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ssay - Technology, Essay - Intuition ] Chat GTP시대의 도래와 생각하는 방식에 대해 : 개발자의 미래에 대해

이미지
벌써 올해도 반쯤 지나 뜨거운 여름이 다가왔다. 굉장히 빠르게 지나간듯한 느낌이 드는데  아마 의미있는 시간을 보냈다는 이야기이기 때문에  그렇게 나쁜 신호는 아닐 것 이다. 괴로운 시간이였다면, 1초가 1년 같이 느껴졌을테니 말이다. 더위에 매우 약한 나에게 있어서는 지옥과 같은 시기이기도 하지만 늘 그렇던 것 처럼 에어컨 덕분에 어찌저찌 버틸 수 있을 것 같다. 어쨋든, 이번에는 저번의 에세이 주제, Chat GTP시대의 도래와 생각하는 방식에 대한 이야기에 이어서  과연 개발자의 미래는 어떻게 될 것인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어보려고 한다. 어쩌면 모두가 인식하고 있듯이 지금 2025년 현재,  꽤나 중요한 시기에 직면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생성AI의 발전 속도가 생각보다 빠르게 발전하고 있고,  그에 따라 실제 업무에서도 빠르게 사용되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개발자에게 있어서 가장 두려운 점은  당연히 생성AI에 의해 개발자가 대체될 것 이라는 두려움일 것 이다. 이는 개발자에게만 한정된 이야기는 아니지만 말이다. 아마 필드에서 나와 같이 일하고 있거나  개발자로서 직업을 가지려는 생각이 있는 사람이라면  한번쯤은 생각해볼법한 주제라 생각 한다. 물론 미래가 정확히 어떻게 될 지는 알 수 없으나  이런 생각을 함으로써 몇 가지 힌트는 얻게 될지도 모르니  만약 얻게 된다면 미래에 대한 방향성을 조금이나마 올바른 쪽으로 돌릴 수 있을 것 이다. 이 글을 끝맽을 때는 조금이라도 힌트에 도달하기를 바란다. 과거의 역사 이러한 의문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일반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바로 역사를 보는 것 이다. 물론 이러한 역사를 해결책을 찾는거에 대한 전제조건은  우리가 '구 인류'라는 전제조건이 있었을 때 의미가 있다. 그러니깐 현대인도 기원전 8세기의 고대 로마인도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는 것을 인정해야만 한다. 예컨데...

[ 프로젝트 BEP, Essay - Developer ] 제 2장 : 개발 방법론 - 왜 개발자는 개발 방법론을 배워야 하는가?


이번에는 개발 방법론에 이야기 하려고 한다.

이에 해당하는 학문으로서의 이름은 Software Engineering,
한국어로는 소프트웨어 공학이라는 학문일 것 이다.

그 안에 이번에 이야기 하고자하는
개발 방법론이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이야기하는 것들은 프로젝트 관점에서 이야기를 한다.

프로젝트의 프로세스는 어떻게 할 것인가?
프로젝트의 비용에 대해서는 어떻게 정할 것인가?
또는 구성원은 어느정도로 하는 것이 좋은가 등등에 대한 학문이다.

아마 건축의 공학적 개념을 소프트웨어에도 적용한것이 아닌가 싶다.

물론 건축의 설계는 실질적인데에 비해
소프트웨어의 설계는 굉장히 추상적이기 때문에
동일 시 할 수는 없을 것이다.

이 Software Engineering이라는 학문안에는
여러가지 개념이 있겠지만,
개발자로서 중요한 곳은 개발 방법론이 아마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왜 소프트웨어 개발자는 이런 개발 방법론을 알아야할까?

이에 대해서는 '컴퓨터 개론'에 비해서는
비교적 명쾌하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실제 프로젝트는 이런 개발 방법론을 기반으로
개발 프로세스를 가지기 때문이다.

1장에서 이야기 했던 것은
어쩌면 개발 방법론 보다
실무에서 떨어져 있을 수도 있다.

하지만 개발 방법론은 다르다.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은
프로젝트의 한 구성원으로서 일을 한다.

그리고 프로젝트의 책임자들은 이런 개발 방법론을 기반으로
실제 개발 프로세스(일정)를 작성한다.

따라서 우리는 이런 개발 방법론을
학문적으로는 자세히는 알 필요는 없지만,

어떤 것이 있고,
어떤 장점과 단점을 가지고 있는지 알 필요가 있며,
이에 대한 직관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실제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어떨때는 이 개발 프로세스가,
어떨때는 다른 프로세스가 더 어울리는지
개발자로서 직감적으로 느끼고 있어야 한다.

왜냐하면
우리가 그 프로젝트에 직접 참여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고,
그런 프로세스로 일을 할 것이라고 정해 놓고
프로젝트를 진행할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내가 들어가려는 프로젝트가 올바른 개발 방법론을
사용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고려해 본다면,
적절하지 못한 프로젝트를 피할 수 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소프트웨어 개발자는 
개발 방법론을 배워야하며 알 필요가 있다.

내가 여기서 이야기하려고 하는 것은

개발 방법론 중에서
'워터폴(WaterFall)''애자일(Aglie)' 방법론
이 두 가지만 이야기 하려고 한다.

이 중 워터폴(WaterFall)은 사실상 개발 표준으로서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지만,
애자일(Aglie)은 비교적 명쾌하지 않다.

왜냐하면, '애자일(Aglie)'은 아직까지도 논의되고,
실험되고 있는 방법론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좋다고 하는 쪽이 있는 반면,
좋지 않다고 하는 쪽도 분명히 존재한다.

그래서 이런 애자일을
어떻게 설명하면 좋을지에 대해,
생각이 깊어질 수 밖에 없다.

어쨋든 개발 방법론을 살펴보면서,
그리고 이런 프로젝트의 한 구성원으로서
프로젝트 관점에서 생각해 보길 바라며,

이런 관점에서의 나의 이야기를 통해
나의 직관을 가져가 음미해보길 바란다.

또한 전에도 이야기 했지만,
나의 논지에 동의하지 않더라도

개발 방법론에 대한 필요성에 대해
꼭 스스로 한번 쯤은 생각해보길 바란다.

-------------------------------------------------------------------------------------------------

2020.03.21 초기 작성 완료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 Web ] 웹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 (Web Application Architecture)

[ Web ] 서버 사이드(Sever Side) ? 클라이언트 사이드(Client Side)? 1 [서론, 클라이언트 사이드(Client Side)]

[ Web ]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아키텍처의 정의 및 유형 ( Define and Types of Web Application Server Architectu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