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ssay - Technology, Essay - Intuition ] Chat GTP시대의 도래와 생각하는 방식에 대해

이미지
올해도 드디어 끝이 보이는 듯 싶다. 최근에 회사의 망년회를 끝내고 이래저래 회식이 늘어나는 듯 하다. 지금 시점에서는 개인적인 스케쥴도 마무리 되었기 때문에 이제는 여유롭게 연말을 즐기며 올해를 마무리 하려고 한다. 비교적 최근에 이사한 곳 근처의 스타벅스가 대학 병원 안에 있고 근처에 공원이 있어서 그런지 개를 대리고 산책하는 노인이나  아이를 동반한 가족이 눈에 띄게 보인다. 꽤나 좋은 곳으로 이사한듯 하다. 개인적으로는 올해 드디어 미루고 미루었던 이직을 하였고  그 이후에 비약적인 성장을 이루었으니  분명 안좋은 일도 있었지만 만족할 수 있는 해를 보내지 않았나 싶다. 내가 도달하려고 하는 곳으로 가려면 아직 갈길이 멀지만  궤도에 오른 것만으로도 큰 성과라면 큰 성과 일 것 이다. 어쨋든 이직하고 많은 일들을 맡게 되었는데 그 과정에서 나는 의도적으로 Chat GTP를 활용하고자 하였고 몇 가지 직감을 얻게 되었는데  이 중 한 가지를 글로 작성하려고 한다. 따라서 올해의 마무리 글은 Chat GTP에 대한 이야기로 마무리 하려고 한다. 서론 불과 약 10년전 IT업계는 원하던 원치 않던간에  한번의 큰 패러다임의 변화를 맞이해야만 했다 바로 아이폰의 등장에 따른 스마트폰의 시대의 도래와  이에 따른 IT업계의 패러다임 변화가 그것이다. 내 기억으로는 아주 격변의 시대였던 걸로 기억하는데 왜냐하면 게임은 물론이고 웹과 백신을 비롯한 모든 솔루션의 변화가 이루어졌다. 이 뿐만 아니라 가볍고 한손의 들어오는 이 디바이스는  그 당시에는 조금 비싸다는 인식이 있었지만  감추려고 해도 감출 수 없는 뛰어난 유용성으로 회의론을 금세 종식시켰고 이에 대한 결과로 어린아이 부터 노인 까지 작은 컴퓨터를 가지게 되었고 이는 당연하게도 IT업계의 전체적인 호황을 가져다주었다.  그리고 질서는 다시 한번 재정렬되었다. 이러한 패러다임의 변화의 증거로 언어 또한 변하게 되었는데...

[ Essay - Technology, Essay - Society ] ChatGPT의 등장은 사회의 큰 변화를 줄 수 있는가

이미지
어느덧 한 해가 끝나가는 듯 하다. 이 글을 쓰고 있는 시점에  모두가 크리스마스를 맞이 하기 위해 꽤나 분주해보인다. 개인적으로 올해는 꽤나 의미있는 해가 되었다.  일적인 측면에도 사적인 측면에도  그리고 개인적인 성장 측면에도 꽤나 비약적인 성장을 이루었다. 그 덕분에 여력이 생겨 블로그에 작성했던 글들도  작년에 비해 꽤나 다듬어졌고,  다양한 관점의 글도 작성했다. 물론 나는 아직 부족하지만 말이다. 이제 이번 주제에 대해 본격적으로 이야기를 나누어보자. 서론 Chat GPT의 등장은 사회의 큰 변화를 줄 수 있을까? 약 7년전 구글 알파고와 이세돌의  세기적인 바둑 서커스를 보고  어떤 사람은 영화에서 보던  인공지능이 인류를 위협하게 될 것이라며 미디어에서 상상의 날개를 펼치는 사람들이  꽤나 있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과거 나의 글을 보면 알듯이  나는 예전에 머신 러닝에 흥미가 있어  이에 대한 기초 지식을 탐구한 적이 있다. 물론 나는 그 때나 지금이나  나의 의견은 여전히 동일하다. 다만, 지금 까지의 약 인공지능의 놀랄정도의 성능과 비교적 최근 openAi 내부의 정치적인 싸움까지의  스토리를 생각해보자면  흔히 이야기하는 강 인공지능은 아니지만 약 인공지능으로서 기능은  인간을 이미 뛰어 넘었으며  특이점에 다가가고 있거나 혹은  이미 특이점이 왔다고 보는 편이 좋을 것 이다. 수 많은 솔루션들이 이미  산업 전반적으로 들어오기 시작했으며  초읽기 상태에 접어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ChatGPT는 7년전 부터 주목받고 있는  약 인공지능의 결정체이다. 왜냐하면,  단순한 바둑을 두는 기계에서  ChatGPT는 하나의 솔루션으로서  서비스되어 대중화 되었으며 일부 업계에서는 이미 효과가 입증되었고, 그렇지 않은 업계는 비용 절감을 위해...

[ Essay - Redefinition, Essay - Intuition ] 휴식에 대해

이미지
서론 삶을 살아가면서  공통적으로 깨달아가는게 몇 가지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아마 휴식의 인식에 변화가 있을 것 이다. 왜냐하면 어린 시절의 나의 휴식에 대한 생각은  단지 내가 좋아하는 것을 하는 시간에 불과했고 이는 굉장히 기분에 따라 즉흥적이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금은 다르다. 단순히 내가 좋아하는 것을 한다고 하더라도 잘 휴식을 취했다고 볼 수 없다. 누구든 이러한 경험이 있지 않은가? 물론 이에 대한 명확한 근거를 제시할 수는 없지만 분명 주말에 내가 좋아하는 것들을 했음에도  하루 종일 잠을 자거나 아무것도 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즉, 휴식을 취했음에도 불구하고  왜 월요일에는 그토록 피곤했던 경험 말이다. 아마 어떠한 사람에게는 매주 월요일이  그러할 지도 모르겠다. 왜 그럴까?  이번에는 이 휴식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보자. 휴식에 정의 물론 서론에서 이야기한  '스스로 좋아하는 것'을 하는 것 또한  휴식에 한 가지 요소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이 것 하나 만으로는  잘 휴식을 취했다고 보기는 매우 힘들기 때문이다.  그렇지 않은가? 왜냐하면 아무리 그런식으로 휴식을 취했다고 한들 다음날 피곤해서 제대로 된 일을 할 수 없는  경우는 누구나 경험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야기에 들어가기 앞서 휴식에 대한 재정의가 필요하다. 그렇다면 이쯤에서 옥스포드 사전에 정의를 살펴보자. 일반적으로 영어로 휴식은 Rest [1]  이며  이에 대한 정의는 아래와 같다. a period of relaxing, sleeping or doing nothing after a period of activity 일정 기간 활동 후 잠을 자거나 아무것도 하지 않는 해소하는(relaxing) 기간 나는 이 정의 중 집중하고 싶은 단어가 있는데  바로 Relaxing이다. 나는 이 단어가 휴식이라는  한 단어...

[ 프로젝트 BEP ] 제 2장 : 개발 방법론 - 애자일(Agile) : 서론, 개요, 애자일의 세부 프로세스, 애자일의 허와 실

이미지
서론 나는 지금으로 부터 약 3년전  프로젝트 BEP라는 태그로 내부 교육을 위한  초안으로 글을 작성한 적이 있다. 그리고 개발 방법론에 대해 이야기 할때 워터폴과 애자일에 대한 이야기 해야만 했는데 비교적 애자일에 대한 경험이 부족했기 때문에  논의를 이어나가기 힘들었고 애자일에 대한 부분은 넘어간 적이 있다. 물론 그럴싸하게 작성할 수는 있으나 이 프로젝트는 내 경험을 녹여내는 것이 목표였기 때문에 중단한다는 선택을 내릴 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났고 나 또한 애자일에 대한 경험을 쌓았기 때문에  이 제 2장 개발 방법론 애자일에 대한  논의를 이어감과 동시에 초안에 대한 마침표를 찍으려 한다.  개요: 프로세스 그럼 이제 애자일에 대략적인 프로세스를 살펴보자. 애자일의 프로세스를 살펴보자면  정의(define)를 내리고 만들고(build, programming, develop) 배포(Release)를 반복하는 것을 말한다. 앞서 살펴봤던 워터폴 모델을 살펴보자. 그냥 보기만 해도 애자일 방법론이 워터폴 방법론보다 프로세스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개요: 애자일 방법론의 목표   애자일 방법론의 목표를 살펴보자면  크게 4가지로 볼 수 있다. terative, incremental, and evolutionary(반복, 점진, 진화) Efficient and face-to-face communication(효율적이고 face to face 커뮤니케이션) Very short feedback loop and adaptation cycle(짧은 주기의 피드백 및 짧은 사이클) Quality focus(품질의 집중) 어렵게 말은 써있지만  많은 반복을 통해  점진적으로 프로젝트를 완성시킴으로써 반복 만큼의 커뮤니케이션과 피드백을 통해  의견을 일치시켜 좋은 품질의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것이다. 워터폴의 가장 큰 문제점은  초입...

[ Essay - Intuition ] 자유 의지란 존재하는가?

이미지
서론 자유 의지란 존재하는가? 매우 흥미로운 논의가 아닐 수 없다. 자유 의지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렇다면 자유 의지에 정의란 무엇인가? 이 대답에 평소대로  이전과 같이 옥스포드 사전의 사전적 의미부터 시작해  깎아내려가는 방식으로 할 수도 있으나  이번 만큼은  나의 정의를 이야기해보려 한다. 왜냐하면 이 단어 만큼 사람에 따라 정의가 다른 단어를 찾아보기 힘들 것이기 때문이다. 지금 시점에서 나는 자유 의지에 정의에  크게 두 가지로 인식하고 있다. 첫 번째,  자유 의지에서 자유에 대한 강도가 높아 매우 순수해서 사회적인 패러다임에서  벗어 날 수 있는 자유 의지 두 번째, 반대로 자유에 대한 강도를 낮춰서  사회적인 패러다임에 벗어 날 수는 없지만 그 내부에서에서 한정된 자유 의지 나는 전자라면 자유 의지란 존재할 수 없고  후자라면 자유 의지가 존재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첫 번째 정의: 자유의 강도가 사회의 패러다임보다 높은 경우 아마 이 첫 번째 정의가 아마  가장 보편적으로 생각하는 자유 의지가 아닐까 싶다. 정말 순수하고 완벽한 자유 의지이다. 정말 모두가 가지고 싶어 하는지에 대해서는  생각해볼 필요가 있지만 이러한 자유 의지야 말로  세상 모든 사람이 가지고 싶어하는  보물과도 같은 물건이다. 모든 시스템에서, 모든 패러다임에서 자유로워  이에 종속되지 않는 자유이다. 아마 자유라는 단어의 정의 중 가장 순수한 자유일 것 이다. 하지만 이는 현실성이 전혀 없다. 어떤 이유에서 인지는 알 수 없지만 인간은 사회적인 동물이고 그것이 생존에 관련되었건 물질적인 이유가 되었건 유대감 등의 정서적인 이유가 되었건  서로를 필요로 한다. 아이는 부모의 보살핌이 필요하기 때문에 아이의 자유 의지는  존재할 수 없을 정도로 희미할 수 밖에 없고 원시적인 입장에서...

[ 생각 ] 우리라는 단어에 대해

이미지
우리라는 단어에 대해 위화감을 느낀 적이 있는가? 아마 크게 느끼지 못할 것 이다. 특히 한국이라는 나라 특성 상 더더욱 그럴 것이다. 왜냐하면,  스스로의 국가를 부를 때 매우 당연하게도 '우리'나라라고 부르기 때문이고 실제 생활에서도 우리라는 단어는  우리 반, 우리 집, 우리 회사, 우리 사회 등  꽤나 쉽게 사용 되기 때문이다. 즉, 적어도 한국에서는  우리라는 단어의 경계가 매우 모호하다. 다만 문제는  사회 문제가 이러한 단어의 경계가  모호함에 따라 나타난다는 점이다. 왜냐하면 단어의 경계가 모호하니  사회에서 정말 가치가 큰 것들은  제대로 된 평가를 받기 힘들기 때문이다. 배려, 혁신, 용서, 나눔, 정의 등이 이러한 처지에 놓여있다. 이미 몇 가지는 찬란했던 빛을 잃어버린 것으로 보인다. 위에 언급 했던 배려를 살펴보자. 일반적으로 배려란 쉽게 할 수 없는 행위이다. 애초에 마음에서 우러러나오는 진정한 배려란 쉽게 나올 수 없는 행동이다. (배려가 일상 생활에서 쉽게 나온다고  그리고 그래야만 한다고 믿고 있다고 하더라도 말이다) 갑자기 현대에 들어와서 인류가  배려심이 넘쳐흐르게 되었다고 하기에는  근거를 찾기가 매우 힘들기에 설득력이 떨어진다. 그렇기 때문에 누군가 배려를 하게 된다면 '우리'는 그 사람을 향해 박수를 치거나 마음속으로 경외심이 나타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다리가 아픈 노인이나 임산부는 물론이고 몸이 편치 않아 보이는 남성 까지  누가 봐도 불편한 기색이 보이는 사람에게 지하철이나 버스 안에서  선뜻 자신이 앉고 있는 자리를 양보하는 것은  이런 배려에 속 한다. 물론 비교적 과거에는 말이다. 또한 전제 조건은  주변의 눈치를 살펴서 행동하거나 그러한 문화가 있지 않는 조건 하에서 이다. 만약에 다수의 사람이 눈치를 주거나  사회 문화에 의해 혹은  긴 시간 동안 주입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