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ssay - Technology, Essay - Intuition ] Chat GTP시대의 도래와 생각하는 방식에 대해

이미지
올해도 드디어 끝이 보이는 듯 싶다. 최근에 회사의 망년회를 끝내고 이래저래 회식이 늘어나는 듯 하다. 지금 시점에서는 개인적인 스케쥴도 마무리 되었기 때문에 이제는 여유롭게 연말을 즐기며 올해를 마무리 하려고 한다. 비교적 최근에 이사한 곳 근처의 스타벅스가 대학 병원 안에 있고 근처에 공원이 있어서 그런지 개를 대리고 산책하는 노인이나  아이를 동반한 가족이 눈에 띄게 보인다. 꽤나 좋은 곳으로 이사한듯 하다. 개인적으로는 올해 드디어 미루고 미루었던 이직을 하였고  그 이후에 비약적인 성장을 이루었으니  분명 안좋은 일도 있었지만 만족할 수 있는 해를 보내지 않았나 싶다. 내가 도달하려고 하는 곳으로 가려면 아직 갈길이 멀지만  궤도에 오른 것만으로도 큰 성과라면 큰 성과 일 것 이다. 어쨋든 이직하고 많은 일들을 맡게 되었는데 그 과정에서 나는 의도적으로 Chat GTP를 활용하고자 하였고 몇 가지 직감을 얻게 되었는데  이 중 한 가지를 글로 작성하려고 한다. 따라서 올해의 마무리 글은 Chat GTP에 대한 이야기로 마무리 하려고 한다. 서론 불과 약 10년전 IT업계는 원하던 원치 않던간에  한번의 큰 패러다임의 변화를 맞이해야만 했다 바로 아이폰의 등장에 따른 스마트폰의 시대의 도래와  이에 따른 IT업계의 패러다임 변화가 그것이다. 내 기억으로는 아주 격변의 시대였던 걸로 기억하는데 왜냐하면 게임은 물론이고 웹과 백신을 비롯한 모든 솔루션의 변화가 이루어졌다. 이 뿐만 아니라 가볍고 한손의 들어오는 이 디바이스는  그 당시에는 조금 비싸다는 인식이 있었지만  감추려고 해도 감출 수 없는 뛰어난 유용성으로 회의론을 금세 종식시켰고 이에 대한 결과로 어린아이 부터 노인 까지 작은 컴퓨터를 가지게 되었고 이는 당연하게도 IT업계의 전체적인 호황을 가져다주었다.  그리고 질서는 다시 한번 재정렬되었다. 이러한 패러다임의 변화의 증거로 언어 또한 변하게 되었는데...

[ Django, Python ] 튜토리얼 예제로 살펴보는 Django 분석 ⑤ : 자동화 테스트(Automated Test) - 1

자동화 테스트(Automated Testing) 소개

테스트 자동화 소개 : 자동화 테스트란?

테스트는 작성한 코드를 확인하는 과정을 말한다.


테스트는 다양한 수준(level)에서 시행 된다.

한 개의 모듈을 테스트하는 단위 테스트(Unit Test) 부터

시스템의 인터페이스와 모듈들을 테스트 하는 통합 또는 

단체 테스트(Integration Test)

다양한 관점에서 테스트를 시행 한다.

 

예전에 튜토리얼에서 Python의 Shell을 사용해서 

메소드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해보고

어떻게 동작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데이터를 입력해서 테스트했던 것과 비슷하다.

 

자동화 테스트(Automated Testing)의 장점은 

테스트 작업이 구현한 시스템에서 수행된다는 점이다.


한 번 테스트 셋(set) 

, 테스트 코드를 작성한 이후에는 App을 변경할 때

print와 같이 수동으로 테스트를 하지 않아도 테스트가 가능하다.


Java에서 Junit이 여기에 속한다.

 

테스트 자동화 소개 : 자동화 테스트를 해야만 하는 이유

물론 사람에 따라서 Python/Django를 배우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며,

자신의 목표는 단순이 App을 만드는게 목표라면 

이 자동화 테스트가 필요없다고 생각할 지도 모른다.


하지만 테스트 자동화 코드를 

만들어 놓으면 여러가지 이점이 있다.

 

첫번째, 자동화 테스트를 통해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시스템이 작다면 단순히 

제대로 동작하는지 확인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할 수도 있다.


하지만 보통 시스템은 굉장히 복잡하며,

시스템 안에서는 

수많은 모듈이 상호작용을 하고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한 개의 모듈안의 코드를 수정하는 것은 

치명적인 오류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수정한 모듈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하려면 

수십개의 테스트 코드를 만들어야 

오류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를 자동화 테스트를 사용한다면

무언가 잘못되어도 이 테스트를 통해

오류를 야기할 수 있는 코드를 식별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런 테스트가 개발에 

무슨 도움이 되냐고 하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수동으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거나, 테스트를 하지 않아 

치명적인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는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단 한번의 자동화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 것이 훨씬 시간적으로 이득이다.

 

두 번째, 자동화 테스트를 통해 버그를 식별할 수 있고 치명적인 버그를 예방할 수 있다.

 

자동화 테스트 뿐만 아니라 

테스트를 한다면 얻을 수 있는 이득이다.

아무리 자신이 그 모듈이 작성했다고 해도,

예상한대로 결과 값을 출력하라는 보장은 없다.

 

따라서 테스트를 하지 않으면,

예상과 다른 결과가 시스템을 망치는 

치명적인 버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세 번째, 자동화 테스트를 통해 코드를 더 신뢰성 있는 코드로 만들어 준다.

(Tests make your code more attractive)


자기 자신 스스로가 훌륭한 소프트웨어 혹은 

모듈을 만들었다고 생각할지는 모르겠지만

다른 개발자들은 실제 그게 어떻게 출력되어지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신뢰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테스트한 결과는 

훌륭한 소프트웨어 혹은 

모듈을 만들었다는 주장의 증거가 될 것 이다.


네 번째, 자동화 테스트를 통해 

다른 팀원들과 커뮤니케이션을 원할하게 할 수 있다.

 

이전까지 예제는 애플리케이션을 

유지 관리하는 단일 개발자 관점에서 작성되었다.


하지만, 실제 프로젝트에서는 팀으로서 일을 하기 때문에

자동화 테스트는 동료가 코드를 손상시키지 않았음을 보증해 줄 것이다.


 첫 번째 테스트 작성하기

첫 번째 테스트 작성하기 : 버그를 노출하는 자동화 테스트 만들기


사실 def was_published_recently(self)라는 메소드에는 버그가 있는데,

pub_date의 필드가 미래로 설정되어 있을 때

, 미래의 시간임에도 

최근이냐고 묻는 메소드에서 true가 나온다는 버그이다.

 

그럼 아래와 같은 자동화 테스트 코드를 작성해 실제로 그런지 확인해보자.


테스트 결과는 아래의 사진과 같다.


이 자동화 테스트를 수행하는 동안 아래와 같은 프로세스를 거쳤다.

 

1. Manage.py test pollssms polls 애플리케이션에서 테스트(test.py파일)를 찾는다

2. djnago.test.TestCase클래스의 서브 클래스를 찾는다.

3. 테스트 목적으로 특별한 데이터베이스를 만든다.

4. 테스트 메소드 이름이 test로 시작하는 것들을 찾는다.

5. test_was_published_recently_with_future_question에서 pub_date필드가

30일 미래인 Qusetion 인스턴스를 생성한다.

6. assertIs() 메소드를 사용하여, 우리가 False가 반환되기를 원함에도

Was_published_recently() True를 반환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테스트 결과 역시 미래의 값을 넣어 줬음에도

False가 아닌 True값이 나온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제 버그가 있다는 것을 확인 했으니 버그 수정을 해보자.

메소드를 위와 같이 수정 한 후, 다시 테스트를 해보자.


테스트 결과 OK가 나온 것을 확인 할 수 있고

해당 메소드에는 문제가 없음을 확인 했다.

 

앞으로 다른 많은 App(polls와 같은)이 잘못 될 수도 있다.

하지만 다시는 동일한 버그가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 확신할 수 있다.

왜냐하면 테스트를 실행하면 즉시 경고가 표시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App안의 이 작은 부분(모듈)은 자동화 테스트를 작성함으로써

영원히 안전하게 고정된 것으로 간주 할 수 있다.

 

첫 번째 테스트 작성하기 : 보다 포괄적인 테스트

was_published_recently() 메소드를 고정하는 것 이상을 할 수도 있다.

만약 하나의 버그를 고치면서 

다른 새로운 버그를 만들어 낸다면 

버그를 고친 의미가 없을 것이다.

 

따라서 이 메소드의 동작을 보다 

포괄적으로 테스트하기 위해 

동일한 클래스에 두 가지 테스트 메소드를 추가해보자.



위의 recent, futrue의 

자동화 테스트 코드를 추가로 작성함으로써

old, recent, futrue라는 미래에 대한 테스트코드 뿐만 아니라


현재, 미래에 대해서도 

올바른 값을 반환하는지를 확인 시켜주는

자동화 테스트 할 수 있게 되었다.


실행 결과는 아래의 사진과 같다.


물론 아까와 다르게 코드 안에 버그가 없기 때문에

어떠한 표시 없이 default라고 나오지만,

작성한 3가지의 test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는 확인해 볼 수 있다.


 뷰 테스트

예제 설문 조사 앱인 polls는 매우 어설프게 만들어져 있다.


현재까지의 설문 조사 예제 앱의 pub_date필드는 

미래의 있는 질문 까지도 포함하게 하지만,


이것을 개선해 pub_date 필드가 미래일 경우

그 날이 오기 전까지는 보이지 않게 해야 한다.

 

뷰에 대한 테스트

위에서 버그를 수정했을 때

먼저 테스트를 작성하고, 버그를 수정했었다.

 

사실 그러한 방식은 테스트 중심의 개발 방법이며,

어떤 순서로 하는지는 그리 중요하지 않다.

 

첫 번째 테스트에서는 

코드의 내부 동작에 대해 초점을 맞추었지만,


이번 테스트에서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실제 사용자가 경험하게 되는 동작을 확인하려고 한다.

 

장고 테스트 클라이언트

Django는 뷰 레벨에서의 코드와

상호 작용하는 사용자를 시뮬레이트 하기 위한

테스트 클라이언트 클래스 Clinet를 제공한다.

 

이 테스트 클라이언트를 tests.py 또는 shell에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또 다시 shell에서 작업을 하게 될것이며,

Tests.py 에서 필요하지 않았던 두 가지 일을 해야만 한다.

첫번째는 shell에서 테스트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다.



먼저 명령 컴포넌트에서 빨간색 박스와 같이shell을 실행해준다.

 

Shell이 실행됐다면

초록색 박스와 같이 

setup_test_environment라는 이름의 템플릿 렌더러를 설치하도록 하자.

 

이 메소드는 따로 

테스트용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지 않으며,

현재 사용중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져 있는 데이터를 이용 한다.

 

또한 settings.py TIME_ZONE이 올바르지 않다면

에러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초기에 어떻게 설정해놨는지 기억나지 않는다면

앞을 진행하기 전에 먼저 확인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테스트 클라이언트 클래스를 import해야 한다.

위의 갈색 박스와 같이 입력했다면

이제 준비는 완료되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 Web ] 웹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 (Web Application Architecture)

[ Web ] 서버 사이드(Sever Side) ? 클라이언트 사이드(Client Side)? 1 [서론, 클라이언트 사이드(Client Side)]

[ Web ]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아키텍처의 정의 및 유형 ( Define and Types of Web Application Server Architectu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