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ssay - Technology, Essay - Intuition ] Chat GTP시대의 도래와 생각하는 방식에 대해

이미지
올해도 드디어 끝이 보이는 듯 싶다. 최근에 회사의 망년회를 끝내고 이래저래 회식이 늘어나는 듯 하다. 지금 시점에서는 개인적인 스케쥴도 마무리 되었기 때문에 이제는 여유롭게 연말을 즐기며 올해를 마무리 하려고 한다. 비교적 최근에 이사한 곳 근처의 스타벅스가 대학 병원 안에 있고 근처에 공원이 있어서 그런지 개를 대리고 산책하는 노인이나  아이를 동반한 가족이 눈에 띄게 보인다. 꽤나 좋은 곳으로 이사한듯 하다. 개인적으로는 올해 드디어 미루고 미루었던 이직을 하였고  그 이후에 비약적인 성장을 이루었으니  분명 안좋은 일도 있었지만 만족할 수 있는 해를 보내지 않았나 싶다. 내가 도달하려고 하는 곳으로 가려면 아직 갈길이 멀지만  궤도에 오른 것만으로도 큰 성과라면 큰 성과 일 것 이다. 어쨋든 이직하고 많은 일들을 맡게 되었는데 그 과정에서 나는 의도적으로 Chat GTP를 활용하고자 하였고 몇 가지 직감을 얻게 되었는데  이 중 한 가지를 글로 작성하려고 한다. 따라서 올해의 마무리 글은 Chat GTP에 대한 이야기로 마무리 하려고 한다. 서론 불과 약 10년전 IT업계는 원하던 원치 않던간에  한번의 큰 패러다임의 변화를 맞이해야만 했다 바로 아이폰의 등장에 따른 스마트폰의 시대의 도래와  이에 따른 IT업계의 패러다임 변화가 그것이다. 내 기억으로는 아주 격변의 시대였던 걸로 기억하는데 왜냐하면 게임은 물론이고 웹과 백신을 비롯한 모든 솔루션의 변화가 이루어졌다. 이 뿐만 아니라 가볍고 한손의 들어오는 이 디바이스는  그 당시에는 조금 비싸다는 인식이 있었지만  감추려고 해도 감출 수 없는 뛰어난 유용성으로 회의론을 금세 종식시켰고 이에 대한 결과로 어린아이 부터 노인 까지 작은 컴퓨터를 가지게 되었고 이는 당연하게도 IT업계의 전체적인 호황을 가져다주었다.  그리고 질서는 다시 한번 재정렬되었다. 이러한 패러다임의 변화의 증거로 언어 또한 변하게 되었는데...

[ Django, Python ] 튜토리얼 예제로 살펴보는 Django 분석 ④ : 간단한 폼(form) 프로그래밍

이미지
・ 간단한 폼 (form) 프로그래밍 이전에 프로그래밍한 투표 기능의 detail() 이라는 View 의 템플릿 ( polls/detail.html ) 을 수정하여 , HTML <form> 요소를 아래의 사진과 같이 포함시켜보자 . 위의 태그를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 위의 템플릿은 각 질문 선택의 라디오 버튼 을 표시한다 . 각 라디오 버튼의 value 는 해당 질문 선택항목의 ID 이며 , 각 라디오 버튼의 name 은 “Choice” 이다 . 즉 , 사용자가 라디오 버튼 중 하나를 선택해 , 폼을 제출하면 POST 데이터 인 choice=# 을 보낼 것 이다 . 여기서 # 는 선택한 항목의 라디오 버튼 ID 이다 . ・ 폼 (form) 의 동작을 {% url 'polls:vote' question.id %} , method="post" 로 설정했다 . post 로 폼 (form) 을 제출하면 서버의 데이터가 되기 때문에 method="get" 와 다르게 method="post" 를 사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따라서 어떤 방법으로 웹을 개발 하던간에 서버의 데이터를 번경하는 폼 (form) 을 제출 하려한다면 method="post" 를 사용하는것이 일반적으로 좋다 . ・ forloop.counter 는 for 태그가 반복한 횟수를 나타낸다 . ・ 서버의 데이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POST 폼 (form) 을 제출 하기 때문에 [1] 사이트 간 요청 위조 (Cross Site Request Forgeries) 에 대해 대응할 필요가 있다 . 하지만 다행히도 Django 는 이를 보호 하기 위한 도구를 제공하기 때문에 이 문제에 대해 걱정할 필요 없다 . 따라서 내부 URL 을 대상으로 하는 모든 POST 형식의 폼 (fo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