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Web인 게시물 표시

[ Essay - Technology, Essay - Intuition ] Chat GTP시대의 도래와 생각하는 방식에 대해 : 개발자의 미래에 대해

이미지
벌써 올해도 반쯤 지나 뜨거운 여름이 다가왔다. 굉장히 빠르게 지나간듯한 느낌이 드는데  아마 의미있는 시간을 보냈다는 이야기이기 때문에  그렇게 나쁜 신호는 아닐 것 이다. 괴로운 시간이였다면, 1초가 1년 같이 느껴졌을테니 말이다. 더위에 매우 약한 나에게 있어서는 지옥과 같은 시기이기도 하지만 늘 그렇던 것 처럼 에어컨 덕분에 어찌저찌 버틸 수 있을 것 같다. 어쨋든, 이번에는 저번의 에세이 주제, Chat GTP시대의 도래와 생각하는 방식에 대한 이야기에 이어서  과연 개발자의 미래는 어떻게 될 것인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어보려고 한다. 어쩌면 모두가 인식하고 있듯이 지금 2025년 현재,  꽤나 중요한 시기에 직면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생성AI의 발전 속도가 생각보다 빠르게 발전하고 있고,  그에 따라 실제 업무에서도 빠르게 사용되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개발자에게 있어서 가장 두려운 점은  당연히 생성AI에 의해 개발자가 대체될 것 이라는 두려움일 것 이다. 이는 개발자에게만 한정된 이야기는 아니지만 말이다. 아마 필드에서 나와 같이 일하고 있거나  개발자로서 직업을 가지려는 생각이 있는 사람이라면  한번쯤은 생각해볼법한 주제라 생각 한다. 물론 미래가 정확히 어떻게 될 지는 알 수 없으나  이런 생각을 함으로써 몇 가지 힌트는 얻게 될지도 모르니  만약 얻게 된다면 미래에 대한 방향성을 조금이나마 올바른 쪽으로 돌릴 수 있을 것 이다. 이 글을 끝맽을 때는 조금이라도 힌트에 도달하기를 바란다. 과거의 역사 이러한 의문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일반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바로 역사를 보는 것 이다. 물론 이러한 역사를 해결책을 찾는거에 대한 전제조건은  우리가 '구 인류'라는 전제조건이 있었을 때 의미가 있다. 그러니깐 현대인도 기원전 8세기의 고대 로마인도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는 것을 인정해야만 한다. 예컨데...

[ Web ] 세션(Session)과 쿠키(Cookie)에 대해

세션(Session)과 쿠키(Cookie)에 대해 알다시피 웹페이지는  기본적으로 정적일 수 밖에 없다. 웹 기술에서 동적인 것들은  마치 동적인것 처럼 보일 뿐 이다.      왜냐하면 기본적으로 서버로 부터 HTML라는  태그로 구성된 것들을 받고 이를 표시해주는 것이 브라우저이기 때문이다. 동적 웹 기술은 이러한 정적 페이지에 애플리케이션을 올리는 것 뿐이다. 좀 더 정확히 말하면  최근 주로 사용되는 동적 웹 기술의 대부분은 앱 서버(Application Server)에서 이를 처리해 준다. 이런 기술 중 가장 노골적으로  정적인 페이지에 애플리케이션을 올리는 Adobe Flash는 이제 2020년을 끝으로 역사속으로 사라질 예정이다. 이러한 주제에 대해 관심이 있다면 이에 대한 나의 에세이를 참고하길 바란다. https://nitro04.blogspot.com/2020/08/adobe-flash.html 이러한 페이지들의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세션(Session)과 쿠키(Cookie)이다. 세션은 둘째치더라도 쿠키는 다소 익숙할 수도 있다. 최근 웹사이트에 처음 접속하게 되면 웹사이트 이용시 쿠키 이용에 관련된 사항에 대해 동의를 하느냐고 자주 물어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세션은 안전하고  쿠키는 보안에 취약하다는 인식이 있지만, 꼭 그렇지 만도 않다. 그러한 악명과는 다르게 생각보다 수 많은 웹사이트에서  쿠키를 사용하고 있다. 쿠키와 세션의 차이는 크게 클라이언트에만 정보를 저장하느냐, 서버와 클라이언트에 정보를 저장하느냐로 나눌 수 있다. 세션 쿠키(Session Cookie)와 영구 쿠키(Persistent Cookie)에 대해 최근에 들어서는 세션 쿠키(Session Cookie)와 영구 쿠키(Persistent Cookie)라는 개념이 보이는데  세션 쿠키(Session Cookie)는  임시 쿠키 파일로 브라우저를 닫을 때...

[ Eassy - Technology, IT, Web ] 비지니스 로직(규칙, 층) 과 프레젠테이션 로직(규칙, 층) 이란 무엇인가?

이미지
Web 개발을 하다 보면 쉽게 볼 수 있는 개념들을 꼽으라면 비지니스 로직과  프레젠테이션 로직 이 둘이 아닐까 한다. 물론 Web 뿐만 아니라  다른 분야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개념들이다. 이러한 개념을 Web쪽에서 자주 사용하다보니 그렇게 느끼는 것 뿐이다. 어쨋든 이러한 비지니스 로직과 프레젠테이션 로직에 대해 그리고 정의에 대해 이야기하는 사람은 매우 드문 것 같다. 왜냐하면  사실 몰라도 되기 때문이다. 개발자로서  그리고 프로그래머 로서 몰라도  코딩을 하는데에는 지장이 없다. 하지만 단순히 코딩이아닌  더 위를 목표로 하고 있다면 즉, 엔지니어를 목표로 하고 있다면 당연히 이러한 개념에 대해 알고 있을 뿐만 아니라 비지니스 로직과 프레젠테이션 로직이 무엇이며,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 할 수 있어야 하며, 더 나아가 어떤 개념이 좀 더 정확한지에 대해  이야기 해봐야 한다. 그래야 서로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해져서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이전에도 말했다시피 IT 용어는 필요에 의해 만들어지고 나중에 개념화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아무리 검색을 해봐도 누군가가 명확하게  정의를 알려주는 사람은 사실상 없다고 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 하지만 개발자들은 코딩을 하느라 바쁘기 때문에, 그리고 모여서 이러한 정의를 내리고  하는데에는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즉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비교적 떨어지기 때문에 개념에 대해 확실하게 정의가 내려지기 힘들다. 모인다고 하더라도 소수 일부의 사람들이 모여서  이야기를 하기 때문에 그런 자리에서 내려진 결론에 큰 힘을 받기는 힘들다. 그렇게 애매모호한 상태로 개념을 냅두게 된 결과가 지금의 상태라고 생각한다. 그런 상황에서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글을 쓰는 것, 단 하나 뿐이 아니겠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