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ssay - Technology, Essay - Intuition ] Chat GTP시대의 도래와 생각하는 방식에 대해 : 개발자의 미래에 대해

이미지
벌써 올해도 반쯤 지나 뜨거운 여름이 다가왔다. 굉장히 빠르게 지나간듯한 느낌이 드는데  아마 의미있는 시간을 보냈다는 이야기이기 때문에  그렇게 나쁜 신호는 아닐 것 이다. 괴로운 시간이였다면, 1초가 1년 같이 느껴졌을테니 말이다. 더위에 매우 약한 나에게 있어서는 지옥과 같은 시기이기도 하지만 늘 그렇던 것 처럼 에어컨 덕분에 어찌저찌 버틸 수 있을 것 같다. 어쨋든, 이번에는 저번의 에세이 주제, Chat GTP시대의 도래와 생각하는 방식에 대한 이야기에 이어서  과연 개발자의 미래는 어떻게 될 것인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어보려고 한다. 어쩌면 모두가 인식하고 있듯이 지금 2025년 현재,  꽤나 중요한 시기에 직면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생성AI의 발전 속도가 생각보다 빠르게 발전하고 있고,  그에 따라 실제 업무에서도 빠르게 사용되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개발자에게 있어서 가장 두려운 점은  당연히 생성AI에 의해 개발자가 대체될 것 이라는 두려움일 것 이다. 이는 개발자에게만 한정된 이야기는 아니지만 말이다. 아마 필드에서 나와 같이 일하고 있거나  개발자로서 직업을 가지려는 생각이 있는 사람이라면  한번쯤은 생각해볼법한 주제라 생각 한다. 물론 미래가 정확히 어떻게 될 지는 알 수 없으나  이런 생각을 함으로써 몇 가지 힌트는 얻게 될지도 모르니  만약 얻게 된다면 미래에 대한 방향성을 조금이나마 올바른 쪽으로 돌릴 수 있을 것 이다. 이 글을 끝맽을 때는 조금이라도 힌트에 도달하기를 바란다. 과거의 역사 이러한 의문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일반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바로 역사를 보는 것 이다. 물론 이러한 역사를 해결책을 찾는거에 대한 전제조건은  우리가 '구 인류'라는 전제조건이 있었을 때 의미가 있다. 그러니깐 현대인도 기원전 8세기의 고대 로마인도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는 것을 인정해야만 한다. 예컨데...

[ Django, Python ] mozilla 튜토리얼 예제로 살펴보는 Django 분석 ⑥ : Sessions Framework

세션은 사이트와 특정 브라우저 사이의 
연결 상태(state)를 유지시키는 것을 말한다.

즉, 페이지의 임의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다시 사이트에 접속할 때 마다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세션에 연결된 각각의 데이터들은 "key"에 의해 인용되고,
"key"를 이용해 데이터를 찾거나 저장한다.

Django는 특정 session id를 포함하는 쿠키를 이용해서
각 브라우저와 사이트가 연결된 세션을 알아낸다.


세션 사용 하기


Django의 세션은 기본적으로 프로젝트가 생성될 때


위와 같이 sttings.py에 자동적으로 설정 된다.

세션의 속성은 session 속성은 request객체에서 파생된 view안에 있다.

정확히 말하면
view로 전달되는 HttpRequest의 첫 번째 함수이다.

브라우저의 cookie안에 정의되어 있다.

이 session은 사전형(dictionary) 자료형으로 
표준적인 Dictionary API를 통해 
데이터를 가져오거나 저장 및 삭제를 할 수 있다.

Session 관련 API 사용법에 대해서는 
공식 도큐먼트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길 바란다.

세션 데이터 저장 하기



기본적으로 Django는 
세션 데이터를 세션 DB에 저장한다.

그리고 해당 세션 데이터(Cookie)가 
필요할 때마다 불러와서 사용 한다.

즉, 메모리 상에 올라가 있는 
Session의 정보가 변경되었거나 삭제되었을 때
세션 DB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는 그대로라는 말이된다.

이는 DB에서 commit을 하지 않으면 
저장되지 않듯이 
그러한 장치를 해 놓은것 같다.

# Session object not directly modified, only data within the session. Session changes not saved!
request.session['my_car']['wheels'] = 'alloy'

# Set session as modified to force data updates/cookie to be saved.
request.session.modified = True
따라서 만약
메모리 상에 올라가 있는 세션 데이터를 저장하고 싶다면
request.session.modified = True로 세션 데이터를 저장해주어야 한다.

간단한 예제 : 방문자 수 받아오기



간단한 예제로
유저가 LocalLibrary 페이지에 몇 번이나 방문했는지
알려주도록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def index(request):
    ...

    num_authors = Author.objects.count()  # The 'all()' is implied by default.
    
    # Number of visits to this view, as counted in the session variable.
    num_visits = request.session.get('num_visits', 0)
    request.session['num_visits'] = num_visits + 1

    context = {
        'num_books': num_books,
        'num_instances': num_instances,
        'num_instances_available': num_instances_available,
        'num_authors': num_authors,
        'num_visits': num_visits,
    }
    
    # Render the HTML template index.html with the data in the context variable.
    return render(request, 'index.html', context=context)
위의 빨간색 박스와 같이 
/locallibrary/catalog/views.py에 코드를 추가하자.

먼저 num_visits 변수에 
세션 DB로 부터 'num_visits'라는 Key 값을 가지는 
사전형 데이터를 불러오는데,
방문한적이 없다면 Value값0으로 정의한다.

그 다음 'num_visits' Key값을 가지는
Value값을 1만큼 증가 시킨다.


    <h1>Local Library Home</h1>
    <p>Welcome to LocalLibrary, a website developed by <em>Mozilla Developer Network</em>!</p>
    <h2>Dynamic content</h2>
    <p>The library has the following record counts:</p>
    <ul>
      <li><strong>Books:</strong> {{ num_books }}</li>
      <li><strong>Copies:</strong> {{ num_instances }}</li>
      <li><strong>Copies available:</strong> {{ num_instances_available }}</li>
      <li><strong>Authors:</strong> {{ num_authors }}</li>
      <li><strong>books name('of'):</strong> {{ num_books_of }}</li>
      <li><strong>books name('of') list :</strong> {{ books_title_of }}</li>
      <li><strong>books genre name('of') list :</strong> {{ books_genre_of }}</li>
    </ul>
    <p>You have visited this page {{ num_visits }}{% if num_visits == 1 %} time{% else %} times{% endif %}.</p>
그 다음 위와 같이 
/locallibrary/catalog/templates/index.html에 코드를 추가한 후

웹 페이지를 확인해보자.




위의 코드로 
방문자의 고유 세션 ID를 통해 
계속해서 'num_visits' Key값과 
Value가 불려오지게 될 것이고 1씩 증가 될 것이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 Web ] 웹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 (Web Application Architecture)

[ Web ] 서버 사이드(Sever Side) ? 클라이언트 사이드(Client Side)? 1 [서론, 클라이언트 사이드(Client Side)]

[ Web ]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아키텍처의 정의 및 유형 ( Define and Types of Web Application Server Architectu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