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2021의 게시물 표시

[ Essay - Technology, Essay - Intuition ] Chat GTP시대의 도래와 생각하는 방식에 대해 : 개발자의 미래에 대해

이미지
벌써 올해도 반쯤 지나 뜨거운 여름이 다가왔다. 굉장히 빠르게 지나간듯한 느낌이 드는데  아마 의미있는 시간을 보냈다는 이야기이기 때문에  그렇게 나쁜 신호는 아닐 것 이다. 괴로운 시간이였다면, 1초가 1년 같이 느껴졌을테니 말이다. 더위에 매우 약한 나에게 있어서는 지옥과 같은 시기이기도 하지만 늘 그렇던 것 처럼 에어컨 덕분에 어찌저찌 버틸 수 있을 것 같다. 어쨋든, 이번에는 저번의 에세이 주제, Chat GTP시대의 도래와 생각하는 방식에 대한 이야기에 이어서  과연 개발자의 미래는 어떻게 될 것인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어보려고 한다. 어쩌면 모두가 인식하고 있듯이 지금 2025년 현재,  꽤나 중요한 시기에 직면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생성AI의 발전 속도가 생각보다 빠르게 발전하고 있고,  그에 따라 실제 업무에서도 빠르게 사용되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개발자에게 있어서 가장 두려운 점은  당연히 생성AI에 의해 개발자가 대체될 것 이라는 두려움일 것 이다. 이는 개발자에게만 한정된 이야기는 아니지만 말이다. 아마 필드에서 나와 같이 일하고 있거나  개발자로서 직업을 가지려는 생각이 있는 사람이라면  한번쯤은 생각해볼법한 주제라 생각 한다. 물론 미래가 정확히 어떻게 될 지는 알 수 없으나  이런 생각을 함으로써 몇 가지 힌트는 얻게 될지도 모르니  만약 얻게 된다면 미래에 대한 방향성을 조금이나마 올바른 쪽으로 돌릴 수 있을 것 이다. 이 글을 끝맽을 때는 조금이라도 힌트에 도달하기를 바란다. 과거의 역사 이러한 의문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일반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바로 역사를 보는 것 이다. 물론 이러한 역사를 해결책을 찾는거에 대한 전제조건은  우리가 '구 인류'라는 전제조건이 있었을 때 의미가 있다. 그러니깐 현대인도 기원전 8세기의 고대 로마인도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는 것을 인정해야만 한다. 예컨데...

[ 생각 ] 한국 사람들은 일을 너무 열심히 한다

이미지
한국 사람들은 일을 너무 열심히 한다. 이 말은 내가 한국인으로서의 티를 벗어나기 전까지는  이런 생각을 해보지도 그리고 하지도 못했던 것들 중에 하나 이다. 그리고 외국 생활을 지속하면서  한국인으로서 점점 벗어날 수록 강하게 느끼고 있는 것들 중에 하나 이기도 하다. 한국 사람들은 정말 일을 열심히 한다. 물론 이는 전체적인 입장에서는 좋은 것이다. 이겨서 전체적인 입장이라면 여러가지의 의미를 가질 수 있는데 작게는 프로젝트를 포함한 작은 공동체부터 시작해 회사,  그리고 크게는 하나의 사회나 나라까지도 의미할 수 있다. 이런 전체적인 입장에 있는 각 개인들에게는  무엇이 나쁘냐면서 어깨를 으쓱할지는 모르겠다. 좋은 것이 좋은 것이라며 말이다. 하지만, 이는 개인적으로는 매우 나쁜 인식이라고 생각하며 단기적으로 봤을때(전체적인 입장에서)는 매우 좋을지는 모르겠지만 장기적으로 봤을때는 매우 좋지 않은 선택이다. 왜냐하면 시간이 갈 수록 각 내부의 개인들의 엔트로피가  가속화되여 쌓여가면서 무너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엔트로피가 쌓일 정도로 쌓여  최대로 팽창될 때, 개인들이 무너지기 시작하고  그 공동체는 파멸을 맞이하게 될 것이다. 다니던 회사에 한국 신입이 들어온 적이 있었고, 우연히 같은 팀에서 일 한적이 있었다. 여느 다를바 없는 한국인들과 같이  그 친구도 일을 굉장히 열심히 했다. 여기서 열심히 했다는 의미는 받은 업무를 일찌감치 끝내고 바로 다른 일을 하려 했으며, 심지어 이를 야근까지 하며 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재미있는 것은 그 후배도 야근을 좋아하는 사람은 결코 아니라는 것이다. 스스로가 야근하는 것에 대해 스트레스를 받는 것을 알고 있다. 물론 위에서 이야기 한대로  이는 전체적인 회사 입장에서는 매우 좋다. 누군가가 나서서 해준다는 것은 매우 반가울 소식이다. 작게 프로젝트 입장에서 본다면,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입장인 PM의 입장에서는 매우 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