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2021의 게시물 표시

[ Essay - Technology, Essay - Intuition ] Chat GTP시대의 도래와 생각하는 방식에 대해 : 개발자의 미래에 대해

이미지
벌써 올해도 반쯤 지나 뜨거운 여름이 다가왔다. 굉장히 빠르게 지나간듯한 느낌이 드는데  아마 의미있는 시간을 보냈다는 이야기이기 때문에  그렇게 나쁜 신호는 아닐 것 이다. 괴로운 시간이였다면, 1초가 1년 같이 느껴졌을테니 말이다. 더위에 매우 약한 나에게 있어서는 지옥과 같은 시기이기도 하지만 늘 그렇던 것 처럼 에어컨 덕분에 어찌저찌 버틸 수 있을 것 같다. 어쨋든, 이번에는 저번의 에세이 주제, Chat GTP시대의 도래와 생각하는 방식에 대한 이야기에 이어서  과연 개발자의 미래는 어떻게 될 것인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어보려고 한다. 어쩌면 모두가 인식하고 있듯이 지금 2025년 현재,  꽤나 중요한 시기에 직면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생성AI의 발전 속도가 생각보다 빠르게 발전하고 있고,  그에 따라 실제 업무에서도 빠르게 사용되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개발자에게 있어서 가장 두려운 점은  당연히 생성AI에 의해 개발자가 대체될 것 이라는 두려움일 것 이다. 이는 개발자에게만 한정된 이야기는 아니지만 말이다. 아마 필드에서 나와 같이 일하고 있거나  개발자로서 직업을 가지려는 생각이 있는 사람이라면  한번쯤은 생각해볼법한 주제라 생각 한다. 물론 미래가 정확히 어떻게 될 지는 알 수 없으나  이런 생각을 함으로써 몇 가지 힌트는 얻게 될지도 모르니  만약 얻게 된다면 미래에 대한 방향성을 조금이나마 올바른 쪽으로 돌릴 수 있을 것 이다. 이 글을 끝맽을 때는 조금이라도 힌트에 도달하기를 바란다. 과거의 역사 이러한 의문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일반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바로 역사를 보는 것 이다. 물론 이러한 역사를 해결책을 찾는거에 대한 전제조건은  우리가 '구 인류'라는 전제조건이 있었을 때 의미가 있다. 그러니깐 현대인도 기원전 8세기의 고대 로마인도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는 것을 인정해야만 한다. 예컨데...

[ Essay - Technolgy, IT, Architecture, Algorithm ] C계열과 JAVA에서의 힙 영역(Heap Area)과 스택 영역(Stack Area)에 대해서

이미지
생각할 수록 C계열과 JAVA라는 언어는  비교해 살펴보기에 매우 적절한 언어라고 생각 한다. 재미있게도 말이다. 이에 대해서는 아마 최근의 핵심적인 패러다임을  담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최근 객체지향 패러다임을 담고 있는 언어들은  JAVA의 영향을 받지 않은 언어를 찾기는 쉽지않으며  구조적 패러다임을 담고 있는 언어들 또한 C계열의 영향을 받지 않은 언어를 찾기란 쉽지 않다. 후에 이 두 가지 언어에 대해  어떻게 평가를 내릴지는 알 수 없으나 현재로서는 이 두 가지 언어가 프로그래밍 역사에서 한 획을 그을 수 있는  언어들이라고 개인적으로는 생각 하고 있다. 이번에는 C계열과 JAVA의 빌드 과정에 대한 이야기에 이어서 C계열과 JAVA의 힙 영역(Heap Area)과 스택 영역(Stack Area)에 대해 이야기해보자. 힙 영역(Heap Area)과 스택 영역(Stack Area)에 대해서 힙 영역과 스택 영역에 대한 이해는  개발자로서 알아둬야할 것 중에 하나이지 않나 싶다. 물론 필수라고 할 수 는 없지만, 진정한 엔지니어나 아키텍터라면 이해해야만 하는 덕목이라고 생각 한다. 왜냐하면, 언어 내부에서 힙 영역과 스택 영역을  어떻게 다루느냐에 따라 퍼포먼스가 갈릴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스템의 퍼포먼스 까지 생각해야하는  진정한 엔지니어나 아키텍터가 이에 대한 이해가 없다면 훌륭한 엔지니어나 아키텍터가 될 수 없을 것이다. 어쨋든 먼저 C계열과 JAVA를 비교하기전에 힙 영역과 스택 영역이 무엇인지에 대해 간단히게 이야기 해본 후에 실제 C계열 중 C#과 JAVA에서 메모리 관리를 하기 위해  어떻게 이 스택과 힙이라는...