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ssay - Technology, Essay - Intuition ] Chat GTP시대의 도래와 생각하는 방식에 대해 : 개발자의 미래에 대해

이미지
벌써 올해도 반쯤 지나 뜨거운 여름이 다가왔다. 굉장히 빠르게 지나간듯한 느낌이 드는데  아마 의미있는 시간을 보냈다는 이야기이기 때문에  그렇게 나쁜 신호는 아닐 것 이다. 괴로운 시간이였다면, 1초가 1년 같이 느껴졌을테니 말이다. 더위에 매우 약한 나에게 있어서는 지옥과 같은 시기이기도 하지만 늘 그렇던 것 처럼 에어컨 덕분에 어찌저찌 버틸 수 있을 것 같다. 어쨋든, 이번에는 저번의 에세이 주제, Chat GTP시대의 도래와 생각하는 방식에 대한 이야기에 이어서  과연 개발자의 미래는 어떻게 될 것인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어보려고 한다. 어쩌면 모두가 인식하고 있듯이 지금 2025년 현재,  꽤나 중요한 시기에 직면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생성AI의 발전 속도가 생각보다 빠르게 발전하고 있고,  그에 따라 실제 업무에서도 빠르게 사용되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개발자에게 있어서 가장 두려운 점은  당연히 생성AI에 의해 개발자가 대체될 것 이라는 두려움일 것 이다. 이는 개발자에게만 한정된 이야기는 아니지만 말이다. 아마 필드에서 나와 같이 일하고 있거나  개발자로서 직업을 가지려는 생각이 있는 사람이라면  한번쯤은 생각해볼법한 주제라 생각 한다. 물론 미래가 정확히 어떻게 될 지는 알 수 없으나  이런 생각을 함으로써 몇 가지 힌트는 얻게 될지도 모르니  만약 얻게 된다면 미래에 대한 방향성을 조금이나마 올바른 쪽으로 돌릴 수 있을 것 이다. 이 글을 끝맽을 때는 조금이라도 힌트에 도달하기를 바란다. 과거의 역사 이러한 의문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일반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바로 역사를 보는 것 이다. 물론 이러한 역사를 해결책을 찾는거에 대한 전제조건은  우리가 '구 인류'라는 전제조건이 있었을 때 의미가 있다. 그러니깐 현대인도 기원전 8세기의 고대 로마인도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는 것을 인정해야만 한다. 예컨데...

[ 프로젝트 BEP ] 제 3장 : 시스템 설계 ③ - 결론



우리는 앞서 간단한 계산기를 설계 해보고
실제 Java로 구현해 보았다.

당연히 실제 엔터프라이즈 급 애플리케이션의 설계도를
하나의 큰 사진으로 담아 펼치면 이보다 클 것이다.

하지만, 실제 프로젝트에 참여할 경우 
큰 애플리케이션 안의 작은 클래스, 메소드, 함수등을 개발하게 되는데
클래스 다이어그램을 사용할 경우에 계산기 설계와 크게 다르지 않다.

요는 고작 계산기 설계를 했다고 풀 죽을 필요는 없다는 말이다.

영화나 드라마 같은 영상 매체에서는 
천재 프로그래머가 있고, 
이런 천재 프로그래머가 하나의 큰 애플리케이션을 
혼자 만드는 것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는데,

이는 현실에서는 보통 불가능한 이야기 이다.

물론 가능하기는 하다.
하지만,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많이 필요하다.

즉, 가능하다고는 할 수 있지만
시간적인 부분에서 
효율이 매우 떨어지기 때문에
한 공간에 모여서 다수의 사람들과 함께 일하는 것이다.

한 공간에 모여서 일하는 사람들이 
우둔하고, 머리가 좋지 않기 때문이 아니다.

오히려 정반대이다.

영화는 영화고, 현실은 현실이다.

영화와 현실을 착각하지 말기를 바란다.

결론

시스템 설계의 첫번째 글에서도 언급했듯이

소프트웨어 개발자에게는 시스템 설계가 필요하다.

하지만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프로젝트는 역할 분담이 정해져 있으며
프로그래밍은 그 중 한 프로세스일 뿐이다.

좀 더 정확히는 당신이 IT업계에서 안에서 
가치를 증명하고 싶고, 
가치를 증명함에 따라 더 많은 사회의 몫을 얻고 싶다면
(한 가지는 확실히 하자.
더 많은 사회의 몫을 얻기 위해 가치를 증명하는 것이 아니다.)

즉, 오늘보다 나은 내일을 꿈꾼다면 
시스템 설계는 배워야함이 옳으며 배움과 동시에 
계속 해서 작성해보며  자신만의 설계 방식을 찾는 것이 좋을 것 이다.

물론 자신은 지금 상태에 만족하며
더 나아가고 싶지 않다면 배우지 않아도 된다.

전혀 창피한 것이 아니고, 잘못된 것도 아니다.

굳이 IT업계가 아니라도 
그런 사람은 이 세상에 많으며,
삶을 살아가는 한 가지 방식 중에 하나이다.

다만, 배움과 고찰 및 성찰을 하지 않으면서
자신의 가치를 증명하지 않은데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가치를 이해해주길 바라며,

좀 더 많은 사회의 몫을 원한다면
이는 창피해야만 하며, 잘못된 것이다.

어떤 선택을 할지에 대해서는 
각자의 몫이다.

그 선택에 부정하거나 비난할 권리는 
그 누구에게도 없다.




2020.09.30 제 3장 시스템 설계 초안 작성 및 개행 완료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 Web ] 웹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 (Web Application Architecture)

[ Web ] 서버 사이드(Sever Side) ? 클라이언트 사이드(Client Side)? 1 [서론, 클라이언트 사이드(Client Side)]

[ Web ]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아키텍처의 정의 및 유형 ( Define and Types of Web Application Server Architectu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