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ssay - Technology, Essay - Intuition ] Chat GTP시대의 도래와 생각하는 방식에 대해

이미지
올해도 드디어 끝이 보이는 듯 싶다. 최근에 회사의 망년회를 끝내고 이래저래 회식이 늘어나는 듯 하다. 지금 시점에서는 개인적인 스케쥴도 마무리 되었기 때문에 이제는 여유롭게 연말을 즐기며 올해를 마무리 하려고 한다. 비교적 최근에 이사한 곳 근처의 스타벅스가 대학 병원 안에 있고 근처에 공원이 있어서 그런지 개를 대리고 산책하는 노인이나  아이를 동반한 가족이 눈에 띄게 보인다. 꽤나 좋은 곳으로 이사한듯 하다. 개인적으로는 올해 드디어 미루고 미루었던 이직을 하였고  그 이후에 비약적인 성장을 이루었으니  분명 안좋은 일도 있었지만 만족할 수 있는 해를 보내지 않았나 싶다. 내가 도달하려고 하는 곳으로 가려면 아직 갈길이 멀지만  궤도에 오른 것만으로도 큰 성과라면 큰 성과 일 것 이다. 어쨋든 이직하고 많은 일들을 맡게 되었는데 그 과정에서 나는 의도적으로 Chat GTP를 활용하고자 하였고 몇 가지 직감을 얻게 되었는데  이 중 한 가지를 글로 작성하려고 한다. 따라서 올해의 마무리 글은 Chat GTP에 대한 이야기로 마무리 하려고 한다. 서론 불과 약 10년전 IT업계는 원하던 원치 않던간에  한번의 큰 패러다임의 변화를 맞이해야만 했다 바로 아이폰의 등장에 따른 스마트폰의 시대의 도래와  이에 따른 IT업계의 패러다임 변화가 그것이다. 내 기억으로는 아주 격변의 시대였던 걸로 기억하는데 왜냐하면 게임은 물론이고 웹과 백신을 비롯한 모든 솔루션의 변화가 이루어졌다. 이 뿐만 아니라 가볍고 한손의 들어오는 이 디바이스는  그 당시에는 조금 비싸다는 인식이 있었지만  감추려고 해도 감출 수 없는 뛰어난 유용성으로 회의론을 금세 종식시켰고 이에 대한 결과로 어린아이 부터 노인 까지 작은 컴퓨터를 가지게 되었고 이는 당연하게도 IT업계의 전체적인 호황을 가져다주었다.  그리고 질서는 다시 한번 재정렬되었다. 이러한 패러다임의 변화의 증거로 언어 또한 변하게 되었는데...

[ Django, Python ] mozilla 튜토리얼 예제로 살펴보는 Django 분석 ⑦ - 2 : Testing against authenticated users(인증된 사용자에 대한 테스트)

이미지
인증된 사용자에 대한 테스트 이번에는 로그인 여부에 따라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에 대해 살펴보자.  ① Template에서 테스트 {{ user }} 템플릿 변수 를 사용해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 user.is_authenticated }} 템플릿 변수 를 이용해  사용자가 특정 콘텐츠를 볼 수 있는지 확인하자. 사용자가 로그 아웃 한 경우 "로그인" 링크를 표시하고 로그인 한 경우 "로그 아웃" 링크를 표시하도록  사이드 바를 추가 해보자. 먼저  /locallibrary/catalog/templates/  경로의  base_generic.html  파일에 <ul class="sidebar-nav"> ... {% if user.is_authenticated %} <li>User: {{ user.get_username }} </li> <li><a href="{% url 'logout'%}?next={{request.path}}">Logout</a></li> {% else %} <li><a href="{% url 'login'%}?next={{request.path}}">Login</a></li> {% endif %} </ul> 위와 같이 코드를 추가 하자. 우선 주목 해야할 곳은  {% user.is_authenticatd %} 의  조건부에 따라 출력되는 텍스트 이다. 관습적으로 앞에 is가 붙는 메소드들은  bool값을 가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User가 인증되었다면 True를 인증되지 않았다면 False를 리턴할 것이고 그에 따라 출력되는 텍스트가 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