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rchitecture, Technology ,Web ] SSO(Single Sign On) 그리고 SAML에 대해

이미지
이번 프로젝트 내부에서 어쩌다보니  유저 인증 관련 업무를 담당하게 되었고, 해야하는 업무는 내부에 사용했던 적이 없던  새로운 개발 플랫폼에서  SSO의 프로토콜 중  SAML을 이용해 앱의 인증을 구현해야만 했다. SSO를 생각해본적 조차 없는 상황에 이를 새로운 개발 플랫폼에 도입해야 했기 때문에 많은 시행착오를 겪었으나 구현에 성공하였으며 덕분에 SSO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쌓을 수 있었다. 이번에는 그러한 과정에서 나온 지식들과 경험을  공유하고자 한다. SSO에 대한 정의 먼저 사전적 정의 부터 살펴보자. 다만, 기술적인 용어다보니 자주 사용하는 옥스포드 사전에 정의를 찾을 수 없기 때문에  검색으로 찾을 수 있는 정의를 몇 가지 살펴보고 교차 검증을 해보자. 첫 번째 정의를 살펴보자. Single sign-on (SSO) is an identification method that enables users to log in to multiple applications and websites with one set of credentials.  SSO는 웹사이트에서 한 번의 인증(one set of credentials)으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 할 수 있는 인증(identification) 방법(method) 이다. 두 번째는 위키피디아의 정의이다. Single sign-on (SSO) is an authentication scheme that allows a user to log in with a single ID to any of several related, yet independent, software systems. SSO는 독립적이지만 연관되어있는 몇몇 소프트웨어에 대해 하나의 ID로 로그인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인증 구조(scheme) 세부 설명에 조금 차이가 있어 보이지만 전체적인 틀은 매우 비슷해 보인다.  몇 가지 포인트가 되는 단어를 추출해 이를 연결해보자면 아래와 같은 의미를 산출 할 수 있다. 독립적이지만 연관되어 있

[ Ruby ] 30분만에 대충 살펴보는 Ruby의 기본 ②

이미지
난 Harsh를 모른다. 그렇기에 일단 코드를 복사 붙여넣어 결과물을 봤다.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대충  books라는 객체에 Hash를 추가하는 것 같다. 다음으로 넘어가자 튜토리얼에서는 이 블록({ })을 이야기하려고 했던것 같다. Ruby는 메소드 뒤에 {} 을 붙여서  추가적인 처리를 할 수 있는 것 같다. 이번에는 블록({})과 파이프 기호에 대해 설명하는 것 같다. 5.times의 결과물을 블록의 시작 부분에 파이프로 넘길 수 있다고 설명한다. 따라서 .times 메소드의 결과물은  블록 내부의 time이라는 파이프에 넘기게 될 것이다. 이를 확인해보자. 예상대로 각 결과물이 화면에 표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넘어가보자. 다음으로 괄호()에 관한 이야기 이다. Ruby에서는 ()를 붙이건 붙이지 않건 올바르게 작동한다고 한다. 물론 개인적으로는 괄호를 명시해주는 것이 가독성이 좋다고 생각한다. 위에서 언급한대로 있건 없건 컴파일 에러는 나오지 않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넘어가자. 이번에는 메소드를 정의하는 방법에 대한 예제인것 같다. 위의 코드를 작동해보면 위와 같이 메소드의 이름이 출력되는데, 아무것도 정의되어 있지 않으면 메소드 이름을 출력하는 것 같다. 다음으로 넘어가자. 이번에는 메소드 내부를 채워서 결과물을 확인하는 것 같다. 실행해보자. 정의한 메소드의 숫자를 집어넣으면 위와 같이 숫자 만큼 puts이 실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넘어가자. 다음은 실제 메소드를 실행하는 것인데  나는 위에서 먼저 확인했었다. 다음으로 넘어가자. 다음은 메소드에 return을 넣어 반환값을 확인하는 것이다. 결과를 확인해보자. 결과는 함수 내부의 처리대로 3번 puts이 실행되고 마지막 코드의 puts에 의해  tame(3)의 리턴 값이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넘어가자. 이제 본격적인 메소드 제어에 관한 이야기를 시작하는 것 같다. 튜토리얼에서 셰익스피어의 책의 목록을 저장한 get_shakey라는 변수를

[ 생각 ] 모르면 가만히 있는게 정말 좋을까?

이미지
나의 모국인 한국에는 이런 격언이 있다. "가만히 있으면 반이라도 간다."라는 격언이다. 지금 생각해도 한국 사회의 모습을  관통하는 정말 멋진 격언이라고 생각 한다. 이런 격언에 저주에 의해서 인지는 모르겠지만 한국 사회 전반에는 이런 의식이 자연스럽게 자리잡게 되었다. 이런 느낌을 가장 잘 느낄 수 있는 것은 한국의 초, 중, 고등학교  심지어 대학교의 수업에 들어가보면  누구나 잘 느낄 수 있다. 또한 한국 사회에 나가면  이와 비슷하게 흔히 들을 수 있는 것은 "모르면 가만히나 있지"이다. 여기에 주변 사람들의  강력한 눈초리와 비웃음 까지 더 하면 "가만히 있으면 반이라도 간다"는 격언이  완벽하게 진리 처럼 들려온다. 미래를 이끌어가야하는  어린 세대 그리고 젊은 세대는 말할 것도 없고  그 상위 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기성 세대 또한 가만히 있는 문화에 그리고 이러한 인식이 자리 잡고 있다.  그리고 나는 그런 한국 사회안에서 자라왔었고, 학생 시절을 보냈다. 내가 한국에서 살면서  의문점과 궁금했던 것이 굉장히 많았었는데 그 중 하나가 이런 말에 대한 것이 였다. 초,중,고,대학교를 거치면서 굉장히 의문이 들었던 것은 '질문' 하는 행위에 대한 것이다. 이성적으로 생각하면 학생이  질문 하는 행위는 너무나도 당연한 것이다. 한국 사회에서는 그렇지 않다. 질문을 하는 행위는 민폐를 줄 수 있는 행위이다. 왜냐하면 수업 중에 질문한다는 행위는  수업의 흐름을 끊는 행위이기 때문이다. 그 말은 앞에서 수업을 하는  선생 또는 교수가 말하는 도중  말을 끊는 행위는 예의 상 실례가 될 수 있으며 같이 수업을 듣는 사람들에게 또한 큰 민폐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인터넷에서 이런 관련 이야기가 나오면  '질문하는 행위가 무슨 문제냐'는 이야기가 꽤 많다는 것이다. 이는 전부는 아닐지라도  이상하게 느끼고 있는 사람들이 꽤 있다는 것이다. 물론 위와 같이 반

[ 생각, Essay - The Orient ] 동양(The Orient)을 만들고 시작하면서

이미지
이 세계를 둘로 나누는 방법으로 자주 사용되는 것은 서와 동으로 나누어서,  서양과 동양으로 이야기하는 것이 가장 쉬울 것이며 우리에게 너무 나도 익숙할 것 이다. 이방인으로서 살아가면서 나는 어떤 것을 직감하였다. 내가 한국에서 살아오면서  마음 구석진 곳에 집어 넣은 것들 중 하나이다. 왜 동양 국가는 서양 국가를 앞지를 수 없는 것 일까에 대한 이야기이다. 정확히는 동양 문화권은 왜 패러다임을 일으킬 수 없는 것일까에 대한 의문이다. 물론 이러한 이야기는 한국에서는 전혀 이야기 되어지지 않는다. 왜냐하면 굳이 한국의 모자른 점을  들춰내면서 채면을 버릴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모자른 점보다는 장점을 부각시키는 것이 너무나도 일반적이다. 하지만,  동양권 문화에서는 온갖 변명을 늘어세우면서  이를 애써 무시하려고 한다. 동양의 3마리의 용인  한국, 중국, 일본 모두 다 동일하다. 가장 먼저 일본이, 다음으로 한국, 그리고 지금의 중국은  세계에서 손에 꼽는 경제 대국이라고 말해도 부족하지 않을 정도로 급속도로 발전했다.  과거에는 일본이 서양 문화를 위협했었고, 그리고 지금은 중국이 위협하고 있다. 어떤 사람들은 중국이 미국을 제치고 G1으로써  위치를 차지한다고 이야기하지만, 나는 이에 대해 부정적인 생각이 들 수 밖에 없다. 왜냐하면 중국의 정치 체계가 너무 나도 불안해보이기 때문이며, 과거 일본을 보면 썩 희망적이라고 말하기는 힘들다. 결정적으로 사회의 패러다임이 항상 서양 문화권 특히, 미국에서 주도하기 때문이다.    비교적 최근인 스마트폰이라는 거대한 패러다임은 미국의 실리콘벨리에 스티브 잡스가 이끄는 애플에서 불어왔고 그리고 가장 최근인 전기차는 미국의 테슬라에서  그리고 AI라고 불리우는 머신러닝은  구글의 알파고 팀에서 거대한 패러다임이 불어 왔다. 왜 그럴까? 그들이 패러다임을 이끄는 것은 단순히 우연일까? 하지만, 나는 기본적으로 이유 없는 행동은 없다고 생각하며, 이에 따라 이런 행동에 따라 나오는 결과 또한  대개 우연이 아니라는

[ Essay - Entropy ] 자아(지식)의 대폭발에 대해

이미지
자아의 대폭팔에 대해 알고 있는가? 당연히 모를 것이다. 내가 지어낸 말이기 때문이다. 모르는 것이 당연하다. 나는 이런 자아(지식)의 대폭팔를 여러번 겪어왔었고, 그리고 왜 이런 것이 나에게 일어났는지에 대해 최근에 직감을 얻어냈다. 오늘은 이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자. 자아 혹은 지식의 대폭발에 대해 이는 리프킨의 엔트로피 세계관을 통해 설명하기로 하겠다. 리프킨의 엔트로피 세계관에 대해서는  이전 에세이에서 설명한바가 있기 때문에 따로 언급하지는 않겠다. 여기서 말하는 자아 혹은 지식의 대폭팔이란 마치 우주의 대폭발 빅뱅이 일어나서  그 에너지로 인해 수 많은 행성들이 생성된것 처럼  사람의 머리속에서 알고자하는 욕구가  자아가, 또는 지식이 깨지면서  내면의 자아가 깨지고, 머리속에 있던 수 많은 지식들이 터지면서 깨진 것들이 고쳐지고 개선되어지면서 끊어지고, 연결되고 확장되어 재형성 되는 것을 말한다. 리프킨의 엔트로피 세계관으로 이야기 하자면 알고자하는 욕구가 그리고  자아에 엔트로피가 쌓이면서 팽창되어  최대치에 다다를 때 터지는 것이다. 나는 이런 지식 또는 자아의 대폭팔을  인생에서 2번 겪은적이 있다. 한번은 내가 한국 생활을 하면서, 그리고 마지막 한번은 외국 생활에서 2~3년차 일때 였다. 이런 지식의 대폭팔의 일어남으로서 나타나는 가장 큰 장점은 자신이 가지고 있던  모든 것들이 재형성되는 것에 있다. 여기에서 재형성되는 것들은 자아일 수도 있고, 지식일 수 도 있으며, 어떤 관념이나 신념 등이 될 수 있다. 그 중에 부수적인 것이 지식인데, 재형성 되는 과정 속에서 가지고 있던 지식들이  다시 얽키고 설켜, 새로운 형태의 직감으로 형성 된다. 또한 내가 아마 인식하지 못한  수 많은 장점들이 존재한다고 생각 한다. 하지만 이런 대폭팔의 원인인 엔트로피는  사람에게 좋은 영향을 나타내는 것들이 아니다. 이 중에 가장 약한 것은 스트레스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가장 약한 엔트로피인 스트레스는 해소되는 것이 아니다. 사람이 스트레스를 받

[ 프로젝트 BEP ] 제 4장 : 프로그래밍 언어 ④ - 결론

이미지
지금까지 해서 프로그래밍 언어의 대략적인 역사와 대략적인 언어의 패러다임에 대해 살펴봤다. 물론 내가 언급한 언어 외에도  수 많은 언어가 존재하며 패러다임도 존재 한다. 그 중에서 핵심적인 패러다임만을 뽑아서 이야기 해봤다. 내가 의도한 대로 직감을 가졌기를 바란다. 한 가지 인지하고 있어야 할 점은 프로그래밍 언어는 문제 해결을 하기 위한  한 가지의 도구일 뿐이다는 것이다. 이를 포함하는 패러다임 역시 하나의 해결 도구이다. 실제 훌륭한 시스템들은  한 가지 언어만을 사용해서 만드는 것이 아닌 여러가지 언어를 사용해서 복합적인 아키텍처를 사용해  구축하고 있다는 점을 인지하기를 바란다. 따라서 개발자가 목표로 해야 하는 것은 이런 언어들도 결국에는 하나의 패러다임에 속해져 있으며, 절대적으로 좋은 언어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그리고 모든 언어를 배울 수 없기 때문에  어떤 언어를 다루지 못한다 하더라도  나름의 직감을 가지고 있어야만 하며, 언제든지 준비되어있어야 하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역사와 패러다임을 살펴보면 알 수 있듯이 프로그래밍 언어는 계속해서 개선되는 형식으로 나오기 때문에 몇 개의 언어만 다룰 줄 안다면 프로그래밍 언어를 하나의 도구로서 생각할 수 있을 것 이며, 그렇게 기대하고 있다. 2020.10.09 제 4장 프로그래밍 언어 초안 작성 완료 및 개행 완료

[ 프로젝트 BEP ] 제 4장 : 프로그래밍 언어 ③ - 프로그래밍 언어의 패러다임

이미지
앞서 우리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역사에 대해 이야기를 해봤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제 프로그래밍 언어의 패러다임에 대해  이야기 할 수 있으며, 본론에 들어갈 수 있을 것이다. 프로그래밍 언어 패러다임의 분류 물론 프로그래밍 언어의 패러다임에는  여러가지가 지목될 수 있다. 하지만 내가 다루고자 하는 패러다임은 4종류이다. 절차적 프로그래밍 패러다임(The Procedural (Imperative) Programming Paradigm) , 구조적 프로그래밍 패러다임(The Structured Programming Paradigm) , 객체 지향적 프로그래밍 패러다임(The object-Oriented Programming Paradigm) , 그리고 마지막으로 다중 패러다임(Multi-Paradigms) 을 이야기할 것이며   특히 다중 패러다임(Multi-Paradigms)의 경우 구조적, 객체지향적 패러다임 이 섞인 패러다임을 이야기할 것이다. 이야기 함과 더불어 각 패러다임에 속하는 언어들을 살펴보며 특성들을 추출해보자. 절차적 프로그래밍 패러다임(The Procedural (Imperative) Programming Paradigm) 절차적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은  프로그램이 최종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완료 해야 하는 작업 목록을 지정한다. 또한 코드를 서브 루틴으로 나누는  명령형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의 일종인데, 일부 코드를 서브루틴(프로시저, 함수 등으로 불리는)으로 분류하여  어느 정도 재사용성을 확보 할 수 있으며,  구조를 좀 더 쉽게 이해하고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위의 코드는 Fortran의 코드를 보여주는데, if, while, for와 같은 예약어를 사용해  컴퓨터가 이해하기 쉽게  위에서 부터 아래로 내려가는 흐름(절차적)을 코드로 표현 한다.   그러나,  이에 해당하는 언어들은 인간의 사고 방식보다는  기계의 사고 방식에 가깝기 때문에  복잡한 경우에는 해결하기가 까다롭다. 또한 프로그램의 유지 관리가 어렵고,  프로그램의 덩치가

[ 프로젝트 BEP ] 제 4장 : 프로그래밍 언어 ② - 프로그래밍 언어의 역사

이미지
이전 글에서 왜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해  어려울 수밖에 없는지에 대해 충분히 논의하였다. 프로그래밍 언어가 어려운 이유는  다루는 사람이 머리가 좋거나 천재이기 때문이 아니라 프로그래밍 언어에 다소 익숙하기 때문이다. 이는 실제 다양한 나라의 외국어도 마찬가지이다. 그렇다면 이제 프로그래밍 언어의 역사에 대해  자세히는 아니더라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프로그래밍 언어 패러다임의 흐름을  알아야 필요가 있으며, 현재 사용하고 있는 언어가  과거에 패러다임에 다소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재의 언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과거의 언어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까지는  알 필요는 없다고 생각하지만, 어떤 패러다임을 가졌는지에 대해서는 알 필요가 있다고 생각 한다. 또한 여기서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해  논하지 않으며, 핵심적인 언어들만 이야기 하려고 한다. 그럼 이제 본격적으로  프로그래밍 언어의 역사를 살짝 살펴보자. 프로그래밍 언어의 역사(청사진) 아래의 사진은 대략적인 프로그래밍 언어의 청사진을 나타낸다. 물론 위의 사진에 표기된 언어 외에도  아마 수 많은 언어가 있었을 것이고,  최근에 들어서 나온 언어들도 있을 것 이다. 하지만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모든 언어에 대해 이야기할 생각은 없다. 인류 역사를 살펴볼때, 핵심적인 부분만 살펴보듯이  프로그래밍 언어의 역사도 마찬가지이다. 물론 모든 역사를 보는 것은 매우 흥미롭지만 나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야기하기 위해  역사를 이야기하는 것 뿐이다. 그렇다면 여기서 이야기할 언어들은  위의 사진에서 몇 가지 뽑아 이야기를 해보기로 하겠다. 사실상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의 뿌리라고 할 수 있는 Fortan 과 Algol60 , 객체 지향 언어의 완전한 기초 설계를 제공한 SmallTalk 계열, 살아있는 전설 C와 이로 파생된 C++, C#등의 C계열 , 세계에서 가장 인기가 많은 Java , 그리고 JavaScript 객체 지향과 절차 지향의 패러다임이 녹아 들어가 있는  Python 과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