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Web인 게시물 표시

[ Essay - Technology, Essay - Intuition ] Chat GTP시대의 도래와 생각하는 방식에 대해

이미지
올해도 드디어 끝이 보이는 듯 싶다. 최근에 회사의 망년회를 끝내고 이래저래 회식이 늘어나는 듯 하다. 지금 시점에서는 개인적인 스케쥴도 마무리 되었기 때문에 이제는 여유롭게 연말을 즐기며 올해를 마무리 하려고 한다. 비교적 최근에 이사한 곳 근처의 스타벅스가 대학 병원 안에 있고 근처에 공원이 있어서 그런지 개를 대리고 산책하는 노인이나  아이를 동반한 가족이 눈에 띄게 보인다. 꽤나 좋은 곳으로 이사한듯 하다. 개인적으로는 올해 드디어 미루고 미루었던 이직을 하였고  그 이후에 비약적인 성장을 이루었으니  분명 안좋은 일도 있었지만 만족할 수 있는 해를 보내지 않았나 싶다. 내가 도달하려고 하는 곳으로 가려면 아직 갈길이 멀지만  궤도에 오른 것만으로도 큰 성과라면 큰 성과 일 것 이다. 어쨋든 이직하고 많은 일들을 맡게 되었는데 그 과정에서 나는 의도적으로 Chat GTP를 활용하고자 하였고 몇 가지 직감을 얻게 되었는데  이 중 한 가지를 글로 작성하려고 한다. 따라서 올해의 마무리 글은 Chat GTP에 대한 이야기로 마무리 하려고 한다. 서론 불과 약 10년전 IT업계는 원하던 원치 않던간에  한번의 큰 패러다임의 변화를 맞이해야만 했다 바로 아이폰의 등장에 따른 스마트폰의 시대의 도래와  이에 따른 IT업계의 패러다임 변화가 그것이다. 내 기억으로는 아주 격변의 시대였던 걸로 기억하는데 왜냐하면 게임은 물론이고 웹과 백신을 비롯한 모든 솔루션의 변화가 이루어졌다. 이 뿐만 아니라 가볍고 한손의 들어오는 이 디바이스는  그 당시에는 조금 비싸다는 인식이 있었지만  감추려고 해도 감출 수 없는 뛰어난 유용성으로 회의론을 금세 종식시켰고 이에 대한 결과로 어린아이 부터 노인 까지 작은 컴퓨터를 가지게 되었고 이는 당연하게도 IT업계의 전체적인 호황을 가져다주었다.  그리고 질서는 다시 한번 재정렬되었다. 이러한 패러다임의 변화의 증거로 언어 또한 변하게 되었는데...

[ Eassy - Technology, IT, Web ] Web Server와 Web Application 또는 Web Application Server(WAS)란 무엇인가?

이미지
이번에는 흔히 혼동되어 사용되어지는 Web Server와 Web Application 또는 Web Application Server에 대해 명확히 하고 넘어가려고 한다. 이전의 프레젠테이션 로직과 비지니스 로직을  이야기했을 때와 동일한 프로세스로 진행하려고 한다. 웹 서버(Web Server)에 대해 웹 서버에 대해 이야기하기 전에 먼저 우리 모두의 친구 위키피디아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물론 영문판이다. 웹 서버는 서버 소프트웨어 또는 서버를 구동 하는 하드웨어를 말하며, World Wide Web의 클라이언트 요청을 만족 시킬 수 있다. 웹 서버는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웹 사이트를 가질 수 있으며, HTTP 및 관련된 여러 프로토콜을 통해 들어오는 요청(Request)를 처리한다. 웹 서버의 주요 기능은 저장과 클라이언트에게 웹 페이지의 처리 하고 전달하는 것이다.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은 HTTP를 사용하여 이루어 진다. 전달 받은 페이지는 대개 HTML 문서이며, 텍스트 이외에도 이미지, 스타일 시트와 같은 CSS 그리고 JavaScript 등으로 작성된 스크립트 문서가 포함 될 수 있다. —위키피디아(영문판), Web Server 이제 검증을 위해 래퍼런스 같은 인용이 필요하다는  문구는 너무 나도 익숙할 것이다. 이 문구가 항상 나오는 이유는 간단하다. 그것이 IT 업계 용어이기 때문이다. 위의 내용을 기반으로 이야기 해보면 Web Server는 우리가 흔히 말하는  WWW(World Wide Wed)에서 사용하는 웹 페이지를  처리하고 전달하기 위해, HTTP라는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Server라고 이야기 할 수 있다. 따라서 Web Server의 역할에 대해 이야기 한다면 정적으로 이루어진 페이지를 처리 및 외부 전달이  주 목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애플리케이션 서버(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