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2023의 게시물 표시

[ Essay - Technology, Essay - Intuition ] Chat GTP시대의 도래와 생각하는 방식에 대해

이미지
올해도 드디어 끝이 보이는 듯 싶다. 최근에 회사의 망년회를 끝내고 이래저래 회식이 늘어나는 듯 하다. 지금 시점에서는 개인적인 스케쥴도 마무리 되었기 때문에 이제는 여유롭게 연말을 즐기며 올해를 마무리 하려고 한다. 비교적 최근에 이사한 곳 근처의 스타벅스가 대학 병원 안에 있고 근처에 공원이 있어서 그런지 개를 대리고 산책하는 노인이나  아이를 동반한 가족이 눈에 띄게 보인다. 꽤나 좋은 곳으로 이사한듯 하다. 개인적으로는 올해 드디어 미루고 미루었던 이직을 하였고  그 이후에 비약적인 성장을 이루었으니  분명 안좋은 일도 있었지만 만족할 수 있는 해를 보내지 않았나 싶다. 내가 도달하려고 하는 곳으로 가려면 아직 갈길이 멀지만  궤도에 오른 것만으로도 큰 성과라면 큰 성과 일 것 이다. 어쨋든 이직하고 많은 일들을 맡게 되었는데 그 과정에서 나는 의도적으로 Chat GTP를 활용하고자 하였고 몇 가지 직감을 얻게 되었는데  이 중 한 가지를 글로 작성하려고 한다. 따라서 올해의 마무리 글은 Chat GTP에 대한 이야기로 마무리 하려고 한다. 서론 불과 약 10년전 IT업계는 원하던 원치 않던간에  한번의 큰 패러다임의 변화를 맞이해야만 했다 바로 아이폰의 등장에 따른 스마트폰의 시대의 도래와  이에 따른 IT업계의 패러다임 변화가 그것이다. 내 기억으로는 아주 격변의 시대였던 걸로 기억하는데 왜냐하면 게임은 물론이고 웹과 백신을 비롯한 모든 솔루션의 변화가 이루어졌다. 이 뿐만 아니라 가볍고 한손의 들어오는 이 디바이스는  그 당시에는 조금 비싸다는 인식이 있었지만  감추려고 해도 감출 수 없는 뛰어난 유용성으로 회의론을 금세 종식시켰고 이에 대한 결과로 어린아이 부터 노인 까지 작은 컴퓨터를 가지게 되었고 이는 당연하게도 IT업계의 전체적인 호황을 가져다주었다.  그리고 질서는 다시 한번 재정렬되었다. 이러한 패러다임의 변화의 증거로 언어 또한 변하게 되었는데...

[ Essay - Intuition ] 자유 의지란 존재하는가?

이미지
서론 자유 의지란 존재하는가? 매우 흥미로운 논의가 아닐 수 없다. 자유 의지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렇다면 자유 의지에 정의란 무엇인가? 이 대답에 평소대로  이전과 같이 옥스포드 사전의 사전적 의미부터 시작해  깎아내려가는 방식으로 할 수도 있으나  이번 만큼은  나의 정의를 이야기해보려 한다. 왜냐하면 이 단어 만큼 사람에 따라 정의가 다른 단어를 찾아보기 힘들 것이기 때문이다. 지금 시점에서 나는 자유 의지에 정의에  크게 두 가지로 인식하고 있다. 첫 번째,  자유 의지에서 자유에 대한 강도가 높아 매우 순수해서 사회적인 패러다임에서  벗어 날 수 있는 자유 의지 두 번째, 반대로 자유에 대한 강도를 낮춰서  사회적인 패러다임에 벗어 날 수는 없지만 그 내부에서에서 한정된 자유 의지 나는 전자라면 자유 의지란 존재할 수 없고  후자라면 자유 의지가 존재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첫 번째 정의: 자유의 강도가 사회의 패러다임보다 높은 경우 아마 이 첫 번째 정의가 아마  가장 보편적으로 생각하는 자유 의지가 아닐까 싶다. 정말 순수하고 완벽한 자유 의지이다. 정말 모두가 가지고 싶어 하는지에 대해서는  생각해볼 필요가 있지만 이러한 자유 의지야 말로  세상 모든 사람이 가지고 싶어하는  보물과도 같은 물건이다. 모든 시스템에서, 모든 패러다임에서 자유로워  이에 종속되지 않는 자유이다. 아마 자유라는 단어의 정의 중 가장 순수한 자유일 것 이다. 하지만 이는 현실성이 전혀 없다. 어떤 이유에서 인지는 알 수 없지만 인간은 사회적인 동물이고 그것이 생존에 관련되었건 물질적인 이유가 되었건 유대감 등의 정서적인 이유가 되었건  서로를 필요로 한다. 아이는 부모의 보살핌이 필요하기 때문에 아이의 자유 의지는  존재할 수 없을 정도로 희미할 수 밖에 없고 원시적인 입장에서...

[ 생각 ] 우리라는 단어에 대해

이미지
우리라는 단어에 대해 위화감을 느낀 적이 있는가? 아마 크게 느끼지 못할 것 이다. 특히 한국이라는 나라 특성 상 더더욱 그럴 것이다. 왜냐하면,  스스로의 국가를 부를 때 매우 당연하게도 '우리'나라라고 부르기 때문이고 실제 생활에서도 우리라는 단어는  우리 반, 우리 집, 우리 회사, 우리 사회 등  꽤나 쉽게 사용 되기 때문이다. 즉, 적어도 한국에서는  우리라는 단어의 경계가 매우 모호하다. 다만 문제는  사회 문제가 이러한 단어의 경계가  모호함에 따라 나타난다는 점이다. 왜냐하면 단어의 경계가 모호하니  사회에서 정말 가치가 큰 것들은  제대로 된 평가를 받기 힘들기 때문이다. 배려, 혁신, 용서, 나눔, 정의 등이 이러한 처지에 놓여있다. 이미 몇 가지는 찬란했던 빛을 잃어버린 것으로 보인다. 위에 언급 했던 배려를 살펴보자. 일반적으로 배려란 쉽게 할 수 없는 행위이다. 애초에 마음에서 우러러나오는 진정한 배려란 쉽게 나올 수 없는 행동이다. (배려가 일상 생활에서 쉽게 나온다고  그리고 그래야만 한다고 믿고 있다고 하더라도 말이다) 갑자기 현대에 들어와서 인류가  배려심이 넘쳐흐르게 되었다고 하기에는  근거를 찾기가 매우 힘들기에 설득력이 떨어진다. 그렇기 때문에 누군가 배려를 하게 된다면 '우리'는 그 사람을 향해 박수를 치거나 마음속으로 경외심이 나타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다리가 아픈 노인이나 임산부는 물론이고 몸이 편치 않아 보이는 남성 까지  누가 봐도 불편한 기색이 보이는 사람에게 지하철이나 버스 안에서  선뜻 자신이 앉고 있는 자리를 양보하는 것은  이런 배려에 속 한다. 물론 비교적 과거에는 말이다. 또한 전제 조건은  주변의 눈치를 살펴서 행동하거나 그러한 문화가 있지 않는 조건 하에서 이다. 만약에 다수의 사람이 눈치를 주거나  사회 문화에 의해 혹은  긴 시간 동안 주입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