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ssay - Technology, Essay - Intuition ] Chat GTP시대의 도래와 생각하는 방식에 대해

이미지
올해도 드디어 끝이 보이는 듯 싶다. 최근에 회사의 망년회를 끝내고 이래저래 회식이 늘어나는 듯 하다. 지금 시점에서는 개인적인 스케쥴도 마무리 되었기 때문에 이제는 여유롭게 연말을 즐기며 올해를 마무리 하려고 한다. 비교적 최근에 이사한 곳 근처의 스타벅스가 대학 병원 안에 있고 근처에 공원이 있어서 그런지 개를 대리고 산책하는 노인이나  아이를 동반한 가족이 눈에 띄게 보인다. 꽤나 좋은 곳으로 이사한듯 하다. 개인적으로는 올해 드디어 미루고 미루었던 이직을 하였고  그 이후에 비약적인 성장을 이루었으니  분명 안좋은 일도 있었지만 만족할 수 있는 해를 보내지 않았나 싶다. 내가 도달하려고 하는 곳으로 가려면 아직 갈길이 멀지만  궤도에 오른 것만으로도 큰 성과라면 큰 성과 일 것 이다. 어쨋든 이직하고 많은 일들을 맡게 되었는데 그 과정에서 나는 의도적으로 Chat GTP를 활용하고자 하였고 몇 가지 직감을 얻게 되었는데  이 중 한 가지를 글로 작성하려고 한다. 따라서 올해의 마무리 글은 Chat GTP에 대한 이야기로 마무리 하려고 한다. 서론 불과 약 10년전 IT업계는 원하던 원치 않던간에  한번의 큰 패러다임의 변화를 맞이해야만 했다 바로 아이폰의 등장에 따른 스마트폰의 시대의 도래와  이에 따른 IT업계의 패러다임 변화가 그것이다. 내 기억으로는 아주 격변의 시대였던 걸로 기억하는데 왜냐하면 게임은 물론이고 웹과 백신을 비롯한 모든 솔루션의 변화가 이루어졌다. 이 뿐만 아니라 가볍고 한손의 들어오는 이 디바이스는  그 당시에는 조금 비싸다는 인식이 있었지만  감추려고 해도 감출 수 없는 뛰어난 유용성으로 회의론을 금세 종식시켰고 이에 대한 결과로 어린아이 부터 노인 까지 작은 컴퓨터를 가지게 되었고 이는 당연하게도 IT업계의 전체적인 호황을 가져다주었다.  그리고 질서는 다시 한번 재정렬되었다. 이러한 패러다임의 변화의 증거로 언어 또한 변하게 되었는데...

[ 프로젝트 BEP ] 제 2장 : 개발 방법론 - 워터폴(WaterFall) ② <워터폴의 각 프로세스에 대해>

이미지
・워터폴의 각 프로세스에 대해 그렇다면 이제 순서에 따른 프로세스들의 세부적인 내용에 대해 알아보자. 위에서 살펴본 기본형과 사이클을 다시 한번 가져와 보면, 아래와 같다. 워터폴(WaterFall) 기본형 모델 ①요구 분석(Analysis) → ②설계(Design)  → ③개발(Implementation) →  ④테스트(Test & Integration)  → ⑤유지・보수(Maintenance) 요구 분석(Analysis)부터 시작해 세부적으로 살펴보자. 사실 프로젝트에서 이런 프로세스가 있지만, 일반 사람들이 인식하고 있는 것은 개발, 단 한 프로세스이다. 이 단계에서 실제로 개발자들이 프로그래밍을 통해 구현하게 된다. 그리고 대부분의 주니어들은 아마 자신이 이런 개발 단계만 하리라, 그리고 실제 실무를 하면 거기에 투입되리라 생각하겠지만, 그렇지 않다. 그런 생각을 가지고 업계에 들어온 주니어들에게는 희망적이지도, 달가워하지 않을 이야기일지도 모르겠지만, 특히 주니어라면 더더욱 개발을 맡기지 않는다. 주니어에게 개발 프로세스의 일을 맞기게 되는 상황이라면, 매우 좋지 않은 상황이며, 정상적인 개발 프로세스가 수행되고 있다고 보기 힘들다. 그렇다 하더라도, 개발만이 개발자의 일은 아니며, 다른 프로세스보다 개발 프로세스가 더욱 중요한 것은 아니다. 이 프로세스에서 중요하지 않은 프로세스는 없다. 간혹 개발자들 중에 특히 테스트를 역할을 맡는 팀을 우습게 보고 이들을 무시하는 경향이 있는데, 어느 프로세스의 역할을 하건 간에 프로젝트 안에서 수직적인 위 아래는 없으며, 그런 하에 프로젝트의 인원들은 모두 동료다. 그렇지 않다면, 우리들의 프로젝트는 원활히 돌아가지 못할 것이다. 따라서 만약 그런 선배들이 보인다면 그런 사람들을 보고 배우지 않았으면 하는 작은 바램이있다. 어쨋든 이 중 하나의 프로세스라도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는다면, 프로젝트는 제대로 완수했다고 볼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개발 일을 하고 싶어서 왔다 하더라도...

[ 프로젝트 BEP ] 제 2장 : 개발 방법론 - 워터폴(WaterFall) ③ <결론>

이미지
지금까지 해서 워터폴(WaterFall)과 각 프로세스에 대한 이야기를 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워터폴은 업계 표준이라 말 할 수 있을 정도로 자주 사용되어지고 있는 프로세스다. 아마 특별한 경우가 없다면  대부분의 프로젝트는 워터폴로 진행되지 않을까 하는 것이 나의 의견이다. 때문에 워터폴이라는 방법론에 대해 직감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는 말이다. 워터폴이라는 개발 프로세스의 한해서 주니어로서 할 수 있는 프로세스는 대개 테스트나 유지 보수일 것이다. 물론 자질도 실력도 훌륭한 주니어라면 개발 프로세스를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위에서도 언급했다시피 실무 레벨의 프로젝트는 대개 수 많은 사람과 협업을 하며, 그에 따른 암묵적인 관습이나 규칙들이 있다. 이런 암묵적인 관습이나 규칙들은 잘 언급해주지 않기 때문에 그리고 언급해주더라도 주니어들은 익숙하지 않아 대개 잊어버리기 십상이기 때문에 개발 프로세스의 일을 맡기지 않는다. 세상에 절대라는 것이 없듯이 가끔 익숙한 것 처럼 보이는 주니어들이 있다고 할 수도 있지만, 그런 사람들은 사실 주니어라고 보긴 힘들다. 왜냐하면, 이런 유사한 환경에서 일해본 경험이 있기 때문에 기술적으로는 주니어 일지라도, 주니어라고 취급하지 않는다. IT업계에서는 이직과 전직이 흔하기 때문에 누군가 전직한다고 해도 그를 주니어라고 부르지 않는 것과 같은 논리이다. 하지만 이를 논외로 치고  정말로 처음 입사하는 사람 중에 드물게 그런 주니어들이 보이기도 한다. 매우 안타깝게도  늘 그렇듯이 인생을 살아가는데 있어서 가끔 우리의 상상을 뛰어넘는 사람들이 존재해왔었기 때문이다. 그게 IT업계라고 하더라도 예외는 아니다. 하지만,  문제는 자신이 그런 사람이라고  착각하는 사람들이 있어서 문제다. 자신이 정말로 능력을 가지고 있다면 유지 보수에서 실력이 드러나기 때문에 리더 개발자의 판단으로 필요하다면 개발 프로세스를 담당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주니어로서 자신이 개발 프로세...

[ 프로젝트 BEP ] 논의① 부록 : 소득분배론 노트

이미지

[ Essay - The People ] 코로나 바이러스는 우리에게 어떤 것을 남겨주었는가( What did the corona virus leave us )

이미지
우리는 코로나 판데믹이라는 큰 파도를 맞았다. 우리 대부분의 예상은  코로나가 과거 독감 바이러스들 처럼 따뜻해질 시기가 되면 사라질 줄 알았으나 코로나 바이러스의 기세는  사그라들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그렇기에 세계 각국은  자신들만의 방법으로 대처를 해왔고 지금에 와서는 조금씩 효과를 보는듯 하다. 그렇다면 이쯤에 와서 우리는 생각해볼 것이 생겼다. 코로나라는 바이러스에 대한 해결책보다도  왜 이렇게 되었는가에 대해 이야기를 포함해 고찰과 성찰을 해봐야 한다. 그래야만 우리는 실패로 부터 '진보'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진보'할 수 있다는 점이  다른 동물들 보다 인간이 나은점이 아닌가? 그렇다면 우리는 이러한 장점을 잘 살려서 더 나은 내일을 만들어야할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고찰과 성찰이 필요할 것이다. 물론 나의 논의로는 부족할지는 모르겠지만 그래도 '부분적 진리'는 있으리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코로나 바이러스란 무엇인가 우선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해 이야기가 필요할 것이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20세기부터 발생한 바이러스로 보인다. 현재 유행하고 있는 코로나 바이러스는  중증 급성 호흡기 중후군 코로나 바이러스 2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라고 하며 그로 인해 발생하는 질병을  코로나 바이러스 질병(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이라 한다. 이후 코로나 바이러스라고 말하는 것은  원인인 바이러스가 아닌 질병인 COVID-19를 말하는 것임을 먼저 밝힌다. 2020.05.27 기준 현재  188개 국가에서 약 559만명이 감염되었고  그 중 228만 명이 회복,  약 35만명이 사망했다고 한다. 이를 통해  단순한 치사율로 계산해보면  약 6.3%정도되는 치사율을 가지고 있다. 스페인 독감의 치사율이 2...

[ Essay - Society ] 사회에 살아가기 위해서는 외국어는 꼭 배워야하는가( Is it necessary to learn a foreign language for live in society)

이미지
이 에세이는 나의 생각 카테고리 글 중에 <지금 시점에서 외국어를 배울 필요성이 있는가에 대해>의 연장선이다. 따라서 이런 주제를 사회로 좀 더 확장시켜서 <사회에 살아가기 위해서는 외국어는 꼭 배워야하는가>라는 주제로 에세이를 작성해보려 한다. 이에 아마 전에 쓴 부분과 중복되는 내용이 있을 것이다. ・사회와 외국어 그리고 머신러닝 최근에 알파고가 세상에 드러나면서 많은 변화가 있었다. 당시 일반 사람들에게는 AI가 세상을 정복하는게 아니냐는 식의 이야기가 뉴스에서 많이 떠돌았다. 뭐 실제로는 다르지만 말이다. 어쨋든 일반 사람들에게 까지 AI가 가능성이 있겠다는 인식을 심어주면서, 시장 개척의 가능성도 함께 드러났다. 그 이후 많은 기업들이 AI쪽으로 눈을 돌렸고, 실제로 이미 AI쪽에 올인을 건 기업도 많다. 그 만큼 미래의 산업은 AI가 중심이 될 것이라 기업들은 판단한 것 이다. 그리고 지금에서 실질적으로 느낄 수 있는 AI기술이 쓰이고 있는 곳은 마케팅과 이미지 인식 쪽인 컴퓨터 비전, 그리고 번역 기술인것 같다. 사실상 머신러닝은 지금 연구가 엄청 진행되고 있는 단계이기도 하고, 연구할 인원도 부족하며, 현실과 연결 시켜줄 엔지니어들도 사실 없다고 보면 된다. 하지만 이 머신러닝이 현실에 다양한 분야에 적용 될 정도의 기술로 발달 한다면, 아마 세상의 패러다임이 다시 한번 바뀔 것이다. 9년전 아이폰이 등장 한 것 처럼 말이다. 아이폰이 등장해 스마트 폰이라는 새로운 시장의 개척과 스마트폰에 관련된 다양한 시장이 개척되고 패러다임이 바뀌었다. 이에 대해 가장 득을 본 것은 아마 삼성전자와 구글일 것이다. 이와 같이 머신러닝 기술도  새로운 시장이 개척되고 관련된 다양한 시장이 개척될 것 이다. 이 것이 우리의 가까운 미래이다. 내 생각에는 얼마 멀지 않은 것 같다. ・외국어 공부에 대한 필요성에 ...

[ 프로젝트 BEP ] 제 2장 : 개발 방법론 - 워터폴(WaterFall) ① <워터폴이란 무엇인가>

이미지
이번 이야기는 개발 방법론 중 사실상 국제 표준 개발 방법론 이라고 할 수 있는 '워터폴(WaterFall)'에 대해 이야기를 할 것이다. 대부분의 프로젝트는 이 '워터폴(WaterFall)'에 기반을 두고 진행하는 프로젝트가 많을 것 이다. 왜냐하면, 과거부터 이런 프로세스로 성공한 프로젝트 수가 많다는 것을 보면, 워터폴 기반의 개발 프로세스가 안정적이라는 것을 알 수있고, 대다수가 그렇게 느끼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누군가가 표준이라고 정하지 않더라도 우리는 암묵적으로 '워터폴(WaterFall)'을 표준으로서 사용하고 있다. 물론 그렇다고 단점은 없는 것은 아니다. 워터폴의 단점 때문에 애자일이라는 개념의 개발 프로세스가 등장했으니 말이다. 어쨋든 애자일은 다음에 하기로 하고, 이번에는 워터폴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자. ・워터폴(WaterFall)이란 무엇인가? 한국말로는 폭포수라고도 한다. 아마, 위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폭포수와 같이 이 방법론이 절차대로 아래로 떨어지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어쨋든 어원은 크게 중요하지 않으니 그렇게 이해하고 있으면 된다.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어원이 아니라 워터폴 모델에서 얻을 수 있는 직감(intuition)이다. 워터폴 모델은 사실 단 한 가지만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파생 워터폴 모델들이 엄청 많으며, 이는 대부분 기본형에서 변형한 것이기 때문에 우리가 알아야 하는 것은 가장 기본적인 워터폴 모델이다. 그리고 이런 기본형 워터풀 모델에서 직감을 가져올 수 있다면, 다른 파생 워터폴 모델을 보더라도 큰 문제점은 없을 것이다. 워터폴(WaterFall) 기본형 모델 위의 그림은 사실상 가장 기본이라고도 할 수 있는 워터폴 모델이다. 순서는 아래와 같다. ①요구 분석(Analysis) → ②설계(Design)  → ③개발(Implementation) →  ④...

[ Essay - The People ] The People들은 책임감으로 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가( Can The People be free from responsibility : 2) : 2

이미지
1장에 이어서 2장은 팔다리가 없어진 정부와  반쪽짜리 The People들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하면서 The People들의 목소리인 '여론'에 대한 이야기 그리고 내가 논하고 싶어하는  The People들이 책임감으로 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지를 이야기하고, 결론으로 마무리를 짓도록 하겠다. 그럼 바로 본론으로 넘어가자. ・팔다리가 없어진 정부와 반쪽 짜리 The People들 1장에서 이야기 했듯이 지금의 정부는  무언가를 강력하게 자신들의 이상을 펼치기 힘들다. 왜냐하면 군주정에서의 정부(왕과 그 신하)에서는  정책의 기획부터 실행까지 할 수 있는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자신들의 이상을 마음껏 세상에 펼칠 수 있었지만 현대의 민주주의의 정부는 독재를 막기 위해 혹은 강력한 힘으로 옳지 못한 일을 막기 위해  정책의 기획은 할 수 있지만 실행은 할 수 없다. 따라서 정부는 그러한 실무 경험 조차도 없기 때문에 그러한 힘을 가진 것은 정부 산하 기간의 고위 공무원이다. 그러한 예로 이번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대책으로 정부가 원했던 대책(이상)과  질병관리본부가 원했던 대책(이상)이 상이하게 다름으로서  나타난 혼란이 이러한 민주주의 시스템의 한계를 여지없이 보여준다. 정부의 이상과 이러한 실무를 담당하는 공무원들의  이상이 일치하지 않는 이상 문제는 해결되지 않고 혼란만 남길 뿐이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해야하는 것이  The People들이다. 하지만 1부에서 언급했듯이 어떤 이유에서든  지금의 The People들은 반쪽 짜리다. 한 사람 한 사람이 힘을 가진다는 민주주의에서 자신의 의견을 표출할 수 없으며 다수의 The People들이 옳다고 생각하는 의견과 다르면 소수의 The People들에게 철퇴를 내리는  그러한 민주주의가  정말로 민주주의라고 할 수 있을까? 민주주의는 둘째 치고 과연 그것이 '자유'인가?...

[ Essay - The People ] The People들은 책임감으로 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가( Can The People be free from responsibility : 1) : 1

이미지
인민(the people)은 책임감으로 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가! 이보다 흥미로운 질문은 흔치 않을 것이다. 과거 부터 이런 생각이 머리속을 맴돌았기에, 그리고 이번에는 이런 주제로 에세이를 쓰고 싶다는 의욕이 강하기에, 이번 기회를 통해 에세이를 써보면서 정립해보려 한다. 우선 들어가기 전에 서론 이후에는 인민이라는 단어를 쓰지 않고 대신에 the people을 쓸 예정이다. 왜냐하면, 나중에 다른 언어로 바꾸어서 따로 작성할 예정이지만 초안은 한국어로 작성할 것이기 때문이며, 개인 블로그에 올라갈 예정이기 때문이다. 하지만,현재 한국에서 인민이라는 단어는 대개 좋지않은 의미로 받아들여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 의미가 실제로 어떤 의미를 담고 있는 것과는 상관 없이 실제 인민이라는 단어가 한국 사회에서 좋게는 받아들여져 있지는 않기 때문에 나는 인민이라는 단어 대신 the people을 사용할 예정이다. 물론 이번 주제가 인민에 대한 것이고 the people의 번역으로서 인민이 적절함에는 나도 동의하는 바이지만 이 에세이는 개인 블로그에 올릴 예정인 에세이로 누군가 본다는 가정하에 작성되어지고 있다. 내가 인민이라는 단어를 씀으로써, 나의 글에 비판적인 생각이 아닌 거부감을 느낀다면, 그것은 내가 원하는 바가 아니다. 그렇기에 이 후에는 조금 번거롭더라도 인민이 아닌 가급적 the people을 사용하도록 하겠다. 어쨋든 내가 이런 주제와 같은 의문을 가진것은 나를 포함하고 있는 the people들은 민주주의 시대에 살고 있고, 그런 것들이 '진리'라고 여겨져 있는 사회에 살고 있는 현실속에서 the people들은 어떤 책임감으로 부터 자유롭기 때문이며, 그런 인식이 사람들의 머리속을 지배하고 있기 때문이다. 나는 그러한 사실은 매우 정당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인간'의 집단이 아무리 뛰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