(Keyword Argument)란 정의한 함수의 매개변수의 이름으로
매개변수 이름에 인수를 함께 넣어 전달하는 방법을 말한다.

키워드 인수를 사용해 함수를 호출하면,
호출 할 때 인수(Argument)의 순서를 신경 쓰지 않아도 된다.

이번에는 이 키워드 인수(Keyword Argument)를 사용해서 함수를 호출해보자.
인수의 순서 그대로 호출하는 코드순서를 바꿔서 호출하는 코드 두 개를
동시에 컴파일 해보겠다.


해당 코드는 아래와 같다.


호출 해보면 아래의 사진과 같이 같은 단어가 컴파일 에러 없이

콘솔에 출력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KawrgsArgs라는 인수에 대해 : Args인수

args사전(dictionary)키워드(keyword)가 아닌 인수를 전달하는데 사용된다.
함수의 정의 될때는 *agrs의 포인터 변수로 사용되며

호출 될때는 fun(3,4)fun(“foo”, “bar”)와 같이
3,4 “foo”, “bar”와 같이 인수가 직접적으로 들어간다.

*args는 일반적으로 전달 할 인수의 수가 몇 개인지 모르는 경우
프로그램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되며,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 뿐만 아니라 C++에서도 많이 사용된다고 한다.

그럼 실제 args가 함수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 알아보자.


이전에 사용했던 아래와 같은 예제를 그대로 사용해보겠다.



그리고 함수를 호출 할 때,

아래의 사진과 같이 인수가 2개가 아닌 3를 넣어보겠다.


그리고 컴파일을 해보면 아래와 같은 오류가 콘솔에 출력 된다.

정의(define)함수의 인수는 2개이지만, 3개를 받았다컴파일 에러가 출력되었다.

그러면 *args 를 매개 변수로 사용해 함수로 정의해보자.


나는 조금 변형해 아래와 같은 코드를 작성했다.


두 변수를 이은 후에 보기 편하도록
한 개씩 문자가 이어질 때 마다, 한 칸 띄는 문자열을 끝에 추가해줬다.

이제 함수를 호출해 Python에서 함수를 정의할 때,

매개변수를 *agrs로 정의할 경우 일어나는 마법에 감탄해보자.


나는 진짜 에러가 발생하는지 발생하지 않는지 확인하고 싶어

위와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호출해봤다.


놀랍게도 에러는 단 하나도 발생하지 않았다.

물론 내가 작성한 코드가 integer형과 string형이 들어왔을 모든 경우를
가정했기 때문에 str() 함수로 형 변환을 해주어야 했지만,

단순히 더하는 것이 아닌 출력이라면형 변환 하지 않아도 출력이 된다.

그럼 만약 리스트(list)가 들어가면 어떻게 될까?

리스트를 만들어 그 리스트를 인수로 넣는 코드와 리스트를 포인터 인수로 넣은 코드를 실행해보자.


해당 코드는 아래와 같다.


그리고 해당 코드를 컴파일 해보자.


컴파일을 하면 아래의 사진과 같은 코드가 나온다.


위의 결과 사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인수에 리스트 인수리스트 포인터 인수를 넣어준 결과

리스트 인수를 넣어줄 경우, 리스트 그대로가 출력,
리스트 포인터 인수를 넣어줄 경우, 인수가 이어져서 나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KwargsArgs라는 인수에 대해 : Kawrgs 인수

kwargs는 위에서 언급한 키워드 인수(Keyword Argument)를 전달하는데 사용된다.

Args와 동일하게 args인수(Argument)이지만,
Kwargs의 경우에는 키워드 인수(Keyword Argument)의 수를 모를 경우 사용된다.

함수에서 정의 될때는 **kwargs의 이중 포인터 변수로 사용되며
호출 될때는 func(x=1, y=2), func(foo=”abc”, bar=”def”)와 같이
x=1, y=2 foo=”abc”, bar=”def”와 같이 키워드 인수(Keyword Argument)
직접 들어간다.

따라서 KwargsPython사전(Dictionnary) 자료형의 형태로
(Key), (value)을 찾을 때 사용할 수도 있다.

이번에는 참고한 사이트의 예제를 그대로 사용해보겠다.

하지만 예제의 코드가 잘못된 부분이 있어서 그대로 사용하면 컴파일 에러가 날 것이다.

아래의 사진과 같이 함수를 정의하고

아래의 사진과 같이 함수에 넣을 인수로 키워드 인수(Keyword Argument)

딕셔너리keyvalue로 나누어서 각각을 콘솔에 출력하는 코드를 프로그래밍 했다


위의 코드를 컴파일 해보면 아래와 같이 콘솔에 텍스트가 출력이되는데

프로그래밍 한대로 key와 value값이 출력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사이트에는 kwargs를 사용하여 모델 객체의 데이터 입력과 쿼리를 모두 수행
할 수 있다고 설명하는데, 관심있다면 한번 보기 바란다.

여기에 대해서는 아직 예제가 쿼리를 다루는 예제까지는 하지 않았기 때문에 
나중에 다시 정리하겠다.



KwargsArgs라는 인수에 대해함수에 Kawrgs, Args를 매개 변수로 활용

두 가지 인수를 모두 넣어 함수를 정의할 수도 있다고 한다.

, 이 두 인수를 같은 함수에 정의 할 때 반드시 **kwargs*args 인수 뒤에
정의해야 한다고 한다.

나는 아래와 같이 이전 예제와 동일하게 글자를 붙이는 함수를 작성하였다.


그리고 아래와 같이 프로그래밍 해 함수를 호출 했다.


코드를 컴파일 해보면 아래와 같은 결과가 콘솔 화면에 출력된다.


하지만 만약 아래의 코드와 같이 인수를 무작위로 넣는다면 어떻게 될까?

아마 함수를 정의할 때, kwargs는 args뒤에 와야 한다는 조건이 붙은 걸 보니 에러가 날 것 같긴하다.



위와 같이 keyword arg

키워드 인수(Keyword Argument) 이 후에  non-keyword arg인 
일반 argument가 있다며 컴파일 에러가 난다.


따라서 *args *kwargs 매개 변수를 둘 다 사용하고자 한다면,
함수를 호출 할 때 무조건 일반 인수(Argument)가 나온 후에 
키워드 인수(Keyword Argument)가 나와야 한다.



참고

Understanding Args and Kwargs in Python: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 Web ] 웹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 (Web Application Architecture)

[ Web ] 서버 사이드(Sever Side) ? 클라이언트 사이드(Client Side)? 1 [서론, 클라이언트 사이드(Client Side)]

[ Web ]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아키텍처의 정의 및 유형 ( Define and Types of Web Application Server Architectu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