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이방인이다.
왜냐하면, 나는 한국이라는 국적을 가지고 있지만
외국에서 일하고 있기 때문이다.
나에게 한국 사회는 너무나도 답답했고,
한국 사회도 나를 원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 당시 한국 사회에서 나의 가치는 낮았다.
지금은 모르겠지만,
그 당시에는 한국 사회는 신입에게도
자신의 가치를 증명하라고 요구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내가 한국에서 살아 봤자,
나는 행복하지 않을 것을 직감으로 느꼈다.
그래서 나는 잘 다루지도 못하는
외국어를 배워서 외국에서 사회 생활을 시작했다.
하지만 지금 생각해도 적응하기 까지 쉽지는 않았다.
수십 번의 고비를 맞았고,
그로부터 수십 번의 위기가 왔었다.
그리고 그 중에는
정말 다시 일어나지 못할 경우도 있었지만,
어떻게든 다른 사람들의 도움으로 잘 해결 했다.
이 자리를 빌어,
그들에게 감사 인사를 하고 싶다.
지금의 내가 있을 수 있던 것은
모두 그들의 도움이 없었다면, 불가능 했을 것이다.
어쨋든, 그 과정에서 얻은 깨달음들(대학 졸업 이후)은
내가 지금까지 얻었던 가치들 중에 가장 높은 가치를 가진다.
이런 가치들은 내가 한국에 살면서 만나본 한국 사람들과
내가 겪어본 다양한 나라 사람들을 다양한 시각에서
비판해보면서 얻은 것들이다.
밀의 말을 조금 빌려 사용하자면,
의견이라는 광물에서 비판이라는 불순물 제거 작업을 통해
'부분적 진리'라는 원석을 손에 넣었다.
그 중에 얻은 원석 중 하나가
나는 결국 이방인으로서 삶을 좋아한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이방인은 어떤 것에서 부터 자유롭다.
국적, 관습, 생각, 사상 등에서 자유롭다.
나는 한국에서 태어났지만,
외국에서 사회생활을 시작했기 때문에
나의 유전자는 동양인을 나타내고,
많은 동양인들 중에 한국인을 나타낼지 모르겠지만
나의 정신은 직접적으로는 다양한 나라 사람들에 의해
간접적으로 다양한 나라에서 발간된 책에 의해 발달되었고,
현실에서 나의 정신을 시험 받아왔다.
따라서
나의 생각은 그것이 옳든, 옳지 않던간에
한국에 살고 있는,
아니면 한국에 살고 있지 않더라도,
보통 한국 사람들과의 생각과 거리가 멀다.
그렇다고 다른 나라에 살고 있는 사람들과 같은가?
라면 또 그렇지도 않다.
따라서 나는 나 스스로를 이방인이라 생각 한다.
내가 만약 한 곳을 정착한다면,
그곳이 나의 정체성과 맞기 때문이라기 보다는
그곳의 음식, 사람들, 문화가 나와 어느정도 접점도 있으며,
그리고 무엇보다도 '자유'롭기 때문일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내가 그곳을 오래 머물이유는 없을 것이다.
내가 이방인이 됨으로서 얻을 수 있는 것 중에
가장 좋은점은 '자유'를 얻을 수 있다.
현대에서 가장 큰 공동체 한 나라의 관념에서 시작되는
모든 것들로 부터 비교적 자유롭다.
내가 이방인이기 때문에,
그 나라 사람들은 그 나라의 관념에서 나오는 것들을
위반 했을 시, 그들은 비교적 여유롭게 대해준다.
(물론 허용하는 범위 안에서만)
왜냐하면 이방인(외국인)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방인으로서,
내가 내 스스로 가치를 증명할 수 있다면,
상대적으로 나는 다른사람들에 비해
내 생각을 똑바로 표현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 그래왔고, 사소한 문제는 있었지만
그렇게 큰 문제가 없었기 때문이다.
한 마디로
나는 다른 사람들에 비해 '자유'롭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다른 사람들이
그 나라의 역사와 관습에서 나오는 것들에 의해 딜레마에 빠질 때,
이방인은 그 관습에 얶매일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것이 현대의 이방인들이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장점이다.
하지만, 가장 큰 단점은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보호받기 힘들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나는 이방인이기 때문이다.
나는 그들의 공동체에 잠시 접속(Access)할 권리를 부여 받았을 뿐이지,
내가 그 공동체에 속한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또한 자본주의 사회에서 자본만 있다면,
어느 정도 보장이 가능하다.
한 공동체로부터는 보장받을 수 없겠지만,
큰 틀의 사회에서는 보호 받을 수 있는 권리를
자본을 통해 접속(Access) 할 수 있다.
과거 이방인들은 얻을 수 없는 큰 장점이다.
왜냐하면 과거의 소규모 공동체인 마을은
각 개인들간의 결속력이 너무 강해
다른 곳의 이방인들이 들어갈 틈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세계화 되고, 자본주의라는 이름하에
자유롭게 무역이 이루어지고,
시장이라는 개념은 좀 더 광범위짐에 따라
이런 결속력이 느슨 해졌다.
시장이 광범위해짐에 따라,
개인은 물질적인 자유를 얻을 수 있었다.
현재는 달러를 기축통화로 해서
각 나라의 화폐의 가치가 정해진다.
이를 통해 현대의 이방인들은 어딜 가던,
자신의 가치를 증명할 수 있다면,
힘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최근에 들어서,
현대인의 가치는 소유에서 접속(Access)으로 바뀜에 따라
즉, 현대인의 소유라는 욕망이 점점 누그러들고 있는 상황에 따라,
그리고 소유라는 욕망에서 벗어나
더욱 특별함을 원하는 현대인이 늘어남에 따라,
세계의 자신의 가치를 증명하고 있는 개인들의 가치는
이전보다 증가하게 될 것이며,
앞으로 이런 개인들의 더욱 수요는 증가하게 될 것이다.
이런 사회에서 이득을 볼 수 있는 것은 각 개인들이겠지만,
그 중 가장 이득을 보는 것은 세계의 이방인들이다.
왜냐하면,
특별함은 개인의 '창의력'에서 나오기 때문이다.
이런 창의력은 다양한 경험에서 오는
정신적 깨달음들을 고찰하면서 생긴다.
따라서 세계를 떠돌아다니는 현대의 이방인들은 그 속에서 다양한 것을
경험하고 고찰 함에 따라,
창의력은 증가할 것이고
이런 창의력을 통해 세계안에서 자신의 가치를 증명할 수 있는 한,
개인들, 그 중에서 현대의 이방인들은
과거에 비해서 강력한 힘을 것을 가지리라 생각된다.
하지만, 아무리 많은 경험을 한들,
제대로된 자기 성찰과 고찰이 없다면
그 곳에서 깨달음을 얻을 수 는 없을 것이다.
그런 깨달음으로 부터 창의력은 생성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방인이 된다고 해서 모두가 그렇게 될 수 없으며,
나 또한 아직 세계에 나의 가치를 증명하지 못했기 때문에
그렇게 되리라 보장은 없다.
또한 이방인으로서 살면서 어쩔 수 없는 시선과
공동체에 속해 있지 않음으로써 생기는 부당함 역시 감수해야만 한다.
무엇보다 그 공동체 속에서 자신의 가치를 증명하지 못할 경우,
그 이방인이 짊어져야할 짐은 굉장히 무거울 것이다.
나 또한 그 이방인의 길을 걸어가는 이상,
내가 나의 가치를 증명해보이지 않는다면,
그 짐이 나의 것이 될 것이다.
결국 이방인들이 가는 길은 높은 리스크를 지닌다.
왜냐하면 결정적으로 잠시 공동체에 잠시 속해있을 뿐이지
리스크로 부터 보호 받지는 못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방인이 된다는 것은
한국에서 흔히 말하는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high risk, high return)이다.
하지만 내가 이방인의 길을 걸음으로써 생기는
하이 리스크들을 만났을 때,
그 과정은 못 버틸 정도로 고통스러울지도 모르겠지만,
그로서 얻을 수 있는 깨달음이라는
달콤한 열매의 맛을 너무나도 잘 알고 있으며,
그것이 나의 호기심을 자극하기 때문에
그래서 나는 이방인의 삶이 즐겁다.
세계에 내 가치를 아직 증명하지 못했지만,
나는 나의 동료들에게, 나의 주변 사람들에게
나의 가치를 증명한 것만으로도 나는 비교적 만족하고 있다.
물론 최종적으로,
세계에 나의 가치를 증명하고는 싶지만 말이다.
하지만, 그러기에는 지금 당장 나의 경험과 지식,
깨달음과 원석이 너무나도 부족하다.
따라서 나는 '부분적 진리'라는 원석을 캐나가고,
세계에 나의 가치를 증명하기 위해,
앞으로 나는 이런 이방인의 삶을 살 것이라 생각한다.
물론 그 중간에 결혼하게 된다면,
아마 이런 이방인의 삶으로 부터 멀어져,
한 공동체의 개인으로서 살아야 할 것이다.
하지만 그렇지 않은 한
나는 이방인으로서 살아갈 것이며,
그리고 이런 이방인의 삶이
나에게 어떤 즐거움을 줄지 상상만해도 즐겁다.
2020.03.06
역근처 스타벅스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