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ssay - Technology, Essay - Intuition ] Chat GTP시대의 도래와 생각하는 방식에 대해 : 개발자의 미래에 대해

이미지
벌써 올해도 반쯤 지나 뜨거운 여름이 다가왔다. 굉장히 빠르게 지나간듯한 느낌이 드는데  아마 의미있는 시간을 보냈다는 이야기이기 때문에  그렇게 나쁜 신호는 아닐 것 이다. 괴로운 시간이였다면, 1초가 1년 같이 느껴졌을테니 말이다. 더위에 매우 약한 나에게 있어서는 지옥과 같은 시기이기도 하지만 늘 그렇던 것 처럼 에어컨 덕분에 어찌저찌 버틸 수 있을 것 같다. 어쨋든, 이번에는 저번의 에세이 주제, Chat GTP시대의 도래와 생각하는 방식에 대한 이야기에 이어서  과연 개발자의 미래는 어떻게 될 것인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어보려고 한다. 어쩌면 모두가 인식하고 있듯이 지금 2025년 현재,  꽤나 중요한 시기에 직면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생성AI의 발전 속도가 생각보다 빠르게 발전하고 있고,  그에 따라 실제 업무에서도 빠르게 사용되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개발자에게 있어서 가장 두려운 점은  당연히 생성AI에 의해 개발자가 대체될 것 이라는 두려움일 것 이다. 이는 개발자에게만 한정된 이야기는 아니지만 말이다. 아마 필드에서 나와 같이 일하고 있거나  개발자로서 직업을 가지려는 생각이 있는 사람이라면  한번쯤은 생각해볼법한 주제라 생각 한다. 물론 미래가 정확히 어떻게 될 지는 알 수 없으나  이런 생각을 함으로써 몇 가지 힌트는 얻게 될지도 모르니  만약 얻게 된다면 미래에 대한 방향성을 조금이나마 올바른 쪽으로 돌릴 수 있을 것 이다. 이 글을 끝맽을 때는 조금이라도 힌트에 도달하기를 바란다. 과거의 역사 이러한 의문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일반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바로 역사를 보는 것 이다. 물론 이러한 역사를 해결책을 찾는거에 대한 전제조건은  우리가 '구 인류'라는 전제조건이 있었을 때 의미가 있다. 그러니깐 현대인도 기원전 8세기의 고대 로마인도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는 것을 인정해야만 한다. 예컨데...

[ 생각 ] 휴식에 대해서


예전에 문득 길을 가다 이런 생각이 떠올랐던 적이 있다.

왜 나는 분명 토,일에 휴식을 취했음에도 불구하고
왜 월요일만 되면 피곤한 것일까?
라는 생각이다.

하지만 그 당시에는 내가 취하는 휴식 방법이 잘못됐으리라
생각도 하지 못했다.

그리고 최근에 들어서 어떤 경험을 하고 나서
진정한 휴식이 어떤 것 인지 깨달았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휴식 시간에 무엇을 할까 라는 생각을 자주한다.

그리고 휴식이라는 이름으로 어떤 영화를 보거나
게임을 하거나 등등의 문화 활동을 하거나
친구, 연인, 가족과 함께 놀러간다.

이것이 일반적으로 받아드려지는 휴식이라는 개념이다.

하지만 이런 휴식을 충분히 취했음에도 불구하고,
다음날 월요일에는 무척이나 피곤하다.

왜 그럴까?


최근에 들어서 그 원인을 잠을 충분히 취하지 못하거나,
잠의 질이 떨어지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물론 나도 그 의견에 동의한다.
하지만, 그건 요인 중 하나 이지 결정적인 요인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내가 생각하는 결정적인 요인은 "휴식 방법"에 있다고 생각한다.

물론 이 휴식 방법은 사람마다 다를 수 있다.

내 예로 들어보면,

나의 휴식 방법은 아무것도 안 하는 것이다.
정말 많이 움직이지 않는다.

내가 움직일 때는 화장실 갈 때, 밥을 먹을때 일뿐

아무 생각도 못하게 편안히 볼 수 있는 것들을 본다.
그 때는 정말 아무것도 안한다.

단지 볼 뿐이다.

책에 대해 생각하지 않고,
사람에 대해 생각하지 않고,
나의 일에 대해 생각하지 않고,
내일에 대해 생각하지 않는다.

미래에 대해 생각하지 않고,
지금에 관해 생각하지 않는다.

모든 사고를 차단하고,
차단 하기 위해 ,
단지 눈앞에 있는 작은 화면에 펼쳐지는 미디어에만 집중한다.

그렇게 하루 종일 보내고,
적당히 밥을 먹고(건강에 대해서도 생각하지 않는다)
잔 다음날

월요일에 일어나 일을 시작하면 최상의 컨디션으로 일 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게 "휴식"이다.

물론 다른 사람들이 동의할지는 모르겠지만 말이다.

사실 내게 이런 "휴식"은 좀 고통스럽다.

정확하게 설명하기는 힘들지만,
뭔가 아무것도 안한다는 것이 내키지 않기 때문이다.

어쨋든 왜 현대를 사는 우리들에게
어떤 활동을 하는 것을 휴식이라는 인식으로 받아져있었을까?

사실 어떤 활동을 하는 것 자체로 우리는 그것을 휴식이라고
말 할 수없는 것인데 말이다.

일을 하듯이, 누군가를 만나거나, 어디를 간다는 사실,
혹은 안 가더라도 집에서 무언가 한다는 사실은 휴식이라고 보긴 힘들다.

또한 휴식을 취한다는 개념을 오직 "잠"이라는 측면에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닌가 한다.

진정한 휴식은 우리의 신체 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사고 까지도
일시적으로 중지 상태로 만들어야 휴식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이 휴식에는 "잠"이라는 것도 포함되어 있다.

왜 그럴까?

사실 잘 모르겠다.

아마 일이라는 것에 갇혀살기 때문에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을 못했다는 보상 심리에서 나온 것으로
추측은 하긴 하지만 뭔가 그걸 증명할 방법이 없으니 잘 모르겠다.

아니면, 우리는 휴식해야 한다는 것을 머리로는 이해하고 있지만
그것이 어떠한 가치를 지니고 있는지,
어떻게 해야하는지 사회적으로 공론화하고 논의하지 않아서 일지도 모른다.

혹은 휴식이 자신에게 별로 의미없는 행위라 생각할 지도 모른다.

뭔가 명확한 것은 아니지만
오늘은 휴식에 대해 생각해보고 고찰해봤다.

하지만, 뭔가 부족한 느낌이 드는 것은 사실이다.

좀 더 명쾌한 해답이 나온다면 이 글에 추가로 적도록 하겠다.

                                            2020/02/17
                                      역 근처 스타벅스에서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 Web ] 웹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 (Web Application Architecture)

[ Web ] 서버 사이드(Sever Side) ? 클라이언트 사이드(Client Side)? 1 [서론, 클라이언트 사이드(Client Side)]

[ Web ]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아키텍처의 정의 및 유형 ( Define and Types of Web Application Server Architectu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