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ssay - Technology, Essay - Intuition ] Chat GTP시대의 도래와 생각하는 방식에 대해 : 개발자의 미래에 대해

이미지
벌써 올해도 반쯤 지나 뜨거운 여름이 다가왔다. 굉장히 빠르게 지나간듯한 느낌이 드는데  아마 의미있는 시간을 보냈다는 이야기이기 때문에  그렇게 나쁜 신호는 아닐 것 이다. 괴로운 시간이였다면, 1초가 1년 같이 느껴졌을테니 말이다. 더위에 매우 약한 나에게 있어서는 지옥과 같은 시기이기도 하지만 늘 그렇던 것 처럼 에어컨 덕분에 어찌저찌 버틸 수 있을 것 같다. 어쨋든, 이번에는 저번의 에세이 주제, Chat GTP시대의 도래와 생각하는 방식에 대한 이야기에 이어서  과연 개발자의 미래는 어떻게 될 것인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어보려고 한다. 어쩌면 모두가 인식하고 있듯이 지금 2025년 현재,  꽤나 중요한 시기에 직면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생성AI의 발전 속도가 생각보다 빠르게 발전하고 있고,  그에 따라 실제 업무에서도 빠르게 사용되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개발자에게 있어서 가장 두려운 점은  당연히 생성AI에 의해 개발자가 대체될 것 이라는 두려움일 것 이다. 이는 개발자에게만 한정된 이야기는 아니지만 말이다. 아마 필드에서 나와 같이 일하고 있거나  개발자로서 직업을 가지려는 생각이 있는 사람이라면  한번쯤은 생각해볼법한 주제라 생각 한다. 물론 미래가 정확히 어떻게 될 지는 알 수 없으나  이런 생각을 함으로써 몇 가지 힌트는 얻게 될지도 모르니  만약 얻게 된다면 미래에 대한 방향성을 조금이나마 올바른 쪽으로 돌릴 수 있을 것 이다. 이 글을 끝맽을 때는 조금이라도 힌트에 도달하기를 바란다. 과거의 역사 이러한 의문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일반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바로 역사를 보는 것 이다. 물론 이러한 역사를 해결책을 찾는거에 대한 전제조건은  우리가 '구 인류'라는 전제조건이 있었을 때 의미가 있다. 그러니깐 현대인도 기원전 8세기의 고대 로마인도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는 것을 인정해야만 한다. 예컨데...

[ Toy Project - Machine Learning ] 오늘은 친구와 게임을 할 수 있을까?

이미지
python의 블로그 토이 프로젝트 이후  이번에 해보려는 것은 작은 머신 러닝 프로젝트이다. 프로젝트에 들어가면서 나는 예전부터 친구들과 게임을 즐겨하는데, 그 중 마음도 맞기도 하고  유머 코드도 잘 맞는 친구가 한 명 있다. 다만, 그 친구에게는 한 가지 단점이 있는데, 게임을 같이 하자는 약속해도 그 시점이 되면 그 친구가 돌연 사라져 버린다. 대부분 이유는 다른 게임에 열중해 하고 있거나 그 때 졸려서 잠을 자버릴 때가 많았다. 지금은 아니지만,  그 당시에는 그런 것이 지속되었고 마침 그 때 머신러닝에 대해 한창 공부하고 있던 터라 이에 대해 데이터를 축적하고, 이 후에 시간이 된다면  이에 관련한 개인 프로젝트를 하려고 생각 했다. 그리고 이제 그 차례가 되었고, 지금 까지 배운 기반으로 해 작은 머신 러닝을 설계부터 시작해 개발해보고 이에 대한 보고서를 개인 블로그에 기재하기로 했다. 제목은 오늘은 친구와 게임을 할 수 있는가에 대한  머신 러닝이다. 내가 축적한 데이터를 머신 러닝에 넣으면  할 수 있는가 없는가에 대한 답을 알려줄 것이다. 데이터는 약 반년 조금 넘는 데이터를 축적했으며, 물론 데이터의 양이 엄청나게 많지는 않고, 간단한 머신 러닝이지만  지금 까지 복습과 머신 러닝에 대한  좀 더 심도 있는 이해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 한다. Python에 데이터 처리 관련  좋은 라이브러리가 많다고 들었기 때문에  개발은 Python으로 하기로 하겠다. 아키텍쳐 설계 머신 러닝을 만들기 이전에  우선 신경 망 설계를 해줄 필요가 있다. 먼저 목적에 맞게 Input Layer와 Output Layer의 요소의 수를 설정하고, Hidden Layer의 갯수와 요소의 갯수를 설정하도록 하겠다.  당연히 Output Layer의 요소는  할 수 없다(0),할 수 있다(1)로 단 하나 이며, 데이터의 요소는 2개로 설정해 데이터를 축...

[ 전지적 개발자 시점, Essay - Technology ] UX 란 무엇인가? : 점점 IT업계에 대두되는 UX

이미지
IT업계에서 일하다보면 최근에 UX라는 단어가 꽤나 자주 보이고 들린다. 심지어 UX라는 단어를 내세워서 IT 업계에서  구인을 하는 경우가 최근 들어 심심치 않게 보인다. 하지만, 새로운 개념이 먼저 생겨나고 정의가 이루어지는 IT업계가 늘 그렇듯이 UX라는 것에 대한 정확한 정의는 없다. 최소한 나는 IT업계에서의 사람들이 모여서  이런 것에 대해 명확히 할 필요성은 있다고 느끼지만, IT업계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대부분 그렇듯이  비교적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능숙하지 않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신경 쓰지 않는 부분이기도 하다. 일단 이번 주제에서 벗어 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이야기는 접어두기로 하고, 이번에는 UX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보자. UX에 대해 어쨋든 나는 UX라는 것은 기술 보다는  비지니스 쪽에 가깝다고 생각 한다. 좀 더 정확히 이야기하면 비니지스에 IT기술을 얹은 형태라고 보는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메인이 비지니스고 IT기술은 메인에 가깝지면 결코 메인이 되기에는 부족한 그런 형태이다. 왜냐하면,  UX라는 것은 개발자나 엔지니어 친화적이기 보단 사용자 친화적이기 때문이다. 사용자는 시스템 내부에  어떤 알고리즘이, 어떤 새로운 기술이 사용되고  얼마나 좋은 퍼포먼스를 지니고 있는지는 관심 없다. 사용자가 관심있는 것은  내가 '불편을 느끼지 않고' 편안한지, 얼마나 '흥미를 끄는지', 그리고 자신의 삶에 얼마나 유용한지에 관심이 있다. 따라서 UX는  사용자가 불편을 느끼지 않게 그리고 사용자로 하여금 흥미를 끌고, 마지막으로 유용성 까지 제공할 수 있다면 그것이 최신 기술이건 구식 기술이건 상관 없다는 이야기이다.  그렇기 때문에 비지니스적 감각이 없다면 생산성 있는 UX 솔루션을 고안하기란 쉽지 않을 것이다.  이 UX를 훌륭하게 실현하는 기업은  누구나 한번 쯤 들어봤을 법한 기업이 있다. 바로 애플이다. 애플은 아이팟...

[ Essay - Technolgy, IT, Architecture, Algorithm ] C계열과 JAVA에서의 힙 영역(Heap Area)과 스택 영역(Stack Area)에 대해서

이미지
생각할 수록 C계열과 JAVA라는 언어는  비교해 살펴보기에 매우 적절한 언어라고 생각 한다. 재미있게도 말이다. 이에 대해서는 아마 최근의 핵심적인 패러다임을  담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최근 객체지향 패러다임을 담고 있는 언어들은  JAVA의 영향을 받지 않은 언어를 찾기는 쉽지않으며  구조적 패러다임을 담고 있는 언어들 또한 C계열의 영향을 받지 않은 언어를 찾기란 쉽지 않다. 후에 이 두 가지 언어에 대해  어떻게 평가를 내릴지는 알 수 없으나 현재로서는 이 두 가지 언어가 프로그래밍 역사에서 한 획을 그을 수 있는  언어들이라고 개인적으로는 생각 하고 있다. 이번에는 C계열과 JAVA의 빌드 과정에 대한 이야기에 이어서 C계열과 JAVA의 힙 영역(Heap Area)과 스택 영역(Stack Area)에 대해 이야기해보자. 힙 영역(Heap Area)과 스택 영역(Stack Area)에 대해서 힙 영역과 스택 영역에 대한 이해는  개발자로서 알아둬야할 것 중에 하나이지 않나 싶다. 물론 필수라고 할 수 는 없지만, 진정한 엔지니어나 아키텍터라면 이해해야만 하는 덕목이라고 생각 한다. 왜냐하면, 언어 내부에서 힙 영역과 스택 영역을  어떻게 다루느냐에 따라 퍼포먼스가 갈릴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스템의 퍼포먼스 까지 생각해야하는  진정한 엔지니어나 아키텍터가 이에 대한 이해가 없다면 훌륭한 엔지니어나 아키텍터가 될 수 없을 것이다. 어쨋든 먼저 C계열과 JAVA를 비교하기전에 힙 영역과 스택 영역이 무엇인지에 대해 간단히게 이야기 해본 후에 실제 C계열 중 C#과 JAVA에서 메모리 관리를 하기 위해  어떻게 이 스택과 힙이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