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ssay - Technology, Essay - Intuition ] Chat GTP시대의 도래와 생각하는 방식에 대해

이미지
올해도 드디어 끝이 보이는 듯 싶다. 최근에 회사의 망년회를 끝내고 이래저래 회식이 늘어나는 듯 하다. 지금 시점에서는 개인적인 스케쥴도 마무리 되었기 때문에 이제는 여유롭게 연말을 즐기며 올해를 마무리 하려고 한다. 비교적 최근에 이사한 곳 근처의 스타벅스가 대학 병원 안에 있고 근처에 공원이 있어서 그런지 개를 대리고 산책하는 노인이나  아이를 동반한 가족이 눈에 띄게 보인다. 꽤나 좋은 곳으로 이사한듯 하다. 개인적으로는 올해 드디어 미루고 미루었던 이직을 하였고  그 이후에 비약적인 성장을 이루었으니  분명 안좋은 일도 있었지만 만족할 수 있는 해를 보내지 않았나 싶다. 내가 도달하려고 하는 곳으로 가려면 아직 갈길이 멀지만  궤도에 오른 것만으로도 큰 성과라면 큰 성과 일 것 이다. 어쨋든 이직하고 많은 일들을 맡게 되었는데 그 과정에서 나는 의도적으로 Chat GTP를 활용하고자 하였고 몇 가지 직감을 얻게 되었는데  이 중 한 가지를 글로 작성하려고 한다. 따라서 올해의 마무리 글은 Chat GTP에 대한 이야기로 마무리 하려고 한다. 서론 불과 약 10년전 IT업계는 원하던 원치 않던간에  한번의 큰 패러다임의 변화를 맞이해야만 했다 바로 아이폰의 등장에 따른 스마트폰의 시대의 도래와  이에 따른 IT업계의 패러다임 변화가 그것이다. 내 기억으로는 아주 격변의 시대였던 걸로 기억하는데 왜냐하면 게임은 물론이고 웹과 백신을 비롯한 모든 솔루션의 변화가 이루어졌다. 이 뿐만 아니라 가볍고 한손의 들어오는 이 디바이스는  그 당시에는 조금 비싸다는 인식이 있었지만  감추려고 해도 감출 수 없는 뛰어난 유용성으로 회의론을 금세 종식시켰고 이에 대한 결과로 어린아이 부터 노인 까지 작은 컴퓨터를 가지게 되었고 이는 당연하게도 IT업계의 전체적인 호황을 가져다주었다.  그리고 질서는 다시 한번 재정렬되었다. 이러한 패러다임의 변화의 증거로 언어 또한 변하게 되었는데...

[ Essay - Redefinition ] 예술이란 무엇인가

이미지
예술이란 무엇일까? 가끔 그 동안 찍은 사진들을 볼 때  나는 특정 사진을 보고는 항상 예술에 대해 떠올리고는 한다. 그리고 그 특정 사진은 아래의 사진이다. 이 사진은 꽤 오래 전 육교에서 찍은 사진이다. 다른 사람이 보기에는  아마도 그냥 꽃이 놓여져 있는 사진에 불과하겠지만  나에게는 꽤나 임팩트가 있는 사진이다. 그럴게 나는 기억력이 그리 좋은 편이 아닌데에도 이 사진을 보기만 하면 그 때의 감정이 그대로 몰려와 기억이 자연스럽게 떠올려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나는 이에 해당하는 한 단어를 떠올리는데 그것이 예술이라는 단어이다. 왜 그러할까? 이것은 정말로 예술이기에 그러할까? 이것이 정말 예술인지 아닌지를 떠나서 예술은 무엇일까? 이번에는 이러한 의문을 파헤쳐보기 위해  예술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한다. 예술의 정의에 대해 먼저 일반적인 인식에 대해 생각해보자. 이 부분에 대해서는 충분한 데이터 없이  일반적인 인식을 내 스스로 정의하는 것이 매우 석연치 않지만 내가 이야기하고자 하는 주제는 이 부분이 아니므로  나의 인식으로 대체하려고 한다. 그렇다면 일상 생활에서 예술이라는 단어는 어느 상황에서 사용될까? 아마 대부분의 경우 넓은 범위에서의 예술을 의미하지는 않을 것 이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접하는 예술이라고 불리우는 것이  무엇인지를 먼저 살펴보면 조금이나마 이에 근접 할 수 있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모나리자, 반 고흐의 해바라기나 별이 빛나는 밤,  그리고 미켈란 젤로의 다빈치 상 까지  흔히 '걸작'이라는 것에 대부분 머물러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아마 예술가들과  나를 포함한 예술에 대해 깊게 생각해본 적 없는 사람들의 예술에 대한 정의는 매우 상이함에는 틀림이 없을 것 이다. 따라서 현실에서 듣거나 이야기할 때 나오는 예술이란 예술이란 걸작, 그러니깐 마스터 피스에 가까운 것  혹은 그에 준하는 것에 대한 감탄이라는 것을 ...

[ Architecture, Technology ,Web ] SSO(Single Sign On) 그리고 SAML에 대해

이미지
이번 프로젝트 내부에서 어쩌다보니  유저 인증 관련 업무를 담당하게 되었고, 해야하는 업무는 내부에 사용했던 적이 없던  새로운 개발 플랫폼에서  SSO의 프로토콜 중  SAML을 이용해 앱의 인증을 구현해야만 했다. SSO를 생각해본적 조차 없는 상황에 이를 새로운 개발 플랫폼에 도입해야 했기 때문에 많은 시행착오를 겪었으나 구현에 성공하였으며 덕분에 SSO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쌓을 수 있었다. 이번에는 그러한 과정에서 나온 지식들과 경험을  공유하고자 한다. SSO에 대한 정의 먼저 사전적 정의 부터 살펴보자. 다만, 기술적인 용어다보니 자주 사용하는 옥스포드 사전에 정의를 찾을 수 없기 때문에  검색으로 찾을 수 있는 정의를 몇 가지 살펴보고 교차 검증을 해보자. 첫 번째 정의를 살펴보자. Single sign-on (SSO) is an identification method that enables users to log in to multiple applications and websites with one set of credentials.  SSO는 웹사이트에서 한 번의 인증(one set of credentials)으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 할 수 있는 인증(identification) 방법(method) 이다. 두 번째는 위키피디아의 정의이다. Single sign-on (SSO) is an authentication scheme that allows a user to log in with a single ID to any of several related, yet independent, software systems. SSO는 독립적이지만 연관되어있는 몇몇 소프트웨어에 대해 하나의 ID로 로그인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인증 구조(scheme) 세부 설명에 조금 차이가 있어 보이지만 전체적인 틀은 매우 비슷해 보인다.  몇 가지 포인트가 되는 단어를 추출해 이를 연결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