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ssay - Technology, Essay - Intuition ] Chat GTP시대의 도래와 생각하는 방식에 대해

이미지
올해도 드디어 끝이 보이는 듯 싶다. 최근에 회사의 망년회를 끝내고 이래저래 회식이 늘어나는 듯 하다. 지금 시점에서는 개인적인 스케쥴도 마무리 되었기 때문에 이제는 여유롭게 연말을 즐기며 올해를 마무리 하려고 한다. 비교적 최근에 이사한 곳 근처의 스타벅스가 대학 병원 안에 있고 근처에 공원이 있어서 그런지 개를 대리고 산책하는 노인이나  아이를 동반한 가족이 눈에 띄게 보인다. 꽤나 좋은 곳으로 이사한듯 하다. 개인적으로는 올해 드디어 미루고 미루었던 이직을 하였고  그 이후에 비약적인 성장을 이루었으니  분명 안좋은 일도 있었지만 만족할 수 있는 해를 보내지 않았나 싶다. 내가 도달하려고 하는 곳으로 가려면 아직 갈길이 멀지만  궤도에 오른 것만으로도 큰 성과라면 큰 성과 일 것 이다. 어쨋든 이직하고 많은 일들을 맡게 되었는데 그 과정에서 나는 의도적으로 Chat GTP를 활용하고자 하였고 몇 가지 직감을 얻게 되었는데  이 중 한 가지를 글로 작성하려고 한다. 따라서 올해의 마무리 글은 Chat GTP에 대한 이야기로 마무리 하려고 한다. 서론 불과 약 10년전 IT업계는 원하던 원치 않던간에  한번의 큰 패러다임의 변화를 맞이해야만 했다 바로 아이폰의 등장에 따른 스마트폰의 시대의 도래와  이에 따른 IT업계의 패러다임 변화가 그것이다. 내 기억으로는 아주 격변의 시대였던 걸로 기억하는데 왜냐하면 게임은 물론이고 웹과 백신을 비롯한 모든 솔루션의 변화가 이루어졌다. 이 뿐만 아니라 가볍고 한손의 들어오는 이 디바이스는  그 당시에는 조금 비싸다는 인식이 있었지만  감추려고 해도 감출 수 없는 뛰어난 유용성으로 회의론을 금세 종식시켰고 이에 대한 결과로 어린아이 부터 노인 까지 작은 컴퓨터를 가지게 되었고 이는 당연하게도 IT업계의 전체적인 호황을 가져다주었다.  그리고 질서는 다시 한번 재정렬되었다. 이러한 패러다임의 변화의 증거로 언어 또한 변하게 되었는데...

[ 생각, Essay - The Orient ] 동양(The Orient)을 만들고 시작하면서



이 세계를 둘로 나누는 방법으로 자주 사용되는 것은
서와 동으로 나누어서, 
서양과 동양으로 이야기하는 것이 가장 쉬울 것이며
우리에게 너무 나도 익숙할 것 이다.

이방인으로서 살아가면서 나는 어떤 것을 직감하였다.

내가 한국에서 살아오면서 
마음 구석진 곳에 집어 넣은 것들 중 하나이다.

왜 동양 국가는 서양 국가를 앞지를 수 없는 것 일까에 대한 이야기이다.

정확히는 동양 문화권은 왜 패러다임을 일으킬 수 없는 것일까에 대한 의문이다.

물론 이러한 이야기는 한국에서는 전혀 이야기 되어지지 않는다.

왜냐하면 굳이 한국의 모자른 점을 
들춰내면서 채면을 버릴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모자른 점보다는 장점을 부각시키는 것이 너무나도 일반적이다.

하지만, 
동양권 문화에서는 온갖 변명을 늘어세우면서 
이를 애써 무시하려고 한다.

동양의 3마리의 용인 
한국, 중국, 일본 모두 다 동일하다.

가장 먼저 일본이, 다음으로 한국, 그리고 지금의 중국은 
세계에서 손에 꼽는 경제 대국이라고 말해도 부족하지 않을 정도로 급속도로 발전했다. 

과거에는 일본이 서양 문화를 위협했었고,
그리고 지금은 중국이 위협하고 있다.

어떤 사람들은 중국이 미국을 제치고 G1으로써 
위치를 차지한다고 이야기하지만,
나는 이에 대해 부정적인 생각이 들 수 밖에 없다.

왜냐하면 중국의 정치 체계가 너무 나도 불안해보이기 때문이며,
과거 일본을 보면 썩 희망적이라고 말하기는 힘들다.

결정적으로 사회의 패러다임이 항상 서양 문화권
특히, 미국에서 주도하기 때문이다.   

비교적 최근인 스마트폰이라는 거대한 패러다임은
미국의 실리콘벨리에 스티브 잡스가 이끄는 애플에서 불어왔고

그리고 가장 최근인 전기차는 미국의 테슬라에서 
그리고 AI라고 불리우는 머신러닝은 
구글의 알파고 팀에서 거대한 패러다임이 불어 왔다.

왜 그럴까?

그들이 패러다임을 이끄는 것은 단순히 우연일까?

하지만, 나는 기본적으로 이유 없는 행동은 없다고 생각하며,
이에 따라 이런 행동에 따라 나오는 결과 또한 
대개 우연이 아니라는 생각을 기저에 깔아 놓고 생각하는 사람이다.

따라서 그들이 패러다임을 주도하는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닐 것이라 생각한다.

21세기 초의 인터넷, 2010년대의 스마트폰, 
그리고 지금의 전기차와 AI는 모두 서양 문화권, 특히 미국이 일으키고 있다.

그리고 이를 동양 문화권이 따라가기에만 벅차다.

이 모든 것이 우연 일까?

위의 언급한 3가지 거대한 패러다임이 
서양 문화권에서 불어왔던 것은 모두 우연일까?

혹시 채면이 서지 않아서 우연이라고 믿고 싶은 것은 아닐까?

채면을 살리기 위해, 
혹은 쓸모없는 자존심을 세우기 위해
이야기를 하지 않는다면 아무것도 나아질 것이 없다.

나는 항상 동양 문화가 
서양 문화를 이겨야 된다고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다.

동양 문화권이 패러다임을 일으키지 못하는 이유가 
그리고 그러한 이유에 
'혹시 동양 문화권이 나아가는 길이 잘못 나아가고 있는 것이 아닐까?'
라는 것이 포함되어 있다면

오늘 보다 나은 내일, 그리고 
옛것에 새것을 더한다는 의미의 '진보'를 하기 위해 
어떤 것을 해야할 것인가에 대한 것들에 흥미가 있을 뿐이다.

기존과 같이 따라가기만 하는 것이 아닌 
동양 문화권의 진보를 통해 
서양 문화권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다면,

늘 그렇듯이 경쟁을 통해 새로운 것들을 창조해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더해 서양 문화권에서 해결하기 힘든 문제를
동양 문화권의 시각으로 바라보면서 문제를 해결 해볼 수도 있고

역으로 동양 문화권에서 해결하기 힘든 문제를
서양 문화권의 시각으로 바라보면서 문제를 해결해볼 수도 있을 것 이다.

채면만 버린다면, 모두 가능한 일이다.

나는 이방인으로서 살아가면서, 
그리고 다양한 사람을 만나면서 느끼는 것은
특히 서양권 문화에 익숙한 사람들은 무언가 
서양 문화권에서 나타나는 특별함을 느낄 수 있었다.

이 특별함은 무엇일까?

나는 이 특별함이 동양과 서양을 나누는 근본적인 것이며,
이 특별함이 현대 사회의 패러다임인
민주주의와 자본주의에 가장 어울리기 때문에
동양이 패러다임을 주도하기는 힘들다고 생각하고 있다.

하지만, 이 특별함이 무엇인지는 
수 많은 고민을 해봐도 손에 잡히지는 않았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나는 이에 대한 해답을 알고 있다.

수 많은 에세이를 거치고, 수 많은 결론을 내리면서
내가 얻을 수 있는 답은 단 하나 뿐이다.

바로 '탐구'다.

이는 인간만이 가지고 있는 존엄성인 탐구 말이다.



2020.10.22 
역 근처 스타벅스에서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 Web ] 웹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 (Web Application Architecture)

[ Web ] 서버 사이드(Sever Side) ? 클라이언트 사이드(Client Side)? 1 [서론, 클라이언트 사이드(Client Side)]

[ Web ]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아키텍처의 정의 및 유형 ( Define and Types of Web Application Server Architectu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