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ssay - Technology, Essay - Intuition ] Chat GTP시대의 도래와 생각하는 방식에 대해 : 개발자의 미래에 대해

이미지
벌써 올해도 반쯤 지나 뜨거운 여름이 다가왔다. 굉장히 빠르게 지나간듯한 느낌이 드는데  아마 의미있는 시간을 보냈다는 이야기이기 때문에  그렇게 나쁜 신호는 아닐 것 이다. 괴로운 시간이였다면, 1초가 1년 같이 느껴졌을테니 말이다. 더위에 매우 약한 나에게 있어서는 지옥과 같은 시기이기도 하지만 늘 그렇던 것 처럼 에어컨 덕분에 어찌저찌 버틸 수 있을 것 같다. 어쨋든, 이번에는 저번의 에세이 주제, Chat GTP시대의 도래와 생각하는 방식에 대한 이야기에 이어서  과연 개발자의 미래는 어떻게 될 것인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어보려고 한다. 어쩌면 모두가 인식하고 있듯이 지금 2025년 현재,  꽤나 중요한 시기에 직면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생성AI의 발전 속도가 생각보다 빠르게 발전하고 있고,  그에 따라 실제 업무에서도 빠르게 사용되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개발자에게 있어서 가장 두려운 점은  당연히 생성AI에 의해 개발자가 대체될 것 이라는 두려움일 것 이다. 이는 개발자에게만 한정된 이야기는 아니지만 말이다. 아마 필드에서 나와 같이 일하고 있거나  개발자로서 직업을 가지려는 생각이 있는 사람이라면  한번쯤은 생각해볼법한 주제라 생각 한다. 물론 미래가 정확히 어떻게 될 지는 알 수 없으나  이런 생각을 함으로써 몇 가지 힌트는 얻게 될지도 모르니  만약 얻게 된다면 미래에 대한 방향성을 조금이나마 올바른 쪽으로 돌릴 수 있을 것 이다. 이 글을 끝맽을 때는 조금이라도 힌트에 도달하기를 바란다. 과거의 역사 이러한 의문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일반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바로 역사를 보는 것 이다. 물론 이러한 역사를 해결책을 찾는거에 대한 전제조건은  우리가 '구 인류'라는 전제조건이 있었을 때 의미가 있다. 그러니깐 현대인도 기원전 8세기의 고대 로마인도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는 것을 인정해야만 한다. 예컨데...

[ Django, Python ] mozilla 튜토리얼 예제로 살펴보는 Django 분석 ⑦ - 5 : 도전 과제


이번 도전 과제는 사서만 볼 수 있는 페이지를 만드는 것이다.

이 페이지는 사서(Staff)에게만 보이며
페이지에는 책 이름과 반납 일자 그리고 빌린 유저 이름이
표시되어야 하고
책 이름에 하이퍼링크를 걸어 해당 책으로 이동하게끔 만들어야 한다. 


해당 페이지에 들어갈 경우 URL은 
catalog/borrowed/으로 되게 끔 설정하면 될 것 같고,
    
이 borrowed 페이지는 
인증된 유저의 빌린 책 목록과 매우 유사하므로
빌린 책 목록의 틀을 조금 수정하면 될 것 같다.

먼저, catalog/templates/catalog/ 경로의 
bookinstance_list_borrowed_user.html 파일을 복사해


<!-- bookinstance_list_borrowed_librarian.html -->
{% extends "base_generic.html" %}

{% block content %}
    <h1>All Borrowed books</h1>

    {% if bookinstance_list %}
    <ul>

      {% for bookinst in bookinstance_list %}
      <li class="{% if bookinst.is_overdue %}text-danger{% endif %}">
        <a href="{% url 'book-detail' bookinst.book.pk %}">{{bookinst.book.title}}</a> ({{ bookinst.due_back }})
        - {{ bookinst.borrower }} -
      </li>
      {% endfor %}
    </ul>

    {% else %}
      <p>There are no books borrowed.</p>
    {% endif %}
{% endblock %}
bookinstance_list_borrowed_librarian.html로 
이름을 수정하고, 빨간색 박스와 같이 타이틀을 
<h1>All Borrowed </h1>

해당 책을 빌리고 있는 사람을 출력하는 
{{ bookinst.borrower }} 코드로 수정 및 추가 한다.

다음으로 권한이 없는 유저는 사이드바에 표시될 수 없도록 
catalog/templates/ 경로에 있는
base_generic.html의 코드를 수정해보자.


      <div class="col-sm-2">
      {% block sidebar %}
        {% if user.is_authenticated %}
          <li>User: {{ user.get_username }}</li>
          <li><a href="{% url 'my-borrowed' %}">My Borrowed</a></li>
          <li><a href="{% url 'logout'%}?next={{request.path}}">Logout</a></li>
        {% else %}
          <li><a href="{% url 'login'%}?next={{request.path}}">Login</a></li>
        {% endif %}

        <ul class="sidebar-nav">
          <li><a href="{% url 'index' %}">Home</a></li>
          <li><a href="{% url 'books' %}">All books</a></li>
          <li><a href="{% url 'authors' %}">All authors</a></li>
        </ul>

        {% if perms.catalog.can_mark_returned %}
          <!-- We can mark a BookInstance as returned. -->
          <!-- Perhaps add code to link to a "book return" view here. -->
          <li><a href="{% url 'all-borrowed' %}">All borrowed</a></li>
        {% endif %}


      {% endblock %}
      </div>
빨간색 박스와 같이 
해당 권한(Permission)을 가지고 있을 경우만
페이지에 표시되도록 코드를 추가한다.

다음으로 View를 추가해보자.


from django.contrib.auth.mixins import LoginRequiredMixin
from django.contrib.auth.mixins import PermissionRequiredMixin

class LoanedBooksByUserListView(LoginRequiredMixin,generic.ListView):
    """Generic class-based view listing books on loan to current user."""
    model = BookInstance
    template_name ='catalog/bookinstance_list_borrowed_user.html'
    paginate_by = 10

    def get_queryset(self):
        return BookInstance.objects.filter(borrower=self.request.user).filter(status__exact='o').order_by('due_back')

class LoanedBooksByLlibrarianListView(LoginRequiredMixin, PermissionRequiredMixin, generic.ListView):
    """Generic class-based view listing books on loan to current user."""
    model = BookInstance
    template_name ='catalog/bookinstance_list_borrowed_librarian.html'
    paginate_by = 10

    permission_required = 'catalog.can_mark_returned'
    # Or multiple permissions
    # permission_required = ('catalog.can_mark_returned', 'catalog.can_edit')
    # Note that 'catalog.can_edit' is just an example
    # the catalog application doesn't have such permission!

    def get_queryset(self):
        return BookInstance.objects.filter(status__exact='o').order_by('due_back')

튜토리얼에서 작성했던 
LoanedBooksByUserListView Class 기반 View와 큰 차이가 없는데

모든 사용자의 빌린 책을 불러오기 위해 
하늘색 박스와 같이 filter(borrower=self.request.user)를 삭제하고

빨간색 박스 안에 Permission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import 및 인수로써 PermissionRequiredMixin 코드를 추가하고,

해당 View의 Permission의 이름을 설정하는
permission_required = 'catalog.can_mark_returned' 코드를 추가한다.

이로서 이 View를 접근하기 위해서는 
catalog.can_mark_returned 값이 Ture이여야만 한다.

마지막으로 이 ViewURL을 연결시켜보자.




from django.urls import path
from catalog import views


urlpatterns = [
    path('', views.index, name='index'),
    path('books/', views.BookListView.as_view(), name='books'),
    path('book/<int:pk>', views.BookDetailView.as_view(), name='book-detail'),
    path('author/', views.AuthorListView.as_view(), name='authors'),
    path('author/<int:pk>', views.AuthorDetailView.as_view(), name='author-detail'),
    path('mybooks/', views.LoanedBooksByUserListView.as_view(), name='my-borrowed'),
    path('borrowed/', views.LoanedBooksByLlibrarianListView.as_view(), name='all-borrowed'),

]
View에서 작성했던 Class의 이름을 넣어주고,
URL을 'borrowed'
URL을 담고 있는 변수의 이름을 'all-borrowed'로 인수로 넣어주자.

이제 작성했던 코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해보자


먼저 권한(Permission)을 가지고 있는 librarian1이라는 유저는
사이드 바에 All borrowed가 표시되고,
borrewed를 가진 url은 
빌린 모든 책을 표시하고 빌리고 있는 사람을 표시 한다.

또한 반납 기간이 지난 책들은 빨간색으로 표시 된다.

반대로 권한이 없는 유저를 살펴보자.

위와 같이 권한이 없는 user1이라는 유저는
사이드 바에 All borrowed이 표시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만일 강제로 url에 borrewed 추가해 접근하려하면

 
위와 같이 403 금지 에러 페이지가 보인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 Web ] 웹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 (Web Application Architecture)

[ Web ] 서버 사이드(Sever Side) ? 클라이언트 사이드(Client Side)? 1 [서론, 클라이언트 사이드(Client Side)]

[ Web ]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아키텍처의 정의 및 유형 ( Define and Types of Web Application Server Architectu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